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당 도시계획시설과 복합되는 건축물의 용도가 적정한지, 외부공간과 유기적 으로 연계되고 개방되어 있는지를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내부

공간의 효율성·편의성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환경 측면은 복합이용시설 용도의 적정성과 외부공간과의 유기적 연계성, 내부 편의시설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주요 지표로 선정할 수 있을 것이고 외부공간과의 연계성은 외부공간으로부터 해당 시설로의 진입 용이성과 시설의 개방성, 내부 시설물 배치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가장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2) 공공 서비스 측면

공공 서비스 관점에서 본다면 서비스 이용객들의 만족이 가장 중하다고 볼 수 있으며, 지역사회를 위한 기여부분도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1) 시설이용객 측면

이용대가의 적정성, 편의시설의 충분성, 적정 서비스 거리 및 위치(입지), 식별 성, 접근성(교통수단의 연계성, 혹은 도보권), 시설내부의 쾌적성 등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용대가의 적정성은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가능한 환승주차장에만 적용가능하고, 수익성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기로 한다.

편의시설 등 공용공간의 충분성은 도시계획시설에 있어서는 아주 중요한 지표 로서 이용객의 대기공간이나 편의시설의 다양성 및 충분한 확보의 정도를 분석 할 수 있다. 이와함께 도시계획시설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적공간과 사적공간과 의 비율, 장래 확장가능성 등에 여지를 고려한 공간확보를 제기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러나 공적공간과 사적공간 비율의 적정성, 장래 공공공간의 확장가능성 등은 절대적 기준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많고 평가에 어려움이 뒤따른다. 따라서 공공서비스 관점의 편의시설 등 공용공간이 충분한가로 통폐합하여 이용객 및 승무원의 만족도, 이용승객 1인당 역무공간에 대한 조사로 대체하기로 한다.

시설로의 접근성은 시설의 입지적정성 및 서비스거리의 적정성을 나타내는 척 도로서 중요한 지표로 선정할 수 있다. 시설의 식별성은 외부공간과의 연계부분 에서 다루는 것으로 설정하고 다만 시설 내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건축환경의 시

제 3 장∙공공성평가를 위한 틀 및 지표개발 27

3. 공공성 평가방법

1) 점수화 방법

공공성 평가는 요소별 속성을 점수화하여 수행하였고 점수화 방법으로는 정량 적인 평가방법과 정성적인 평가방법을 병행하였다.

정량적 방법은 공공성 평가 요소 중 계량화가 가능한 것을 중심으로 적용하였 고 정성적인 것은 정량화가 불가능한 것을 중심으로 적용하였다.

측정방법은 정량적인 사항은 연구진에 의해 항목별 수준을 등급화하여 수행하 였고 정성적인 사항은 이용객 만족도 조사,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정성적인 방법은 평가자의 주관에 의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다소 떨어질 가능 성이 높지만 평가요소가 정확하게 정량화되기 어려울 경우 널리 사용되는 방법 이다. 더구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방법이 어려우며, 오히려 정 성적인 방법에 의하는 것이 더 정확하게 사실을 평가할 수 있다.

각 요소별 중요도를 측정하는 가중치 설정에 있어서는 쌍대비교법과 점수평가 법을 혼용하여 설정하였다.(가중치 설문조사 <부록 5-1> 참조)

물리적 환경관점 및 공공서비스 관점, 토지이용측면과 건축환경측면, 시설이용 객 측면과 지역사회기여 측면의 가중치 설정은 쌍대비교법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세부평가지표의 경우는 가장 단순한 점수평가법에 의하여 각 지표간의 절대적인 평가점수를 부여하여 도출하였다.

세부평가지표별 점수화는 5분위의 설문결과를 토대로 2점 ~10점사이의 점수 를 부여하고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한편, 역사의 경우 민간참여형 복합이용시설의 공공성을 보다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몇몇 순수역사에 대해서도 공공성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순 수역사의 경우 지역의 중심역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제 3 장∙공공성평가를 위한 틀 및 지표개발 29

구 분 역 명

민자역사 서울역(통합역사), 용산역, 수원역, 안양역, 대구역 순수역사 대전역, 광주역, 부산역, 동대구역, 천안역

<표 3-6> 공공성 평가를 위한 선정 사례역

2) 평가방법

(<부록 5-4> 공공성 평가요소별 점수화 방법 참조)

(1) 토지이용측면

주변 토지이용과의 정합성은 주변 토지이용패턴을 조사하여 유사용도일 경우 최고점수를 부여하고 무관한 용도일 경우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 하였다.

개발밀도의 적정성은 주변 용적률수준(법정용적률)과 비교하여 높을수록 차등 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주변 지역에 미치는 교통영향은 역사와 인접한 도로 서비스 수준을 일일평균 과 첨두시로 나누어 열악할수록 낮은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경우 민자역사 건설 이전과 비교하여 상황이 유지되면 가장 높은 점수를, 악화되면 악 화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자료획득의 어려움으로 몇몇 역사에 대해서만 실시할 수 밖에 없었다.

(2) 건축환경측면

민간 복합시설 용도의 적정성은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적합한 용도를 가 장 적정한 용도순대로 도출해낸 뒤 시설이 해당되는 용도별로 차등적으로 점수 를 부여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지역의 사회․문화․복지시설 등이 적합 하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판매영업시설, 지역전략시설, 업무시설 순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지역문화시설과 복합하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판 매영업시설에 그 다읍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외부공간과의 연계성은 외부공간에서 시설내부로 진입할 때 식별성이나 장애

서울역 82,125.72 15,965 0.19

수원역 22,263.80 13,748 0.62

안양역 525.78 8,659 16.47

용산역 22,830.12 26,380 1.16

대구역 14,975.84 11,814 0.79

순수 역사

대전역 38,696.95 17,899 0.46

광주역 6,658.33 6,698 1.01

부산역 44,406.70 15,960 0.36

동대구역 49,915.18 24,182 0.48

천안역 18,853.84 11,221 0.60

<표 3-7> 역별 이용객현황 및 역무공간

(단위 : 인/일, ㎡, 일․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