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가인증 3차 시행 적용시기 및 과제

현재 시행되고 있는 평가인증 2차 운영체계와 평가인증 지표를 언제까지 적용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2012년 제안되는 평가인증 3차 시기 개선안을 반영하여 새 로운 운영체계와 평가인증 지표는 2013년 개발 완료될 수 있다. 2013년 후반부터 평

가인증 3차 도입이 적용될 있으나 미참여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2차 운영체계와 평 가인증 지표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유예기간을 두도록 한다. 3차 시행시기부터는 모든 어린이집에 ‘어린이집 평가’를 하도록 사실상 의무화하여 3차 시행 시기 말까지 미 참여하는 시설에 대해서 재정 지원을 차단하여 자동 퇴출되도록 사전 예고제 실시 를 고려해볼 수 있다(2—3안).

3차의 새로운 운영체계와 지표 적용시기와 함께 관련 업무 협조, 재정지원 등에 대 한 과제도 해결해야할 것 중 하나이다. 특히 평가인증 참여동기를 유발하며 지표의 내 용, 평가와 관련한 협조관계에 대해서 면밀한 검토와 실행이 필요하다.

가. 방안별 적용시기에 대한 차이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3차 평가인증에 대해 크게 세 가지 안을 살펴보았다. 2차 평 가인증에 대한 틀을 어느 정도 유지할지에 따라 적용시기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 상된다. 특히 2안과 같이 평가제의 개념을 도입할 경우, 평가인증 참여어린이집의 질 적 수준이 일정 수준이 되어야 한다는 가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평가인증에 참 여하지 않을 경우 어린이집이 자연적으로 퇴출될 수 있으며, 이때 기존에 평가인증에 참여했던 어린이집의 비율이 일정 수 이상 확보된 상황이어야 보육수요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3안과 같이 시설의 운영체계의 순서를 변화시킬 경우, 인증국의 업무체계의 변화가 요구된다. 또한 평가 지표와 평가가 ‘보육과정(보육과정과 상호작 용과 교수법 등 포함’)과 ‘보육과정 외’로 나누어질 경우 평가인증의 운영체제 변화와 인증국과 지자체 등의 업무분담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보육과정’

과 ‘보육과정 외’와 같이 평가영역을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경우, 추가 로 지출되는 현장관찰자 비용에 대한 재정적 논의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 평가인증 관련 업무 협조관계

평가인증 참여자격사항으로 인가 및 법적 기준 준수를 포함시키고, 지자체가 관련 사항을 담당할 경우(2—3안), 평가인증 3차 시작 시점인 2013년 후반기까지 명확한 업무절차와 연계 방법이 논의되어야 한다.

다. 평가인증과 재정지원의 형태와 정도

현재의 재정지원의 형태가 지자체별로 다른 실정이며, 평가인증 통과시설에 대한

추진과제 세부과제 연차별 추진계획(년) 2012~2013 2014~2015 2016

□ 평가인증 참여의 의무화

관련법규 및 예산검토 영유아보육법 관련 근거 검토 및 개정 계획 —

의무화를 위한 예산 추계 — —

운영체계 개편

연간 평가 물량 고려 실시 시뮬레이션 — —

지표 간편화/차별화 방안 검토 — —

영역별 순차적 평가 방안 검토 —

□ 평가인증과정상 부모 참여 확대

부모대상 만족도 조사 평가기관 재원아 부모 대상 체감만족도 조사 계획 —

만족도 조사결과 반영방법 고려 —

재정지원도 미미한 수준이다. 2013년도까지 평가인증 미참여 어린이집의 참여율을 자연스럽게 높이고, 인증통과시설에 대한 인센티브를 높이기 위해 재정지원의 범위 와 내용에 대해서 구체화하고, 실제 3차 평가인증과 연계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이 를 위해 평가인증 결과를 시설 운영비, 기본 보육료, 보육바우처 등의 다양한 종류 의 지원과 어떻게 연계할지 재정적인 차원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이전에 언급했던 것과 같이 특히 대부분의 미참여시설을 사실상 평가인증에 참여하 도록 하는 2안의 경우에는 평가인증 참여 여부와 재정지원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있을 때에 그 효과를 배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보고서는 1—2차 평가인증 실시를 통해 얻은 성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보육 품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자 하는 3 차 평가인증의 목표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3차는 지표의 다양화와 차별화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보육서비스의 다양화와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평가인증이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데 의미 있는 방법이라는 것이 1-2차 를 거쳐 오면서 그 결과로 확인되었고, 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평가인증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관련 업무의 간소화와 전문화를 고려하여 진행 방법에 대 해 고민하였다.

