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체벌의 부정적 효과

문서에서 2 0 0 1 (페이지 61-71)

은 체벌의 교육적 효과가 다른 방법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작다 고 응답 해 체벌의 효과에 대해서 교사자신들의 의견도 兩立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 다. 한편 고등학생 응답자의 53%가 선생님께서 기분에 따라 체벌하신다 라고 대답하며, 감사하게 생각한다 는 응답 9.5%에 비하여 거리감이 생긴 다 36.5%, 싫어진다 45%로 체벌에 대한 강한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체벌의 부정적 효과로는

첫째, 회피행동을 유발한다. 체벌을 받은 학생은 권위에 대해서 지나치게 비겁해지거나 적대적으로 되거나 또는 반항하게 된다.

둘째, 은폐행동을 유발한다. 체벌을 받은 학생은 자극의 판별을 학습하게 되어 벌주는 교사에 의해 감시를 받고 있을 때에만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 을 억제하게 된다.

셋째, 공격적 성향을 유발한다. 체벌을 받음으로써 학생은 어떤 문제가 있을 때 구두로 설득하기보다는 물리적인 힘으로 해결하는 것이 쉽다는 것 을 배우게 되어, 학교폭력과 연결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이에 반해서 정원식(1973)은 벌이 학습에 끼치는 부작용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벌을 주는 사람에게 증오감을 갖게 된다.

둘째, 감정이 지나치게 고조되어 학습효과가 감소한다.

셋째, 학습될 내용의 내재적 가치를 위한 것이 아니라, 다만 벌을 피하려 는 회피학습이 이루어진다.

넷째, 학습자에게 불필요한 불안, 긴장, 피로함을 초래한다.

다섯째, 학습의욕의 상실 내지는 사기가 저하된다.

체벌효과에 대한 중・고교생들의 반응을 살펴보면(김기환, 1985) 첫째, 잘못을 뉘우치게 해준다(30.1%).

둘째, 체벌을 가한 교사를 증오한다(16.4%).

셋째, 학교에 가기가 싫다(14.6%).

넷째, 체벌을 준 선생님과 그 가르치는 교과목까지 싫어진다(19.9%).

이 결과는 체벌의 역기능이 심각하다는 것과 체벌을 가하게 된 원인이 교사와 학생 어느 편에 있든지간에 체벌 행위가 학생에게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본다.

신동로(1991)는 여러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Rose(1984, pp. 427- 428)의 보고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했다.

첫째, 체벌의 효과는 일시적이다. 체벌에 의하여 억압된 문제행동은 상황 과 조건, 시간이 바뀌면 다시 나타난다.

둘째, 학생들이 체벌자와 체벌장소를 싫어하는 최적학습을 유발하여 심 한 경우 교육의 장이 상실된다.

셋째, 구타traum a를 갖게 하여 향후 성인이 되어서 위험스런 심리적 부 적응 행동을 유발한다.

넷째, 많은 이상행동을 유발한다.

다섯째, 가장 낮은 도덕성 발달 수준에 머무르게 한다.

여섯째, 방어적, 반항적, 공격적 행동으로 유도하여 긍정적으로 반사회적 행동을 야기시킨다.

일곱째, 체벌이 일시적이나마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주어진 불쾌 자극이 문제행동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보다 더 강해야 되며, 이 경우 강 도가 증가할수록 부작용은 더욱 커진다.

여덟째, 피체벌자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을 손상시킨다.

아홉째, 교사의 부재시 학생의 폭력 사용이 야기되는 모방학습이 이루어 진다.

체벌부정론자들이 체벌의 사용을 어떤 이유에서 반대하는지에 관한 견해 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일시적 행동억제 요인

체벌부정론자들은 학교 현장에서 똑같은 문제상황에 직면하여 체벌이 반 복해서 가해지고 있는 상황을 보면 체벌은 단지 일시적인 억제효과만 있을 뿐, 장기적인 안목에서 교육의 효과를 올리는 방법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즉 체벌은 잘못된 행동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지는 모르나, 그 습 성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는 견해이다.

나.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과 교육성취의 억제

몇몇 연구에서는 강한 체벌이 학생들로 하여금 불안과 학업의 싫증, 학 교에 대한 무서움과 공포를 야기시킨다는 점에서 체벌과 낮은 학업성취간 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체벌부정론자들은 체벌에 의존하는 교사들은 외향적으로 학급의 질서를 유지하겠지만, 학습과정에서 공포, 행동분열 및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반응

의 저하 등을 포함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체벌 받는 학생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체벌을 받지 않는 학생에게 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학교에서의 체벌은 체 벌 받는 학생뿐만 아니라, 그러한 체벌을 목격하고 있는 학생에게도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며, 학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육성취를 억제하게 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다. 반항적인 행동의 증가

체벌부정론자들은 체벌이 행동을 억압하여 불안을 조성하게 하고 학생들 에게 공격성을 자극하여 반항과 적의가 내포된 행동을 표출시킬 수 있으 며, 폭력이 문제해결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그릇된 판단을 심어준다는 점 을 지적하고 있다.

