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폐업대상 과수산업의 변화

3.1. 재배면적 변화

폐업지원 사업의 주요 목적은 생산성 낮은 과원을 정리함으로써 과수산 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공급을 축소하여 가격을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 서 폐업지원 사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폐원면적 및 전체 재배면적의 변 화, 가격 변화 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폐원이 생산성 낮은 과원을 중심 으로 이루어졌는지도 분석 대상이다.

3.1.1. 복숭아

복숭아 재배면적은 1995년 1만 ha에서 2003년 1만 5,887ha에 이르기까 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2004년부터 폐원지원 사업 등의 영향으 로 복숭아 재배면적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1만 2,638ha가 되었 다(표 5-5). 2008년 복숭아 재배면적은 2003년에 비해 3,249ha 감소하여 2003년의 80% 수준이 되었다. 재배면적이 가장 많이 감소한 것은 조생종 복숭아로 2003〜2008년에 1,558ha(47.2%)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많이 감 소한 것은 중생종으로 같은 기간에 1,112ha(18.4%) 감소하였다. 만생종 복 숭아는 조생종이나 중생종에 비해 감소폭이 작았다(9.8% 감소). 조생종과 중생종의 감소는 이들의 출하시기가 여름철 장마시기와 겹쳐 당도를 비롯 하여 전반적으로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 만생종은 장마시기를 지 나 출하되기 때문에 당도가 높고 품질 관리가 수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재배면적 감소폭이 작다.

2003〜2008년에 실시한 폐업지원 사업 면적이 5,225ha인 점을 고려하면 1,976ha의 새로운 복숭아 과원이 조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새롭게 조성된 복숭아 과원은 2003년 복숭아 재배면적의 12.4%를 차지하는 것이다. 복숭 아 과원에 대한 폐원지원 사업이 가격 하락 등 피해 발생을 조건으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복숭아 시장 상황이 악화되지 않는 것은 물론 향후 개 선될 것을 기대한 진입 농가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복숭아 산업 의 구조조정, 규모화 등을 통한 경쟁력 향상과 가격지지를 통한 소득보전 등 사업 효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표 5-5. 복숭아 품종별 재배면적

단위: ha

연도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전체

2003 3,302 6,040 6,545 15,887

2007 1,837 5,232 6,119 13,188

2008 1,744 4,928 5,966 12,638

2008/2002(%) 52.8 81.6 91.2 79.5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04〜2009.

재배면적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성목면적의 증가와 단수 증가로 복숭아 생산량은 2005년까지 증가하였다(표 5-6). 복숭아 생산량은 1995년 13만 톤에서 2005년 22만 4,000톤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최근 성목 면적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단수의 증가로 복숭아 생산량은 20만 톤을 유 지하고 있다.

표 5-6. 복숭아 생산량 추이

구분 1995 2000 2003 2004 2005 2006 2007

재배면적

(천ha) 10.2 13.9 15.8 15.6 15.0 13.4 13.2

성목면적

(천ha) 7.5 7.7 9.2 9.9 9.8 9.6 9.4

단수

(kg/10a) 1,735 2,212 1,875 2,034 2,276 2,009 2,228 생산량

(천톤) 130 170 180 201 224 194 209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04〜2009.

3.1.2. 시설포도

시설포도 재배면적은 2003년 1,641ha에서 2008년 2,009ha로 368ha (22.4%) 증가하였다(표 5-7). 이 기간에 실시한 폐업지원사업 면적이 482ha 인 점을 고려하면 850ha의 새로운 시설포도 과원이 조성되었음을 의미하 는 것으로 이는 2003년 재배면적의 51.8%에 달하는 것이다. 시설포도 재 배면적은 2009년에는 2,239ha로 조사되어 전년대비 11.4%의 증가율을 나 타내고 있다. 농업인들은 시설포도의 시장개방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있 는 작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설포도 생산량은 2003년 2만 5,000톤에서 2007년 3만 3,000톤으로 32.0% 증가하였다. 생산량의 증가는 재배면적과 단수의 증가 때문이다. 단 수는 2003〜2004년 10a당 1,800kg 수준에서 2007년 2,000kg 수준으로 증 가하였다. 시장개방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

폐원지원 사업을 실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지속적으

고려하면 258ha의 새로운 과원이 조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2003년 재배면적의 29.6%에 달하는 것이다. 폐업지원 사업이 진행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신규 진입은 폐업 규모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이루어졌다.

키위의 경우도 복숭아나 시설포도와 유사하게 가격 하락 등 체감할 수 있 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표 5-8. 키위의 재배면적 변화

단위: ha 구 분 2000 2003 2004 2005 2006 2007 ’07/’03(%)

키 위 1,041 873 997 969 998 1,025 117.4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한-칠레 FTA 과원폐업지원사업 결과보고, 2009.06.