이러한 평가인증의 제도적 변화가 보육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 며, 보육수요자인 부모와 아동의 만족도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3차 평가인증 추진과제의 연차별 추진 계획은 다음〈표 Ⅵ -6-1〉와 같다.

〈표 Ⅵ-6-1〉3차 평가인증 추진과제 연차별 추진 계획

추진과제 세부과제 연차별 추진계획(년)

4# 5 #6 +㚮#⋂#Ჹ#ᶞ,+㑳ಪ⣆+,,+⠺᳆⢫#Ⳣ⚖#Ჹ#⋆㜂⢫#㑳ಪ+◲,, Ⳣ⚖⎊ⵗ5Ⳓ#㑳ಪ⠢⩇ඦ#ᒃ⠦໚ᶢ㛿⠢-

Ⳣ⚖⎊ⵗ5Ⳓ#㑳ಪ⠢⩇ඦ#ᒃ⠦໚ᶢ㛿⠢-⎆⇎#⠢㙲ಪ#⦪#㙏⤚⢿ #举⎆⇎⠢㙲ಪ#⦪#⟊⼂❺#⋂⦪⟦ᤆ#㙏⤚⢿ #丿⇎⼂⠢ಪ#⎆#ಪ⠢⩇#⠦Ḫ#⚗#⅖⢮#㑳ಪ ᴿຆ⛮Ữ⎆⇎♺#⎊ⵗ⠺൓# ⎊ຆ♞ᩚ⠞⩻#❺#Ḫ㇚#⤚ᣏೆ

໚ᶢ㛿-5◲#⟊ ໚ᶢ㛿⠢⠺ⵞ⠂#໚ᶢ㛿⠢#ඦ⢿ඦ#㘗᭓#⡖പ #䮝Ტ⹓⤛#⎆#Ⳣ⚖⣆Ⳣ⚖⎊ⵗ⟊⚲໚ಮ#◲ᅞ⛪#㘒ྂ#⢿㘞⩮#ಮ## ##Ⳣ⚖♞ᩚ⠞⩻#ᎪḪḮ⠞#⎊ⵗ⠺ⵞ⢺- #⠺/##Ⳣ#=#໚#᎒⸿+95ೆ, #0#᎒൮ᵮ#∶✾໚ಮ⟮#5#᎒➮ᤆ# ⠺ⵞ⢺പ⠺ⵞ⢺പ#Ữ⦻#㘂㙏⤚⢿/#ᶞඊ⇆#⢺⋂#᳂⚫ ⣆✢⠺ⵞ⢺പ4ඦ#Ⳣ⚖⎊- 㚮⡏ඪⳚ⡏ඪⳚ#Ữ⦻#Ⅻ㙏⤚⢿/#᳓ᯢ⦦ಮ# ⡏ඪⳚ⠺#㎶ൖ⠢❺#ඪຆ᭒♺#ᗚᠦ#⤚⢿㚮⡏ඪⳚ4ඦ#㚮⡏ඪ䭳ᶞ⟋ඦ⢿䭴ඦ#䭳ᶞ⟋ඦ⢿#䭴ᤆ#ᅂኮ♞# 㑳ಪ⦦ⵞᵮ#⚫⚗#Ḯ᎞+⩪㔆ⵞ൮#ᒃ, ##=0⩪/#/#+⩫,##㑳#⚫♺# Ꭺ㘆#Ḯᩖ/#㑳ಪ⠂#Ḯ᎞+⚲=#/#/# Ḫ᭒/#◲⢮ඟ⣆㜶#ᖛ#⚖,

