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태 국

문서에서 세 계의쌀산업동향 (페이지 58-71)

가. 생산 개요

우리나라의 신혼부부들이 신혼여행지로 선호하는 방콕의 비행장에 도 착하면서부터 무더운 일기가 온몸을 감싼다. 우리나라에서는 쌀쌀한 3월 임에도 태국은 비가 내리는 무더운 계절이다. 아직은 무질서한 교통이 우 리를 답답하게 만들고, 낙후된 농촌의 모습과 천수답에 주로 의존하는 논 이 사방에 펼쳐 있어서 농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개발도상국의 전형적 인 모습을 보게 된다. 미국이나 호주의 농촌에 비하면 엄청난 격차를 느 낀다. 좀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농촌의 하부구조도 낙후되어 있고, 비가 쏟아지는데도 농업협동조합의 마당에 쌓아놓은 벼를 그대로 방치해 놓고서도 태평한 저 농민들의 모습 속에서 저들의 낙천성을 발견할 수 있 다. 그러면서도 벼의 2모작, 3모작이 이뤄지는 이곳이 바로 세계에서 쌀 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임을 알고 나면 거대한 잠재력을 느끼게 된 다. 경제발전이 더 이뤄지면서 농촌의 하부구조가 확충되고 쌀 산업이 본 격적으로 현대화되고 상업화가 된다면 세계 쌀 시장의 그림이 완전히 달

라질 것만 같다.

태국은 2002년 7월 현재 인구가 6,180만명으로 세계에서 19번째로 큰 인구 수준이다. 태국 국민 1인당 PPP GDP는 2002년 7월 현재 $6,683 로 (CIA, 2002), 세계 248개국 중에서 93위에 속하는 수준이다. 이는 동일한 기준을 적용한 남한 1인당 GDP의 37% 수준이다. 총 국토면적은 51.4만㎢ 정도로 남한 면적의 5.2배 수준으로서 세계에서 50번째로 넓은 면적이다.

(그림 3-3-1) 태국 지도 자료: http://media.maps.com/magellan/Images/THAILA-W1.gif

태국의 농업지대는 북부, 동북부, 중부(평야), 남부지역 등 4개 지역으 로 구분된다. 중앙 평야지의 우기(5∼11월) 평균온도는 27℃, 동북부의 저온기(12∼1월)에는 2∼3℃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서부에는 미얀마(Myanmar), 라오스(Laos), 캄보디아(Cambodia), 그리고 말레이시아(Malaysia)와 접경을 하고 있으며, 남중국해(South China Sea)와 인도양(Indian Ocean) 그리고 안다만해(Andaman Sea)로 둘러 쌓여 있다. 태국은 4계절이 있어, 5∼9월 사이에는 남서쪽 몬순(계절풍)기, 10월에는 남서쪽 몬순에서 북동쪽 몬순으로 바뀌는 변환 기,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북동쪽 몬순기, 그리고 3∼4월에는 몬순 이전의 고온기로 분류된다.

비록 비농업부문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농산물 수출의 상대적 중 요성이 1970년대의 75% 수준에서 1990년대의 10.6%로 급격하게 감소 하고 농업부문 생산액은 2001년 태국 GDP의 11%로 감소되었지만, 여전 히 농업은 태국의 큰 특징으로 남아 있다.22) 빠른 산업경제체제로 경제적 변환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전체 인구의 80.2%가 농촌 에 거주하고 있는 나라이다(FAO, 2003). 그러한 관계로 쌀은 더욱 태국 의 주요한 작물이다. 벼 재배면적은 총경지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많은 벼 재배농민들은 대개 자급영농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잉여 생산량만 시장에 출하하고 있다. 이 잉여 생산량은 주로 태국의 중 부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쌀은 전국민의 주식 인데, 연간 1인당 소비량은 2000년말 현재 평균 109.1kg으로 아직 매우 높은 수준이다.

태국 농업 및 협동조합부(MOAC: Ministry of Agriculture &

Co-22)지난 1990년대의 연평균 농산물 수출액은 1,589.4억 Baht(37.04억$)이었으며, 태국의 총 수출액은 1조 4,981억 Baht(349.13억$)로 나타났기 때문에 농산물 수출액은 총 수출액의 평균 10.6%를 차지한 셈이다(단, 환율은 42.91Baht=$1.00).

operatives)의 자료(2000.10)에 의하면, 총농가수는 524.8만호로서 농 가평균 농지규모는 4.04ha(25.24Rai)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태국은 최근 연간 6백만톤 이상의 쌀을 세계시장에 수출해 왔고, 최근 2001년도 에는 736.1톤의 쌀을 수출하였다. 태국 정부는 향후에도 매년 7백만톤 정도의 쌀을 수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주요 쌀 수출국인데, 태국 장립 종 쌀은 고품질로 알려져 있다. 수출되는 하얀 장립종 쌀은 국제시장에서 저품질 등급의 가격보다 상당히 높게 거래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쌀의 고품질을 유지하여 높은 가격을 계속 지속하기 위해서 태국은 새로운 다 수성 벼 품종의 채택율이 매우 낮고 느린 실정이다. 또한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국내에서도 수요가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벼 재배면적은 계속 증 가국면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벼 재배면적 이 거의 1,000만ha 수준을 유지하고 있을 정도이다. 이 면적의 25% 정 도가 관개수를 이용하여 벼를 재배하고, 나머지 논은 거의 천수답이라고 할 수 있다.