라. 교사와 학생간의 교육적 신뢰관계 파괴

체벌부정론자들은 체벌이 교사의 君臨하려 하는 태도로 인해 학생들에게 공격성과 반항심 등의 불안정한 성격을 갖게 하여, 결국 교사와의 긍정적 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교사가 체벌만으로 학생과의 관계를 형성할 때 교사에 대한 학생의 평가는 낮아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교사가 체벌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곧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 고는 교과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제 3 장 연구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육현장에서의 체벌의 실태와 체벌에 대한 교 사와 학생들의 태도를 영역별로 비교・분석하여 올바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체벌에 대한 태도가 조사대상의 특성별 변인에 따라 어 떠한 차이와 성향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제 1절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자는 2001년 3월에 3주 동안에 걸쳐서 310부의 설문지를 전남지 역 중학교에 재학중이거나 근무중인 학생 및 교사에게 무작위로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는 총 300부로 그 중 불성실한 응답과 설문지 작성에 오 류가 있거나 파손된 것을 제외하고 학생 201부, 교사 90부를 분석하였다.

( 1) 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내용은 < 표- 1>과 같다.

<표- 1> 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 생

빈도 (% ) 평균 표준편차

성별

남자 99 49.3

1.51 0.5 여자 102 50.7

소 계 201 100.0

학교별

남자중학교 72 35.8

1.99 0.84 여자중학교 60 29.9

남여공학 69 34.3 소 계 201 100.0

학년

1학년 58 28.9

2.1 0.82 2학년 64 31.8

3학년 79 39.3 소 계 201 100.0

소재지

대도시 120 59.7

1.75 0.94 중소도시 12 6.0

군・읍・면 69 34.3 소 계 201 100.0

<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생의 성별에서 남학생이 49.3%, 여학생이 50.7%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으며, 학교별로는 남자중학교가 35.8%, 여자중학교가 29.9%, 남녀공학이 34.3%로 남자 중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별로는 1, 2, 3학년이 고른 분포를 나타냈으며, 지 역별로는 대도시, 군・읍・면, 중소도시 順으로 나타났다.

(2 ) 교사의 일반적 특성

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내용은 < 표- 2>와 같다.

<표- 2> 교사의 일반적 특성

교 사

빈도 % 평균 표준편차

소재지

대도시 60 66.7

1.64 0.93 중소도시 2 2.2

군・읍・면 28 31.1 소계 90 100

직위

부장교사 17 18.9

1.83 0.40 평교사 73 81.1

소계 90 100.0

성별

남자 60 66.7

1.33 0.47 여자 30 33.3

소계 90 100

교육 경력

1- 5년 31 34.4

2.90 1.60 6- 10년 3 3.3

11- 15년 23 25.6 16- 20년 10 11.1 20년이상 23 25.6 소계 90 100

학교별

남자중학교 30 33.3

2.00 0.82 여자중학교 30 33.3

남여공학 30 33.3 소계 90 100

<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사의 성별은 남교사가 66.7%, 여교사가 33.3%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많았으며, 직위별로는 평교사가 81.1% , 부장 교사가 18.9%로 평교사가 대부분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교육경력 정 도는 1- 5년이하가 34.4%, 6- 10년이하가 3.3%, 11- 15년이하가 25.6%, 16- 20 년이하가 11.5%, 20년이상 25.6%로 1- 5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 별은 남자중학교, 여자중학교, 남녀공학중학교 등이 고른 분포를 나타냈으 며, 지역별로는 대도시, 군・읍・면 , 중소도시 順으로 나타났다.

제2절 연구의 도구

본 연구자는 김종안(1999)의 체벌의 교육적 효과와 부작용에 관한 연구 에서 사용했던 설문지을 바탕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중학교 교사 30명,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 며 그 결과 나타난 설문지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본 조사에 활용하였 고, 문항별 구성내용은 < 표- 3> 과 같다.

<표- 3> 문항별 구성내용

구 분 교사용 학생용

문항번호 문항수 문항번호 문항수 체벌의 필요성 여부 1,2,3 3 1,2,3 3

체벌의 요인 4,5 2 4 1

체벌의 인식 14 1 11 1

체벌의 과정 7 1 6 1

체벌의 기준 8 1 7 1

체벌의 지도 방법 11,12,13 3 9,10 2

체벌의 시기 9 1 8 ・

체벌의 유형 6 1 5 1

체벌의 빈도 10 1 ・ ・

체벌의 반응 15,16 2 12,13,17 3

사랑의 매맞은 유무 ・ ・ 18 1

체벌의 효과 17,18,19 3 14,15 2

체벌의 부작용 20 1 16 1

계 ・ 20 ・ 18

제3절 자료 처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처리하였다.

1.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SPS S PC+ VER 10.0을 사용하였다.

2.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3. 조사대상자별 일반특성에 따른 체벌의 필요성 여부, 체벌의 요인, 체벌 의 인식, 과정, 기준 등 교사와 학생의 태도와 의식 차이, 교육적 효과 를 검증하기 위해서 Kru skal- W allis T est 및 T - 검증을 실시하였다.

제 4 장 연구결과 및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육 현장에서 체벌의 실태와 체벌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태도를 영역별로 분석하여 조사대상자의 특성별 변인에 따라 어떠 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2 0 0 1 (페이지 61-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