0 +Ḫ᭒Ⳣ⚖,

᭒Ⳣ⚖᳓◲+⢻⢫⠢#᳂⚫㚿ㆆ, #举᭒ᖊ#⡖❺◮#Ḫ᭒#ᎪⅫ#ⵞ಺᩶⤛ᑮ#⤚⅖ #丿#ᯞ#⇊#ᬞ#㝮#Ḫ #乀Ḫ᭒ᎪⅫ#⇊#ᵮ#಺᩶⤛ᑮ# 0 +Ḫ᭒Ⳣ⚖,4◲#⟊0 +⚫⚗Ḯᩖ2 Ḫ᭒Ⳣ⚖, ⎖⠂⠂⢺⋂#Ữ⦻#㘂㙏⤚⢿/#ᅞ❓⚫⚗#⸿ ᭒᩶⤛ᑮ#ඦ#⎖⠂

໚⦪⢺⋂#⠞Ⅻඦ#Ტ᎖ᤆ# #䮝⠢⩇⟊ᯞಪ#◮፶#Ⳣ⚖♺#ᗚᨢ#⢺⋂ᤆ#Ḯ㘂ᬚ/# ⋂ಪ#ᅘ⟪#⎆⇎♺#Ꭺ㘆#൮∷⢫#ᩖ#

⎖⠂5ඦ# 㝮⩲ඪ# Ჹ#⩪❺

ඦ#Ḯ#ೆ+◲,#=#5Ⳓ#ಪ⠢⩇ඦ# ⩇໚ඪ#⅖㝮#⩲#ඪᩖ #举㛿⠢⢺പ#0A#Ḳ⎆᳓ᯢ⣆ #丿⠢⩇໚ඪ#Ữ⢺#ᶞ⛮⩪ ##=⠢⩇໚ඪ#⇎㎯/#⤚ᣏ/#᭒፲㇚ᩫ#ಿ #乀㛿⠢⢺പ#)#⠢⩇⟊㝒໚ಮ#㘳+6ᇮ,#⟊ #乁㛿⠢⢺പ#ඦ♺#ᗚᠦ#⠢⩇⺒∶#

㝮⩲ඪ# Ჹ#⩪❺

൚ඦ#ḪḮ#⛮⢮#ඟೆ+◲, #举᭒ᖊ#ᩚ⠞⩻⠂#⩇൚ඦ #丿#ᖛ/#⢮#ᅞ#Ḯ #乀⛒ᠦ⠢2㖮ᠦ⠢ #乁ᲢỮ⢺#ᶞ⛮⟮#➮㘆#⩪❺#⚚൮ ൚ඦ#㜆❓ #举⠢⩇൚ඦ⛪#⢿⚚൮ ###⠢⇦㎚Ặ=#❞⚫Ữ/#໚ᶢᶞ⟋᥶/#ᶞ⟋Ჾ❚ⵂ ###ᖾ⍎⠢⇦㎚Ặ=#Ტ⠢⩇໚ඪ#ᶞ⟋᥶⩪❺⦻᎒ ⅖㝮#⩲#ඪᩖ #举4ᇮ#⚚⦻#⩲#ᩖ#

⅖㝮 ඪᩖ# Ჹ# ⩪❺

ϣ㧥GܶT]TYϤZㆱG㥒ᆉⴁ⼦Gⰽ⮊㈽ቍO⫑P

4# 5 #6 +㚮#⋂#Ჹ#ᶞ,+㑳ಪ⣆+,,+⠺᳆⢫#Ⳣ⚖#Ჹ#⋆㜂⢫#㑳ಪ+◲,, ##=⠢⩇໚ಮ♺᩶#⩻⦻ᓂጾ#㚮⡏⠂#㙲⢺#ೆ⇊ #丿⅖㝮⢺പ+Ḳ⎆᳓ᯢ,ඦ#⟊㝒໚ಮ# ##=⦦✾㘗᭓#Ḫ⢫⢲⋂⦪#㛿⠢#⎆#⎆⇎㑺 #乀⩲#ඪᩖ#❚⋂⢿ᑮ♺#ᗚᨢ#Ⳓᖛ⟊㝒໚ Ữඊ

