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적분법의 역사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145-150)

적분법의 개념은 미분법의 개념과는 독립적으로 발달하였다. 그 기원은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논의한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르키메 데스(Archimedes ; BC 212∼BC 287)는 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다 음과 같이 구하였다. 아래 그림과 같이 선분 AB의 중점을 지나고 포물선의 축에 평행한 직선이 포물선과 만나는 점을 C라고 하고, 선분 AC, BC 의 중점을 지나고 포물선의 축 에 평행한 직선이 포물선과 만나는 점을 각각 D, E라고 하자. 포물선의 기하학적 성질 로부터 다음이 성립함을 밝혔다.

△ADC △BCE  

 △ABC

아르키메데스는 이러한 생각을 반복하여 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다 음과 같이 구하였다.

△ABC  

△ABC  

 △ABC  

 △ABC  ⋯

ABC

   

  

 ⋯

 ABC

그러나 이때에는 엄격한 뜻에서 극한의 개념을 이용하여 넓이를 구한 것은 아니며, 처음으 로 극한의 개념을 도입하여 넓이를 구한 사람은 케플러(Kepler, J ; 1571 ∼ 1630)이다.

케플러는 원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원을 작은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삼각형의 넓이의 합의 극한으로 원의 넓이를 계산하였다. 그의 방법은 선을 합하면서 면적을 구하려는 생각으로 적분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극한에 의한 구분구적법은 뉴턴 (Newton, I ; 1642 ∼ 1727)과 라이프니츠(Leibniz, G. W. ; 1646 ∼ 1716)에 의하여 정 적분으로 연결되었다. 라이프니츠는 카발리에리(Cavalieri ; 1598 ∼ 1647)의 방법을 따른 읽기자료

140

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그림출처 : www.somangnote.com

원리를 이용해 기하학적인 접선의 관점에서 독립적으로 구적법(적분)과 접선법(미분)이 서 로 역연산의 관계가 있음을 밝혔으며 그의 업적은 구적법과 접선법을 합리화하고,

 등의 기호를 써서 그들 사이의 규칙을 확립하였다. 라이프니츠는 카발리에리의 불 가분량의 합을 나타내는 라틴어 sum의 첫 문자를 딴 S를 길게 늘인 문자로서 현대 적분 기호인

를 처음 사용하였다.

또한 그는 적분을

  

  와 같이 쓰는 것과 마 찬가지로 미분과 도함수를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 같 이 쓰고 있었다. 하지만 극한의 수학적인 정의를 사용하여 적분의 개념을 정의함으로써 미적분학의 논리적 기초를 엄 밀하게 확립한 사람은 프랑스의 코시(Cauchy, A. L. ; 1789 ∼ 1857)였고, 그 후 19세기 말경에 독일의 리만 (Riemann, G. F. B. ; 1826 ∼ 1866)에 의하여 보다 엄밀 한 적분법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리만적분법도 적분법으로 서 완전한 것이 못되었고, 프랑스의 르베그(Lebesque, H.

L. ; 1875 ∼ 1941)에 의하여 더욱 일반적인 적분론이 확 립되었다.

적분이 실생활과 관련해서 사용되는 몇 가지 예로는 CT(Computed Tomography)가 있 다. CT란 병원에서 내장 기관의 상태를 알아 볼 때 쓰이는, 자르지 않고도 단면을 볼 수 있는 장치이다. 우리말로는 ‘컴퓨터 단층촬영기’로 뇌를 단층 촬영 할 때 뇌를 빙 둘러 가 면서 X-ray를 비추어 맞은편에서 그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X-ray가 가는 길에 있는 조직의 밀도를 하나의 함수로 볼 때 그 정적분 값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런 일을 계 속해서 모든 방향에서의 적분값을 알면 계산에 의해 뇌의 2차원적 밀도분포함수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즉 CT의 컴퓨터가 하는 일은 적분값으로부터 원래의 함수를 알아내는 것이 다. 또한 댐이 받는 힘을 계산할 때도 적분이 활용된다. 정해진 수면의 깊이에서 댐에 수 직으로 미치는 수압이 일정하고 댐의 폭과 댐에 일정 높이까지 물이 찾을 때 미치는 힘이 어떠한지 알아내려면 W(힘)S(면적)×P(수압)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댐의 모든 면 에서 수압이 일정하지 않아 깊이에 따라 수압이 변하는데, 이것을 미분방정식을 세워 적분 시키면 일반방정식으로 구할 수 있다. 그 계산 결과로 댐이 받는 힘에 따라 댐의 밑부분 두께와 윗부분 두께를 변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141

142

문제 3

두 곡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면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여기에서    ,  ′  으로 놓으면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에서    ,  ′  으로 놓으면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두 부분의 넓이의 차   는    의 정적분 결과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143

144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145-1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