•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피보나치수열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138-145)

피보나치수열은 여러 가지 성질을 갖는다. 여기서는 그 중 두 가지만 증명해 보도록 하자.

여기서 두 수 의 최대공약수를 gcd, 피보나치수열을

이라고 표현하자.

정리1 모든 자연수 에 대해 gcd

  =1 이다.

정리1을 귀류법으로 증명해보자. 1보다 큰 자연수 에 대해 gcd

  =라고 가정 하자. 그러면

  

  도 를 인수로 갖는다. 이와 더불어 또한

  

  이므로

  도 를 인수로 갖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  

   ⋯ 등에 계속적으로 적용하면 결국에는

도 를 인수로 갖게 된다. 그런데

=1이므로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1보다 큰 자연수 에 대해 gcd

  ≠이므로 gcd

  =1이 성립한다.

정리2

    

 



  

 ≥  ⋯(*)

일단, 이 정리2의 의미는 아래 표와 같다.

파스칼의 삼각형을 왼쪽으로 밀어서 위와 같이 재배치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대각선으로 이항계수 들을 더하면 피보나치수열이 나타난다.

정리2를 수학적 귀납법으로 보이자.

  일 때,

  

이므로 (*)가 성립한다.

    인 모든 자연수 에대해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읽기자료

133

134

135

136

제시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부분적분법은 적분을 계산하는 중요하고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다. 실수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  에서 미분가능인 두 함수 와 에 대 하여

 ′     

 ′ 이 성립한다는 것이 부 분적분법의 내용이다.

[나] 삼각함수는 수학에서 중요한 함수로, 대단히 넓은 범위에까지 활용되고 있다.

이제 정수  ≥ 에 대하여

cos ( ≥ ) 라 두고 수학적 귀납법과 부분적 분을 이용하여

의 값을 계산해보자.

논제 I-1

부분적분법이 성립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0점)

논제 I-2

정수  ≥ 에 대하여   cos    ,   sin  라 두면

 ′ 이 됨 을 설명하시오.(5점)

논제 I-3

정수  ≥ 에 대하여,

 

 

   이 성림함을 증명하시오. (15점)

논제 I-4

cos 를 계산하시오.(15점)

논제 I-5



cos 를 계산하시오. (15점)

* 부산대학교 입학처

137

문항 수 수학 1문항, 과학 1문항(총 2문항) 시간 100분

연관 개념 부분적분법, 삼각함수, 수학적 귀납법 논술유형분석

제시문분석 제시문 [가]

부분적분법의 쓰임과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시문 [나]

수학적 귀납법과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적분값 구하기를 설명하고 있다.

논제분석

논제 I-1

제시문 [가]에서 언급한 부분적분법이 성립하는 이유를 묻고 있다.

논제 I-2

제시문 [나]의 물음을 해결하기 위한 첫 과정으로 부분적분법을 사용할 수 있게 함수를 변형하여 계산하도록 묻고 있다.

논제 I-3

제시문 [나]의 물음을 해결하기 위해 점화식을 제시하고, 이를 증명토록 하고 있다.

논제 I-4

[논제 Ⅰ-3]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값을 구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

논제 I-5

[논제 Ⅰ-3]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값을 구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

138

풀어보기

문제 1 자연수 에 대하여

sin 라 할 때,

 

를 만족시키는 서로소인 두 자연수 와 의 합   의 값을 구하시오. (2013년 EBS 수능완성 적분과 통계)

문제 2 정의역이      인 함수 에 대하여  ′     

 이고, 함수

  일 때,

 ′  

이다. 의 값은? (2012년 6월 평가원)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문제 3 그림에서 두 곡선   ,    과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의 넓이를 , 두 곡선   ,    과 직선   로 둘러 싸인 부분

의 넓이를 라 할 때,   의 값은? (2009년 대수능)

① 

 ②    ③  ④ 

 ⑤ 

문제 4 그림과 같이 곡선   sin

 ≤  ≤ 

에 대하여 이 곡선과 축, 직선   로 둘러싸인 영역을

, 이 곡선과 직선   , 직선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을

라 하자.

넓이와

의 넓이가 같을 때, 상수 의 값은?(단,  ≤  ≤ 

 ) (2011년 9월 평가원)

① 

 

 ② 

 ③ 

 

 ④ 

 

 ⑤ 

 

139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138-14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