3.2. 가격 변화 3.2.1. 복숭아

2000년대에 들어와서 복숭아 가격(소비자 가격 기준)은 꾸준히 상승하여 2006년에는 2000년 대비 35% 정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복숭아 가격은 2007년에는 생산량 증가와 품질 저하(주로 당도 저하)로 2006년에 비해 10.4% 정도 하락하였다. 이러한 가격 하락은 중생종과 만 생종의 가격이 낮게 형성된 때문이며 조생종 가격은 전년대비 25% 정도 높았다. 그러나 2008년에는 품종별로 차이는 있으나 2007년 가격 수준을 유지하였다. 수입이 거의 없는 복숭아의 가격은 국산 복숭아의 생산량과 품질에 의해 변동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표 5-9. 폐업지원 대상품목의 출하시기별 가격

기준: 가락시장 도매, 상품

품목 시기 단위 2004 2005 2006 2007 2008

시설포도(델라웨어) 5~6월 원/kg 9,157 7,597 10,522 10,080 10,964

키위(그린) 12~5월 “ 3,505 4,357 3,282 3,567 3,033

복숭아(미백) 7~9월 “ 4,049 3,715 4,460 4,039 3,932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한-칠레 FTA 과원폐업지원사업 결과보고, 2009.6.

3.2.2. 시설포도

한-칠레 FTA에 의한 관세감축 시기는 11월부터 4월까지이고 국내 시설 포도의 출하가 이루어지는 것은 4월부터로 볼 수 있다. 또한 4월 출하량은 극히 적기 때문에 관세 철폐로 인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 다. 그러나 관세 철폐 기간인 4월에 수입된 포도가 저장을 통해 5월과 6월 까지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시설포도의 성출하기인 5〜6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시설포도 출하시기는 가격과 유류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유류 값이 올라가면 출하시기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 다. 최근에는 4월 하순에 출하되는 포도가 가장 이른 편에 속하고 대부분 5월 하순 이후에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다.

칠레로부터의 포도 수입은 물량의 확대는 물론 수입 시기도 확대되는 추 세이다. 수입 시기는 주로 2월부터 5월까지지만 1월과 6월 이후로까지 확 대되고 있다. 수입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2006년부터 시설포도 가격은 안 정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노지포도 가격의 하락 추세와 비교하면 시설포도의 경영 여건이 오히려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5-10. 국산 포도(캠벨얼리) 등급별 가격 추이

단위: 원/kg

재배형태 등급 2004 2005 2006 2007 2008

시설 (6~7월) 

상 6,302 6,157 5,565 5,814 6,093

중 4,563 5,184 4,369 4,857 4,937

하 2,616 3,318 2,713 3,534 3,613

노지 (8~10월) 

상 4,525 2,738 3,431 2,848 2,852

중 2,584 1,793 2,347 1,971 2,153

하 1,468 979 1,269 1,247 1,529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KAMIS (http://www.kamis.co.kr)

3.2.3. 키위

키위 수입량이 2002년 1만 톤에서 2007년 3만 5,000톤으로 증가하였음 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하락하지 않았다(표 3-6). 특히 2007년 국산 키위 가 격은 2006년의 흉작으로 인해 크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2008년 키위 가격 은 수입량이 2007년에 비해 5,600톤이나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07년 풍작의 영향으로 하락하였다. 따라서 국산 키위 가격은 수입물량보다 국내 생산량에 의해 보다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판단된다.

표 5-11. 키위 수급 동향

단위: 톤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공급

생산 13,825 12,705 10,974 10,490 12,775 14,811 수입 5,228 6,417 10,233 12,849 23,101 26,752 계 19,053 19,122 21,207 23,339 35,876 41,563

수요

소비 19,050 19,111 21,152 23,339 35,876 41,563

수출 3 11 55 - -

-계 19,053 19,122 21,207 23,339 35,876 41,563

1인당 소비량 (kg) 0.4 0.4 0.4 0.5 0.7 0.9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KAMIS (http://www.kamis.co.kr)

칠레는 한국과의 FTA로 관세인하의 혜택이 점차 커지고 있지만 한국의 수입 키위 시장에서 경쟁국인 뉴질랜드에 뒤지고 있다. 칠레산 키위의 가 격은 뉴질랜드산에 비해 20~30% 정도 낮지만 시장점유율은 감소하고 있 다. 따라서 한-칠레 FTA로 인한 관세인하와 칠레산 키위의 수입 증가가 국산 키위 가격과 생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중요한 변수 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키위 수입량은 2003~2008년에 126.4% 증가하였다(표 3-6). 그러나 칠레 로부터의 수입은 65.4% 증가에 그쳐 평균 수입 증가율에 미치지 못하였다.

키위의 수입 증가는 주로 뉴질랜드산 키위 수입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칠 레와의 FTA 체결에 따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