태국의 벼 생산지역은 지리적으로나 행정적인 면에서 중부, 북부, 북동 부, 그리고 남부 지역 등 4개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물론, 이러한 4개 지 역은 지리적으로나 기후적으로 서로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상이한 벼 재배환경을 지니고 있다(Thailand MOAC, 2000).

① 동북부 지역 : 태국의 거의 1/3에 해당하는 지역이 바로 북동부 지 역인데, 태국 쌀 생산면적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다른 지역보다 평균 농가규모도 더 크다. 그러나 건기에는 토양침식과 한발이 심하 고, 토양이 물을 오래 보존하기 어려운 토질을 지니고 있는 실정이 다. 전국 관개면적의 20% 미만이 이 지역에 위치하는데, 건기에는 벼 재배면적이 10%도 채 못된다. 농가수는 약 227.3만호 정도로 태 국 전체 농가의 43.3%가 여기에 위치해 있으며, 농가호당 평균 경

지규모는 4.08ha 정도이다.

② 중부 지역 : 중부지역은 벼를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충적토 지역이 다. 우기에는 벼를 이 지역의 대부분에 재배하고 있기 때문에 태국 전체 벼 재배면적의 20% 내외를 차지하게 된다. 농가수는 약 88만 호이고, 농가호당 경지규모는 4개 지역 중에서 가장 큰 5.0ha 수준 이다.

③ 북부 지역 : 북부지역은 약 1,700만ha 정도의 면적을 소유하는데, 주로 낮은 산언덕과 밭이 있는 지역으로 밭벼를 많이 심고 있다. 논 벼는 주로 낮은 계곡주위나 물을 댈 수 있는 계단식 논에다 심는다.

이 북부지역은 태국 전체 벼 재배면적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가수는 129.4만호이고, 농가호당 3.6ha 정도의 경지 규모를 지니고 있다.

④ 남부 지역 : 남부지역은 태국남부반도 동서해안을 접하면서 남쪽으 로 뻗어 내려가는 형상을 지닌 곳인데, 전국토의 14% 정도를 차지 하며, 전국 벼 재배면적의 6% 정도가 있다. 이처럼 벼 재배면적의 크기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항상 지역내 쌀의 자급이 불가능한 지역 이다. 약 80만호 정도의 농가가 존재하는데, 북부지역과 같은 3.6ha 정도의 농가규모를 지니고 있다.

태국은 열대성 4계절을 가지고 있는 바, 이들은 남서부 몬순기(5∼9 월), 남서부-북동부 몬순 변환기(10월), 북동부 몬순기(11∼2월), 몬순前 혹서기(3∼4월) 등으로 분류가 될 수 있다. 쌀은 태국의 주요작물로서 최 대의 수출품목이다. 약 1천만ha에서 생산되는 2,300만톤의 쌀 중에서 약 29%(680만톤)가 수출되고 연간 수출액이 20억$ 정도로 국제시장에 서 태국이 가장 큰 쌀 수출국이다. 수출 쌀의 주산지는 중부지역이다. 1 인당 년간 소비량은 2000년말 현재 약 109.1kg 수준이다(FAO, 2002).

벼 재배면적은 총 경지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쌀 생산자들 은 주로 자급자족적이며, 쌀 경제는 현재 과도기에 있다. 지난 1960∼

1980년 동안에 벼 증산의 주요인이었던 면적 확대는 1980년대 초반에 이미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아직은 고품질, 다수확 품종이 부족하고, 비농업 부문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농촌노동력 부족현상이 초래되고 있 다. 그 결과로 노임의 빠른 상승은 태국의 쌀 생산비를 인상시켜서 이윤 을 감소시키고 있다. 국제시장에서 쌀 가격의 장기적 하락추세와 함께 베 트남이나 인도와 같이 생산비가 저렴한 쌀 수출국들로부터 점증하는 경 쟁에 직면하고 있어서 대내외적으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벼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 농림부 산하 「쌀 연구소」(The Rice Research Institute) 중심의 품종향상 및 작물관리 향상을 통한 제고노 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벼 품종향상, 재배 법 개량, 최적 시비법 개발, 효율적 화학 및 생물학적 병해충 방제, 농기 계 개선, 종자 개량 및 수확후 가공기술 향상, 비효율적인 벼 재배지역에 는 대체작목 개발, 윤작 강조, 지속적인 벼 재배를 위한 환경보존적 시비 법 등에 관한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나. 생산 및 수출현황

태국에서 관개답은 벼 생산면적의 25% 정도이고, 천수답이 75% 수준 을 유지할 정도로 농업의 하부구조는 아직 취약한 상황이다. 최근 몇 년 간, 건기에 관개되는 벼는 총 벼 재배면적의 10%를 차지하고 있고, 여기 에서 생산되는 쌀은 태국 전체 쌀 생산량의 약 19%를 차지한다. 주요 재 배지대는 전체 벼 재배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동북부 지역으로, 전 통적 고품질 품종이 재배된다.

