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제Ⅰ-3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33-36)

이 증가할수록 각 다각형의 넓이가 원과 타원의 넓이에 수렴하므로 원과 타원의 넓이비는 원 에 내접하는 정 각형의 넓이와 타원에 내접하는 각형의 넓이비와 같다. 각각의 각형은 제시문 [가]의 그림처럼 개의 삼각형과  개의 사다리꼴로 나눌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대응되는 삼각형과 사다리꼴들은 높이가 같다. 따라서 삼각형의 넓이비는 밑변의 길이비와 같다.

∆GHF  ∆GH ′F ′  HF  H ′F ′

H H ′좌표를 라고 할 때, 좌표는 각각

  ,

  이다.

따라서 ∆GHF  ∆GH ′F ′  HF H ′F ′   이다.

사다리꼴 AHFE와 사다리꼴 A′H ′F ′E ′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밑변과 윗변의 길이비가 모두

  이므로 넓이비도   이다.

그러므로 원에 내접하는 정각형의 넓이와 타원에 내접하는 각형의 넓이비가   가 되며, 원과 타원의 넓이비도   이므로, 타원의 넓이는 × 

 이다.

논제Ⅰ-2

큰 원과 작은 원의 반지름을 각각

과 이라 하고, 파푸스 체인의 원 O의 반지름을 라고 하자. 원 O는 작은 원과 외접하고, 큰 원에 내접하므로, 작은 원과 원 O의 중심거리는

 이고, 큰 원과 원 O의 중심거리는

 이다.

이 두 중심거리의 합 

    

 은 모든 원 O에 대하여 일정하므로, 원 O의 중심에서 작은 원의 중심과 큰 원의 중심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모든 에 대하여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원 O의 중심은 작은 원의 중심과 큰 원의 중심을 초점으로 갖는 타원 위에 있다. 큰 원과 작은 원의 중심거리는

 이므로, 장축의 길이는 

 

 

이고, 단축의 길이는 

 

 

 

이다.

논제Ⅰ-3

 ,   이므로 장축의 길이는 이고, 단축의 길이는 

 이다. 따라서 타원의 넓이는

 × ×

 



이다.

* 경희대 예시답안 참조

28

[가]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그림이나 사진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한 도형 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얻은 도형은 처음 도형과 크기는 다르지만 모양은 같다. 이와 같이 한 도형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얻게 된 도형이 다른 도형과 합동일 때, 이들 두 도형은 서로 닮음인 관계가 있다고 하며, 닮음인 관계가 있는 두 도형을 닮은 도형이라고 한다. 서로 닮은 도형에서 대응하는 선분의 길이의 비를 닮음비라고 한다.

[나]

기원전 년 경 그리스 델로스 섬에는 전염병이 돌고 있었다. 델로스 사람들은 아폴론 신으 로부터 ‘전염병을 퇴치하려면 신전에 있는 정육면체 모양의 제단과 닮은 도형이면서 부피가

배인 제단을 만들라’는 신탁을 받았다. 델로스 사람들은 정육면체 모양의 제단을 개 붙여 제단을 만들었는데, 아폴론 신은 부피는 배이지만 닮은 도형이 아니라고 했다. 그래서 델로 스 사람들은 정육면체 각 모서리의 길이를 배로 늘인 정육면체 제단을 만들었다. 그러자 아 폴론 신은 이번에는 닮은 도형이지만 부피가 배가 되었다며 다시 만들라고 하였다.

[다]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수가 같은 볼록한 다면체를 정다 면체라고 한다.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의 가지 가 있다. 한편, 두 종류 이상의 정다각형인 면으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구에 내접하는 다면체 를 준정다면체라고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아르키메데스의 입체라 불리는 개의 준정다면체 가 있다. 아르키메데스의 입체는 아르키메데스의 저서가 전해지지 않아 그 구체적인 모양이 한동안 알려지지 않았었다. 그러나 르네상스 시대부터 여러 수학자들의 노력의 결과로 차츰 모양이 밝혀졌으며, 마침내 년 케플러에 의해서 모두 밝혀졌다. 아르키메데스의 입체 중 에서 ‘깎은 정사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팔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 체’ 등 깎은 정다면체들은 정다면체를 각 꼭짓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지점을 지나는 평면으로 잘라 내어 만든 것이다. 예를 들어 깎은 정사면체는 정사면체로부터 만들어진 것으 로 정삼각형 개, 정육각형 개로 이루어져 있다.

깎은 정사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제시문Ⅰ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경희대학교 입학처

29

그림 1. 정사면체 ABCD와 구 O가 만나는 개의 점을 꼭짓점으로 갖는 팔면체 V가 있 다. 여기서 정사면체 ABCD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이고, 구 O의 중심은 정사면 체 ABCD에 외접하는 구의 중심과 같다. 이때 면 AAA와 면 BCD, 면 BBB와 면 ACD , 면 CCC와 면 ABD , 면 DDD와 면 ABC는 각각 서 로 평행하다.

논제 I-1

팔면체 V 가 깎은 정사면체일 때, 팔면체 V 의 한 모서리의 길이와 부피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배점 15점)

논제 I-2

팔면체 V가 깎은 정사면체일 때, 구 O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고 그 방법을 서술하시오.

(배점 10점)

논제 I-3

팔면체 V 에 외접하는 구 O의 반지름의 길이가 

일 때, 팔면체 V의 겉넓이를 구하고 그 근거를 논술하시오. (배점 15점)

30

[가] 좌변이 인수분해 되지 않는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이 한 변수만의 방정식이 되는 경우가 아니면, 이 방정식이 나타내는 곡선을 이차곡선이라고 한 다. 이때, 계수의 관계에 따라 원, 포물선, 타원, 쌍곡선이 된다. 이차곡선은 공간에서 원뿔을 한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둘레와 같아 원뿔곡선이라고도 한다. 고대 그리스 수학 자 아폴로니오스는 그의 저서 “원뿔곡선론”에서 직원뿔을 자르는 평면이 원뿔의 밑면과 이루 는 각을 모선과 밑면이 이루는 각과 비교하여 포물선, 타원, 쌍곡선으로 분류하였다. 밑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원은 타원의 한 종류로 생각할 수 있다. 아라비아 수학자 카얌은 원뿔곡선을 이용하여 삼차방정식의 근을 구하였다. 근세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케 플러는 스승인 티코로부터 물려받은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태양계의 행성이 타원 궤도를 따 라 움직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원뿔곡선은 천문 현상을 비롯한 여러 자연 현상을 기술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곡선이다.

[나] 평면 위에 그려진 원뿔곡선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원은 한 정점에서의 거리가 일정 한 점들의 집합이고, 포물선은 한 정점과 그 점을 지나지 않는 한 정직선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들의 집합이다. 타원은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이고, 쌍곡선 은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이다.

[다] 분수방정식을 변형하여 얻은 다항식으로만 이루어진 방정식의 근 중에서, 분모를 이 되게 하여 변형 전 분수방정식을 만족하지 않는 것을 무연근(無緣根, extraneous root)이라 고 한다. 무연근은 주어진 방정식과 인연이 없는 근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찬가 지로 무리방정식을 변형하여 얻은 다항식으로만 이루어진 방정식의 근 중에서, 변형 전 무리 방정식을 만족하지 않는 것도 무연근이다.

제시문Ⅱ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서에서 발/간/사 (페이지 33-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