ຆ2⡖⠢⩇⠂#⢲Ⳓ#Ⳓᵮ㛾 ᣒ#ᣏ⠂#⢮ᯢ⇛#⋂⦪#⣆ඊ #举⠺ⵞ⢺പ#ᣏ#ᣏ0ᶞ⟋⢿ᶞ⇦ #丿㚮⡏ඪⳚ⠺/#⎖⠂➮

Ữඊ

㑳ಪ⠢⩇#Ⅻ➮໚ถ# #=⣆ᑮ⠂#ᑯᩧ⇛#Ჹ#⠦ඪ⢫⠢#᳓㙏⇛#⟊⩪ᨦ# ➮㘆#Ⅻ➮໚ถ#㗮✾+ᶟ⩪Ḫ⡏ඪᣣ#⢿ᑮ, ඊ൧ᣏ#⡏ඪⳚ⠺# #0ඊ൧ᣏ⠂#⟊ፏ㘆#㚮⡏ඪⳚ⠺#⠢ᣏ#㜆❓+◲,#㗮✾ #0⎊ຆ2⠦᳂2ຳ#Ḯ+◲, Ტ⠢⩇໚ඪ+4ೆ,⟊⠯᳓ᴿ 㑳ಪ⠢⩇#Ⳣ⚖♺#Ꭺ㘆#⡖⢿⡖❺#⚚൮#㗮⋂ ##+ᲢⳢ⚖⎆⇎⠂#⠢⩇Ⳣ⚖#໚Ḫ⚖,

㍣⩿

㑳ಪ⚫⚗⠂#Ḯᩖᤆ#ಪ⠢⩇#Ⳣ⚖♺#㘆# ᎞# ⎆⇎#Ჹ#㜂൧#ඪᣒ#㑳ಪ♺#Ꭺ㘆#⩪⠺ⵞ#Ⳣ⚖# ಿ㛾##⠢⩇ท⠂#ᶞ⟋#⚫⚗♺#Ꭺ㘆#⦻ඦ# ⢮ᯢ⇛#㛿ᶞ Ḫ᭒ಪ#ಪ⠢⩇♞ᩚ⠞⩻#⠞❓#⎆#ᶞ⟋Ჾ ⵂ# #4#5#+#㒖,

⩪㔆⠂#ᅆ⠞ᑮ/#⢫⢲⇛# #举ᅆ⠞ᑮ#⢿=#ᯢ㘗#ಮ#⻟➮2⇢Ḫ⋂⦪#⍡㘂ശ #丿⢫⢲⇛#പ㉊=#⎎㘳ᅞ❓#㚮⡏2◮ᒃ⚚ᣣ#ᎪỮ ⢺⋂ⵞ൮/#໚⦪⢺⋂#㙏⤚⢿ #举⢺⋂ⵞ൮#⤚⢿=#6䮫8⢺+ᵪᵮᣏ#ඊ, #丿㑳ಪ⢺⋂#3⢺#⇎#+Ტ⹓⤛⎆#⠢⩇⣆㘆, ###=#3#⢺⋂ᨦ#㒖㘒㘂ᬞ⇆#⢺⋂ᨦ#7#ⵃᑮᤆ#ถ⇛ #乀㉟ඦ໚⦪⢺⋂#Ⅻ㙏⤚⢿+:8⢺䮫;3⢺,=#⢺⋂Ḯ㒖#⢿ຆḮ㒖㛾 #乁ⅫᎪ㑳ಪ#ᖛຳ#⅚⹆+e|#⦪㛾#⢺⋂,#=#⢲Ꭺ㑳ಪᑮ#ඊᣎ 㘗᭓#⸾ಪ #0#㑳# ###❞⚫⠺ᤆ⇆#⢮ᯢ⇛ ###෺⅖#⡖෺⟋#໚㜶#⣆ඟ# ඟ㉟ ⩪㔆㍣㛾⩪ㆇ⩪㔆 G⚚ᣣᵮ+⚫◮2◮, G໚ඪຆ᭒##㍣⇛ᵮ+53⠢⠞㘂/# ㉟㘓/#᳓ඦ㝮#ᖛ, G⠞ᣏᵮ+㑳ಪ⠢⩇#ඦ#⋂⇛♺# ##ᗚᨢ#Ⳓᵮ㛾/#⠢⩇2⡖⠢⩇2⡖⡖⠢⩇,

