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록 5-4> 공공성 평가요소별 점수화 방법 참조)

(1) 토지이용측면

주변 토지이용과의 정합성은 주변 토지이용패턴을 조사하여 유사용도일 경우 최고점수를 부여하고 무관한 용도일 경우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 하였다.

개발밀도의 적정성은 주변 용적률수준(법정용적률)과 비교하여 높을수록 차등 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주변 지역에 미치는 교통영향은 역사와 인접한 도로 서비스 수준을 일일평균 과 첨두시로 나누어 열악할수록 낮은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경우 민자역사 건설 이전과 비교하여 상황이 유지되면 가장 높은 점수를, 악화되면 악 화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자료획득의 어려움으로 몇몇 역사에 대해서만 실시할 수 밖에 없었다.

(2) 건축환경측면

민간 복합시설 용도의 적정성은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적합한 용도를 가 장 적정한 용도순대로 도출해낸 뒤 시설이 해당되는 용도별로 차등적으로 점수 를 부여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지역의 사회․문화․복지시설 등이 적합 하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판매영업시설, 지역전략시설, 업무시설 순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지역문화시설과 복합하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판 매영업시설에 그 다읍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외부공간과의 연계성은 외부공간에서 시설내부로 진입할 때 식별성이나 장애

서울역 82,125.72 15,965 0.19

수원역 22,263.80 13,748 0.62

안양역 525.78 8,659 16.47

용산역 22,830.12 26,380 1.16

대구역 14,975.84 11,814 0.79

순수 역사

대전역 38,696.95 17,899 0.46

광주역 6,658.33 6,698 1.01

부산역 44,406.70 15,960 0.36

동대구역 49,915.18 24,182 0.48

천안역 18,853.84 11,221 0.60

<표 3-7> 역별 이용객현황 및 역무공간

(단위 : 인/일, ㎡, 일․인/㎡)

제 3 장∙공공성평가를 위한 틀 및 지표개발 31

4

C ․ H ․ A ․ P ․ T ․ E ․ R ․ 2

민간참여형 복합도시계획시설의 공급실태 분석 및 공공성 평가

본 장은 민간참여형 복합도시계획시설중 사례시설로 선정된 민자역사, 주차장, 버스 정류장을 중심으로 평가의 틀에 맞추어 공급제도 및 공급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 태분석을 토대로 사례시설에 대하여 공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에 앞서 평가를 위한 평가방법과 점수화방법을 도출하였고 정량적 변수와 정성적 변수를 혼합하여 항목에 따라 방법을 달리하였다. 특히 정성적 변수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가중치설정과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가에 반영하였다. 항목별 가중치를 조사 한 결과 복합시설용도의 적합성, 외부공간과의 관계, 시설물 배치의 효율성, 시설의 상징성, 지역주민을 위한 배려 등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자 시설이나 순수시설이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