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에는 소비의 의미와 행태가 어떻게 사회적 지위와

문서에서 공공임대주택의 성과와 발전방향 (페이지 62-66)

연결되어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Hyojung Lee (hereafter ‘Lee’) Thank you so much for your willingness and kindness in accepting this interview for the KRIH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magazine.

Before we get started,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and your research interests briefly?

Elizabeth Currid-Halkett (hereafter ‘Currid-Halkett’) Sure.

Thank you for having me as an interviewee.

My name is Elizabeth Currid-Halkett. I am the James Irvine Chair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d Professor of Sol Price School of Public Policy a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 study economic development, but my particular interests are in the arts and culture and most recently consumption norms and practices and how they relate to status.

Lee Although your works cover various fields of economic geography, it is noticeable that your research hav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links between arts, culture, and urban development, including your first book “The Warhol Economy:

How Fashion, Art and Music Drive New York City” which was also reprinted in Korea.

Could you share your story what led you to be interested in the topic?

Currid-Halkett Well first of all, thank you, that’s very kind of you to say. I remember when my book came out in Korea – I was so excited and proud! I also loved the cover. I couldn’t believe people who lived so far away from the United States were so interested in my research on the

arts and culture in New York City. I was very honored.

I became interested in the arts as a graduate student at Columbia University. I was always fascinated with uneven economic development – why some cities and regions were vibrant and others were in decline.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 the ebb and flow of Detroit’s economy but also the mystery of resiliency and conversely stagnation.

Intellectually, I was always intoxicated with the mythology around Silicon Valley and Hollywood and I realized as I studied these industries and geographies more closely that their success was so significantly embedded and entangled with one another. Living in New York City, I saw this same place branding by Wall Street, and Wall Street’s dependence on New York City. But I also saw this interplay between the arts and New York City and also the massive concentration of cultural industries in New York above all other places. I found the counterintuitive nature of this concentration intriguing: Why would starving artists who had no money and needed lots of space move to New York City in droves when it would be much more economically rational to live in the Midwest in cheaper more spacious housing that would afford them the time to work on their craft? I realized no one had ever really studied the arts from an economic geography lens, so I set out to do that.

In my work I found that artists depend heavily

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들에게 파티나 오프닝행사, 나이트라이프는 경제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예술가들은 어디서나 일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과는 달리, 이들은 아이디어를 교류하고 협동하기 위해 다른 예술가들의 가까이에 입지하고, 필요하면 즉시 예술가들의 능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계와 작품가치를 매기는 게이트키퍼 (gatekeeper: 출판사나 편집자, 큐레이터, 구매담당자 등 많은 작품 중 주목할 만한 것을 골라 정리해주는 사람 들)와도 반드시 가깝게 지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음악평론가, 예술작가, 갤러리 소유자가 예술을 평가하고 가 치를 매기기 위해, 예술은 게이트키퍼들과 근접해 있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예술가들은 보다 성공하 기 위해 그들이 창조적이고 세계적인 대도시로 가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의 연구자들이 교수님의 연구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중 하나로 한국, 특히 서울에서 영화, 드라 마, 음악, 패션 등 문화산업이나 창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도 시에서 예술적이고 문화적인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요소나 정책입안자들이 교수님의 연구에서 얻 을 수 있는 정책적인 시사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커리드할켓 문화산업에 대한 제 연구의 가장 중요한 결론 중 하나는 도시계획가들과 정책입안자들이 예술가의 사 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도록 (특히 오히려 저해하지 않도록) 만드는 방안을 반드시 찾아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나이트라이프나 갤러리, 공연장으로 지정된 공간들이 예술활동을 활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가 들이 노력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업들은 특히 거주자들이 처음에는 이와 같은 활동을 즐기다 가 점차 다른 것(예를 들어 조용한 주거지 거리)을 요구하기 시작하는 젠트리피케이션 같은 현상에 의해 자주 퇴 출되어 나갑니다. 그러나 창조적이고 사회적인 공간들을 알차고 활기찬 곳으로 유지해 나가는 것은 문화산업의 발전에 있어 중요합니다. 계획가들은 예술활동과 번창하는 문화공간들을 잘 보호하여야 하며, 이는 특히 갤러 리, 바, 공연장 등이 이미 처음부터 존재했을 경우에 더욱 중요합니다.

두 번째로, 도시가 도시 자체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도시들이 도시 자체의 특성에 맞지 않는 다른 어떤 도시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자신들의 장점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중서부의 한 도시가 갑자기 할리우드처럼 변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이 도시가 특정한 음악장 르와 같이 다른 유형의 문화생산의 중심지가 될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인디 록 밴드 Bright Eyes는 네브래스카 주 오마하 출신이며 애틀랜타는 매우 재미있는 힙합장르가 만들어진 곳입니다.

이제 교수님께서 가장 최근에 수행한 연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교수님께서는 「The Sum of Small Things: A Theory of the Aspirational Class」라는 제목의 책을 쓰시느라 요즘 바쁜 시간을 보내셨고, 그 결과 2017년 봄 출간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와 독자들에게 이 책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커리드할켓 저는 이 연구를 매우 흥미롭게 생각합니다. 저는 문화상품이 어떻게 생산되고 그 가치가 결정되는 지를 연구하는 데 제 경력의 대부분을 보내왔습니다. 이번에 새로 나오는 책에서 저는 사회가 어떻게 상품을

on their social lives for their careers and economic outcomes. Parties and art openings and nightlife performed an economic function. Despite the belief that people can work anywhere, artists need to be physically near other artists to trade ideas and collaborate, industries that need their skills at a moment’s notice and critically the gatekeepers who valorize their work. For a music critic or art writer or gallery owner to be able to judge and value art, the art needs to be close by the gatekeepers. So artists know they must be in a major creative global city to make it.