G❚⋂㘆#൧ᣏ G຦∷෺⅖⠂#㚮㜓 Gᅘ⟪#⠞⩫ᨊ2⡖෺⟋#໚㜶#⣆ඟ Gᶞ⟋ඦ⢿ඦ#Ⅻ㛢⠻❓2ᴿ#❚ G⾒⇎㎯⠂#

㉟㘓⩪㔆#Ჹ#㔆#ᵮ㛾 #举㉟㘓⩪㔆+◲, #丿❚⋂♞ᩚ⠞⩻#⇊ᵮ⟮#➮㘆#⩪㔆Ⳓᵮ㛾 #0ඊᖇ⢺#⠢⩇໚ඪ=ಮ∶⩪㔆⢫❓/#Ⅻ➮⩪㔆⇊ㆇ#㝮##㘗#ඊ#⸾#⠢ #乀608⇢#ኮᩖඦ⢿#ᅞ❓⟮#⩪㔆⠂#ᶞ⟋ඦ⢿♺#᳂⚫ ⢺⋂ⵞ൮#ᵪ൧+4◲♺#⸾ಪ⅖㘗, #0⩪㔆㘗᭓⠂#⦻✾ᑮ♺#ᗚᨢ#ಪ⦻⼂#㗮✾

ϣ㧥GܶT]TZϤZㆱG㥒ᆉⴁ⼦G⽉㧥O⫑P

# #

43(#+, ඊᣎ⅖㘗=#Ḫ᭒Ⳣ⚖#⢺⋂#㜆❓᳓◲♺#Ꭺ㘆#໚Ꭺ⛪#㋖⠺Ữ❓♺#ᗚᠦ#㘓ᩖ⢫⠢#⠢⩇൚⢿#Ữ⟒#⇎⢿#ಪፏ# DEF +ಮ⢻⢫⠢#᳂⚫㚿ㆆ,+ಮ⢻⢫⠢#᳂⚫㚿ㆆ,#+Ḫ᭒#⩫⢻㑳ಪ, ⩿ᖊ#⡖❺◮#Ḫ᭒#ᎪⅫ#ⵞ಺᩶⤛ᑮ#⤚# ###Ḫ᭒㑳ಪ⢺⋂ᤆ#᳂

㚮⡏ඪⳚ⠺ಪ#Ḫ᭒ᎪⅫ#ᯞ⇊#⇊ᵮ#ⵞ಺᩶⤛ᑮ#⤚# Ḫ᭒#ᯞ⠻➮#⇊ᵮ#ᬞ᎞#㝮#Ḫ᭒ᬞ᎞#ᶞඊ⇆᭒⇆㒖㇚⨲-#㜆❓#᳓

⢺⋂#᳂⚫♺#Ꭺ㘆#ඊᣎ⅖㘗#᩶⤛ᑮ♺#Ꭺ㘆#ඊᣎ⅖㘗᳂⢫⠢#ඊᣎ⅖㘗 ⢫㑳⢿⠂#㘆൮# ⋂ᤆ#᳂⚫ᓊ#൧❚#Ḫ᭒㑳ಪ#⢺⋂⠂#⢮ᯢ⇛#ᯢ ⠞ಪ#ᩚ⠞⩻♺#൮∷#ᎎᇪ☦#㘂ጾ#㜓♺#㘆#ೇඪ# ᯢ⣆#

ᯞ⇊#㔆⩻⠞#㑢⦻ᓊ#❚ Ḫ᭒⠂#᩶⤛ᑮጾ#⦦ඪ⢫⠢#᎒⟦ᤆ#⠢⩇♞ᩚ⠞⩻⠂#⩲⢫# ⋂⦪ඦ#ᯞඪ㘊#⋂#⠲ Ḫ᭒⠂#໚Ꭺ⼂ಪ#♞ᙊᅺ♺#ᗚᠦ#᩶⤛ᑮಪ#᎖ᠦ⩲#⋂#⠲