태국의 쌀 수확면적은 1961년의 612만ha에서 2000년의 1,005만ha로 무려 64.2%나 증가하였다. 전반기(1961∼1980) 말에는 전반기초 대비 50%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후반기(1981∼2000) 말에는 후반초기 대 비 10%가 증가하여서 최근에는 그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 다. 전반기의 연평균 수확면적은 738만ha이었으나 후반기의 연평균 수 확면적은 940만ha 수준으로 동기간 27.4% 정도 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벼 수량(조곡)은 1961년의 166kg/10a에서 2000년에는 233kg/10a로 40%가 증가되었는데, 그 증가율은 과학기술의 도입, 품종개량 등의 노력 으로 수량이 향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반기의 평균 수량은 183kg/10a였고, 후반기의 평균 수량은 217kg/10a로 후반기에 18.6%

더 높은 수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면적과 수량의 증가에 힘입어 쌀의 생산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0년의 생산량은 2,340만 톤으로서 1961년의 1,015만톤 대비 2.3배 수준으로 증가하였는데, 전반 기의 연평균 생산량은 1,350.2만톤, 후반기 연평균 생산량은 2,040.1만톤 으로 전반기 대비 무려 51.1%나 높은 수준이다.

비교적 대규모 농가의 상업적 쌀 생산은 대부분 관개시설이 되어 있는 중부와 북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평균 벼 수확량은 현대의 품종들이 관개지에서 우기(5∼12월)에는 200kg/10a, 건기(12∼5월)에는 430kg/10a 수준의 수량을 보이고 있다.23)

지난 1980년대 후반까지 태국 쌀 증산의 주요인은 경작면적의 확대였 다. 벼 수확면적은 1961년의 612만ha에서 1999년의 1,008만ha까지 꾸 준히 증가하다가 2000년에는 1,005만ha로 다소 감소된다. 이 면적확장

23) 태국의 쌀 관련 단위: 1 picul=60kg; 1 catty=600g=6kg; 1 kwein=2,000 liters; 1 ban=1,000 liters; 1 sat=20 liters; 1 thanan=1.0 liter; 벼 1 kwein=벼 1mt; 1 rai=0.16ha=0.395acre

은 1968∼88년 동안에 쌀 증산요인의 75%를 차지한다. 그러나 이처럼 면적증대에 따른 증산은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 지난 10년 동안 벼 수 확면적은 연간 겨우 0.2% 정도씩 증가하였다. 하지만 보다 효과적인 수 확방법의 확대보급과 건기의 다수확 품종채택으로 1990년대의 증산을

<표 3-3-1> 태국의 쌀 생산 현황(1961~2000)

년도 수확면적

(ha)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평균 '80/'61

6,120,000 6,540,000 6,500,000 6,310,000 6,270,000 7,353,000 6,400,000 6,940,000 7,259,000 6,854,000 7,096,000 6,780,000 7,743,000 7,333,000 8,357,000 8,167,000 8,750,000 8,935,000 8,654,000 9,200,080 7,378,054

1.50

자료: FAO, Database, 2001.

년도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평균 '00/'81

수확면적 (ha) 9,105,026 8,940,017 9,606,013 9,629,710 9,833,074 9,194,021 9,147,076 9,905,932 9,879,040 8,791,885 9,052,960 9,159,680 8,482,400 8,975,229 9,112,951 9,267,200 9,912,790 9,900,000 10,080,000 10,048,000 9,401,150

1.10 1.64

수확면적 (ha) 1,952 1,888 2,035 2,067 2,061 2,052 2,015 2,147 2,085 1,956 2,253 2,174 2,175 2,352 2,416 2,410 2,379 2,302 2,313 2,329 2,168 1.19 1.40

수확면적 (ha) 17,774,320 16,878,512 19,548,944 19,904,816 20,263,872 18,868,160 18,428,272 21,262,896 20,601,008 17,193,216 20,400,000 19,917,000 18,447,000 21,111,000 22,015,500 22,331,600 23,580,100 22,784,436 23,313,000 23,402,900 20,401,328

1.32 2.31 수량

(kg/ha) 1,659 1,720 1,873 1,838 1,781 1,836 1,750 1,788 1,847 2,021 1,937 1,831 1,924 1,825 1,831 1,845 1,591 1,955 1,821 1,888 1,828 1.14

생산량 (MT) 10,150,000 11,250,000 12,171,000 11,600,000 11,164,000 13,500,000 11,198,000 12,410,000 13,410,000 13,850,000 13,744,000 12,413,000 14,899,000 13,386,000 15,300,000 15,068,000 13,921,000 17,470,000 15,758,000 17,368,096 13,502,000

1.71 2000/1961

문서에서 세 계의쌀산업동향 (페이지 58-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