Lee I guess one of the reasons that Korean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your works is that Korea, especially Seoul, has been working to foster its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film, TV drama, music, fashion, and so on. Could you share the findings of your works regarding key factors in promoting artistic and cultural activities in urban areas and policy implications that policymakers can learn from?

Currid-Halkett One of the most important findings of my work on the cultural industries is that planners and policy makers on the city level must figure out a way to facilitate (and especially not hinder) their social interaction. This means that planners need to make sure that the spaces designated for nightlife, gallery space and music remain viable for these activities. These ventures often get pushed out with the forces of gentrification, particularly as residents who

may have first enjoyed the scene, begin to want different things (e.g. quiet, residential streets).

But it’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the social spaces of creativity stay put, and also in a dense and vibrant way. Planners need to protect these activities and where they flourish – particularly if the galleries, bars and music venues were there first.

Secondly, it’s important for a city to do its homework. What I mean by this is that cities must draw from their strengths rather than trying to be something they are not. For example, it is unlikely that a Midwest city will suddenly become the next Hollywood. But that’s not to say, such a city couldn’t become an important center of another type of cultural production – perhaps a specific type of music (Bright Eyes came from Omaha, for example. Atlanta is home to some very interesting hip hop).

Lee Now I want to talk about your most recent research. I know that you have been busy writing a book entitled “The Sum of Small Things: A Theory of the Aspirational Class,” and it is forthcoming in spring 2017. Could you tell me and readers about what the book is about?

Currid-Halkett I am very excited about this work.

I’ve spent most of my career studying the production of cultural goods and how their value is determined. In this new book, I look at how society consumes goods and puts more or less value on particular things. I draw inspiration

소비하고 특정 제품에 대해 어떻게 보다 높고 낮은 가치를 두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저는 소스타인 베블런 (Thorstein Veblen)이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발표한 저서 「유한계급론(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그는 사회 전체가 물질적인 상품을 사회적인 지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고 비난하였고, 게으른 부자인 ‘유한계급’이 돈과 시간을 낭비해 아무런 기능이 없는 물건이나 저렴한 제품에 비해 나을 바 없는 비싼 물건을 그들의 부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한다고 맹비난하였습니다. 그가 제시한 가장 유명한 예시는 알루미 늄 수저와 똑같이 생기고 똑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비싸고 드물다는 이유로 부와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은수저였습니다.

오늘날 지위를 나타내는 방식은 변화하였습니다. 산업혁명과 대량생산체제로 인해 꼭 부자가 아니더라도 많 은 사람들이 물질적인 재화를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 미국에서 자주 등장하는 뉴스 헤드라인들은 평 면TV를 살 수 있지만 여전히 배고프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것들입니다. 이처럼 물질적인 상품은 오늘날 저렴

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저는 이 책을 통해 오늘날 미국에서 어떻게 소비가 이루어지고 우리의 소비패턴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리고 이러한 소비패턴이 시대와 소득, 거주도시에 따라 서로 얼마나 다른지에 대해 이해하고 싶었습니다. 구 체적으로 저는 베블런의 이론을 다시 한 번 논의하면서 어떤 상품 혹은 서비 스나 구매행태가 현대사회에서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되는지를 살펴보 고자 하였습니다. 저는 오늘날 엘리트사회를 상징하는 것들 중 많은 것이 물 질적인 상품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우리가 무엇을 읽고, 어떻게 시간을 보 내고, 여가시간이 있는지, 운동을 하는지, 유기농 토마토를 먹고, 필라테스 수 업을 듣고, 재활용 장바구니를 드는지는 화려한 핸드백을 드는 것보다 그 사 람의 사회적 지위를 더 많이 드러내고 있습니다. 교육이나 연금보험, 건강보 험 등 비용이 많이 드는 상품과 서비스들은 진정한 부자들만이 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직접 보이지는 않지만 다른 어떤 물질적인 상품보다 비싸고, 엘리트들은 화려한 핸드백이나 자동차 대신 보이지 않는 ‘비과시 적(inconspicuous)’ 소비를 통해 훨씬 더 많은 특권을 재생산해냅니다.

가능한 빨리 전체 내용을 읽어보고 싶습니다. 책에 대한 교수님의 설명이 정말 흥미로운데요, 저는 책에서 어 떻게 소비와 사회적 지위, 도시 간의 관계가 논의되고 있는지 조금 더 알고 싶습니다. 저와 한국의 독자들에게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을 공유해줄 수 있으신지요?

커리드할켓 제가 관심을 가졌던 것들 중 하나는 소비가 어떻게 도시의 경제적 발전과정에 대해 흥미로운 이야기

커리드할켓 제가 관심을 가졌던 것들 중 하나는 소비가 어떻게 도시의 경제적 발전과정에 대해 흥미로운 이야기

문서에서 공공임대주택의 성과와 발전방향 (페이지 6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