᭒ಪ#㑳ಪ⠺ಪ#ᓂጾ#ഭ♺#Ꭺ㘞#㚮⡏⠂#ചḪ಺⠞#⤞⡖㘒 #ᬯ⠂#Ḫ᭒ᨦ#Ꭺ㔆⇛#⠲ശ#ถ⇛㘊⩪♺#Ꭺ㘆#ඊᣎ#㗮 ⢮ᯢಪᤆ⇆⠂#⋂✾⠺#⠯⡏⠂#㑳ಪಪ#⢮ᯢಪ#ඪ⢺⠂#ೇඪ ⢫#㑳ಪᨦ#✆උ㘊#⋂#⠲⟶ ᑮ⠂#㑳ಪ⠢⩇#㘗᭓#Ჹ#⩪㔆⠂#ᩲᣒ⠞#✾ถᓒ ᖊ#Ḫ᭒⠂#⋂✾⠺ᤆ⇆⠂#⠂ൖ⟮#᳂⚫㘊#⋂#⠲

D/#F◲#ᎪỮ#Ữ❓ඦ#⎆ಮ⟮#⢲಺㘒 F◲#ᎪỮ#⎎⩲⢫⠢#⋂✾⠺⠂#⠂ൖ#᳂⚫#ಪፏ ☻⢫㑳⢿⠂#ᶞ⛮⟦ᤆ#⩲⢫㑳⢿⟮#㜆❓㘊#⋂#⠲⟶#

D/E#ᎪỮ#⠦⢿#⦪⠂#㝲ᣒ⟮#᳅⟪#Ḫ᭒ಪ#㑳ಪ㘂ᱪᤆ# ⎊ᥚᑮ⛪#ೇඪ⇛⟮#ሼ⠦#⋂#⠲ ⋂#⤚⅖⠞ᱪᤆ#⎆ಮඦ#⠢ᣏ⠞#᩸⠞#✾ถᓒ ⤛ᑮᨦ#⢺⋂ᤆ#ೇඪ㛾#㘂ጾ#ഭ⠂#♞ᣎ❪

㚮⡏ඪⳚ⠺⠂#♯ᯞඦ⦻ ᯞ⇊㔆⩻⠂#㑢⦻#❚ ᩶⤛ᑮᨦ#⢺⋂ᤆ#ೇඪ㛾#㘂ጾ#ഭ⠂#♞ᣎ❪#

∷⢫⠢#Ḫ᭒㑳ಪ⠺#㝲ᣒ#Ჹ#ඪᩖᨦ#➮㘆#Ữ❓#∶# D/#E◲#Ữ#⩲⢫⠢#⋂✾⠺⠂#⠂ൖ#᳂⚫⠞ᠦඊ#ᶞ໚# ᣎ❪# 㘳# #⣆-

ඪᣒ#⣆ᑮ-G5345ᇮ#⎆#ᓂ#⠲#Ḫ ᭓⢫ᶞ⟋⇆Ữ⍎♺#Ꭺ㘆#⩲⢫#㑳ಪᨦ#Ḫ᭒⠂#ኲሼ⠞♺⇆#⠞ᦒ♞⩲#⋂#⠲ᑮᤇ#㘂⚖#㑳ಪ⠢⩇♺#Ꭺ㘆#Ḫ᭒⠂#⎊ᥚᑮᨦ#ሼඊ⠺#㘒 ⠺൓ඦച♺#♞ᩚ⠞⩻⟮#4ᇮ#⠞Ⅻ#ᎎ፶#⠺ᇪಪ#⠲ጾ#Ḫ᭒ᤆ#Ꭺ㘃#⤢♯#⠞Ⅻ⠂#㘃ᣏ#ᶞ⟊ 53ᬯ#ᅞ ⇛#෺⟋♯ᯞፏᣏ⟮#➮㘆#⹓Ḯ㘆#෺⟋ඦ#㚮⡏⎎⍟#ᖛ#㝲ᣒ⠂#໚㜶ᨦ#⣆ #⎆5345ᇮ#7❾#Ḫ #Ḫ#4⠢#433⠢#⠞#♞#☧#:33ೆ#ᅞ#㎶ ᳂⚫♞ᩚ⠞⩻⠂#㍣/⡏⢺⟮#㑳⢿㘂⚖#⣆⹆㘂ඊ#⎖⠂#⎆#Ⳣ⤚⠺᥶ᤆ#㜆 ㍣⩿Ḫ᭒⇆㒖㇚⨲⠂#⇎⼂#❞⚫#Ჹ#ึ㘆⠂#ᴿ⢫຦ചᨦ#ᩲᣒ㘂ඊ/#Ḫ᭒#Ⳣ⚖⛪#㜆ᒃ#⎎⢫⠞#❚⋂㘆#♞ᩚ⠞⩻♺#Ꭺ㘞#ಫ⤯#⠢#Ḫ#⚞#❞#⟊+5345ᇮ#6❾# ඪ൮Ḫⵂ㚻ᒃ䭳ᶞ⟋⇆Ữ⍎#ೆ⇊#Ꭺ⳯䭴,

