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사자 율성, 교사관심 및 교사헌신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자율 성, 교사관심 및 교사헌신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개인특성(성별, 연령, 교직경력, 계열, 학력, 직위)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 성, 교사자율성, 교사관심 및 교사헌신의 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자율성, 교사관심 및 교 사헌신 설명력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2013년 현재 전국의 농업 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37개, 공업 계 열 특성화 고등학교 202개, 상업 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186개에 근무하는 농업, 공업, 상업 계열 정규직 전문교과 교원 총 11,220명이다. 모집단의 크기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적정 표집수는 371명이었다. 할당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계 열별로 7개교를 선정해 20명씩을 표집하여 총 420명의 전문교과 교사를 조사대 상으로 하고, 학교별 협력자를 확보하여 방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자율성, 교사관심, 교사헌신 및 응답자 일반 사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 탕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의 과정을 도출하고,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하고 학생들 의 현장적응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각 과정들에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문항들을 작성하였다. 영역별 문항 개발, 1단계 예비조사(Field Test), 2단계 예비조사(Pilot Test)를 거쳤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교사자율성 측정도구는 L.Carolyn Pearson과 Hall, B. C이 개발한 TAS(Teacher Autonomy Scale)을 사용하였다. 교육과정 자율성 6문항, 일반적 교수 자율성 12 문항과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관심 측정은 Fuller(1969)의 개념적 모형에 근거하여 George(1978)가 개발한 교사관심 질문지(The Teacher Concerns Questionnaire, TCQ)를 양명희 외(2006) 가 번역한 뒤 수정·보완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기(self) 8문항, 직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교사자율성의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자율성

교육과정 재구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반면 교육과정 자율성, 자기 관심과 전문의식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일곱째, 계열에 따라 각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농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교사자율성, 교사헌신은 교육과정 재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교사관심은 교육 과정 재구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공업계열, 상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자율성, 교사관심, 교사헌신에 의해 유의미하게 설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