ϣ㧥GܶT]T[Ϥ⌉‱G㇁⭵G↲⫑Oܴ⴮P

강수경(2009).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의 평가위원의 인식.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혜진(2003). 어린이집 평가인증준거 개발연구 분석 및 평가인증준거 대안모색. 한 국영유아보육학, 33, 93-112.

김경혜‧김진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반응 분석. 열린 유아교육연구, 11(6), 85-112.

김동례(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 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동례‧이현경(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참여교사와 비참여교사의 직무만족도 비 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48.

김온기(2006). 평가인증 운영체계 및 인증지표. 여성가족부 보육시설 평가인증 공청 회, 1-80.

김온기(2010). 제2차 보육시설 평가인증 운영체계와 지표. 육아정책포럼, 17, 15-25.

김향은(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 가인증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나정·장영숙(2002). 미국의 유아교육과 보호정책 동향. 서울: 양서원.

대한민국정부(2011). 2012년도 세입세출예산안 사업별 설명서 4권(지식경제·보건복지).

대한민국정부(2012).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5): 2012년도 시행계획.

마미정(2006). 성공적인 보육시설 평가인증 준비과정을 위한 질적 접근. 미래유아교 육학회지, 13(3), 111-135.

박자연‧김희진(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평가인증에서의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 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1-23.

보건복지가족부(2009). 보도자료(2009. 9. 16).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보육기반과.

보건복지가족부(2010). 보도자료(2010. 1. 18).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보육기반과.

보건복지부(2010). 3월 보건복지 동향.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2010). 보도자료(2010. 3. 25). 서울: 보건복지부 보육기반과.

보건복지부(2012a). 2012 보육통계(2011년도 말 기준). 서울: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보건복지부(2012b).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2012c). 제정‧고시 제2012-23호(2012. 2. 16).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2012d). 보도자료(2012. 4. 1). 서울: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서문희‧김온기‧김명순‧서영숙‧이완정‧서소정‧나종혜‧김은영‧이계윤‧이원선‧송신영‧

신희연(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행의 평가와 추진방안 연구. 서울: 보건 복지가족부‧육아정책개발센터.

서문희‧김온기‧이정원‧송신영‧원종욱(2010). 평가인증 활성화 및 민간보육시설 서비 스 질 제고 방안.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서문희‧김혜진(2012).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서문희‧신희연‧송신영(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효과 분석: 사전‧사후 관찰평가 비 교.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서현(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준비과정에 나타난 보육교사 경험의 의미. 한 국영유아보육학, 50(9), 1-29.

심인선(2007). 경상남도 보육시설 평가인증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 경남: 경남발전연 구원.

원정아‧이진희(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 전후의 교사 효능감과 평가인증과정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아동교육, 17(4), 213-224.

유희정(2007). 보육시설평가인증제도 평가 및 발전방안 모색. 육아정책개발센터 세미 나자료집, 3-44.

유희정‧이은해‧최정운‧김문정(2007). 평가인증을 통한 보육시설 서비스 개선 효과분 석 및 발전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유희정‧이은해‧황영자‧이옥‧김명순‧전해순‧이완정‧백혜리‧이미화‧이윤경‧박금희‧강정 희(2003).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모형개발. 서울: 보건복지부‧한국여성개발원.

이대균(2005).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비교 분석. 유아교육학논 집, 9(2), 125-150.

이미란(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준비에 따른 시설장과 교사의 직무인식 조사연구.

이미란(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준비에 따른 시설장과 교사의 직무인식 조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