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키 무브(Chunky Move)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8)

제2절 신체성이 강조된 미디어 퍼포먼스에 대한 사례연구

작품명 Mortal Engine

연도 2008

시간 60분

활용 기술 모션 캡처, 레이저 프로젝션, 프로젝션 스크린, 트랙킹 카메라, 인터랙티브 시스템

특징

- 신체의 움직임·소리·영상 간의 인터랙션 - 구조적인 패턴의 형성

- 영상과 레이저 등으로 입체적 공간 창조

참여 예술가

- 예술 감독 및 안무: Gideon Obarzanek - 인터랙티브 시스템 디자이너: Frieder Weiss - 레이저 아티스트: Robin Fox

- 작곡가: Ben Frost

- 의상 디자이너: Paula Levis - 조명 디자이너: Damien Cooper

- 무대 디자이너: Richard Dinnen & Gideon Obarzanek - 멀티미디어 기술자: Nick Roux

- 참여 무용수: 총 11명

[표 3 ] 청키 무브(Chunky Move)의 <Mortal Engine> 작품 개요 이용하면서 스스로와 타자 간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무용수의 움직임, 영상, 음악, 레이저 등의 인터랙션에 중점을 두며81), 무대에 펼쳐지는 영상은 반복적이고 구조적인 패턴을 활용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과 무용수의 움직임이 더해진 이미지는 한 인간이면서 한편으로는 다수의 인간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인간의 몸으로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빛의 발광을 디지털 기술로 구현하면서 뭉치고 흩어지는 빛의 형상으로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빛으로 무용수의 움직임에 따라 3차원 공간을 시각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일루전(Illusion)을 형성하여 환상적으로 작품에 몰입할 수 있다. 무용수의 형체가 영상과 중첩되어 변화하면서 기묘한 감각적인 움직임이 돋보인다.

Festival에서 하이브리드 아트 부분 그랑프리를 수상한 작품이다. (청키 무브 홈페이지, https://ww w.chunkymove.com)

80) 김소영, 「인터미디어 활용과 무용작품 변화양상 - Chunky Move 작품을 중심으로」, 한양대 석 사학위논문, 2012. p.33. 정현이, 「신체의 매체성을 강조한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p.54. 청키 무브 홈페이지, https://www.chunkymove.com 참고.

81) 라세영, op. cit., p.43.

<Mortal Engine>을 살펴보면 무용수의 움직임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복잡한 인간 내면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처럼 보인다. 자신과 사투를 벌이듯, 내부 충동을82) 작렬하는 빛과 흑백의 대비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Mortal Engine>의 과정을 각각의 장면묘사를 통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림 1] 청키 무브 <Mortal Engine> -스틸 컷 1 [그림 2]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2

어두운 공간 속에서 무용수의 움직임을 캡처하여 스크린에 반영하면 무용수의 몸을 따라 화면을 이룬 구조적인 패턴이 반복적으로 허물어지거나 원상 복귀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그림 1]과 같이 시각적으로 혼란을 야기하여 3차원의 입체 공간으로 보이도록 착시 현상을 일으킨다.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고 해체하는 과정을 통해 시·공간의 확장 혹은 초월을 경험할 수 있다.

무대에서 무용수가 움직이면 트랙킹 카메라를 통해 몸이 움직이는 범위를 정확하게 출력하여 기하학적인 선으로 나타낸다. 무용수의 움직임을 생성한 [그림 2]의 선들은 [그림 1]의 구조적인 패턴과는 달리 소용돌이가 휘몰아치듯 신경질적이고 강렬한 선을 형성한다. 각 장면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양상은 신체의 움직임이 공간에 개입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는 것이다.

배경을 가득 메운 직선의 패턴은 무용수의 몸짓을 통해 형성 혹은 제거되는 반면에 점차 극이 진행될수록 무용수의 움직임을 따라 비정형적인 곡선이 생산되면서 불규칙적인 형태로 변모해나간다.

82) 김소영, op. cit., p.39.

[그림 3]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3 [그림 4]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4

무용수의 신체 위로 영상이 비춰지면서 검은 생명체가 움직이는 것처럼 극이 전환 된다. [그림 3]과 [그림 4]와 같이 무용수의 자세한 움직임보다는 검은 생명체의 실루엣이 꿈틀거리는 모습을 나타낸다. 무용수의 움직임을 트랙킹 카메라가 인식하여 영상으로 변환하고 실시간으로 움직임과 소리를 감지해 무용수의 이동 영역에 따라 점들이 모여 시각적으로 마치 벌레가 집중되는 것처럼 나타난다. 또한 배경에 나타나는 그래픽 이미지로 인해 색다른 시각적 효과를 나타낸다.

작고 검은 점이 뭉쳐 큰 점을 이루어 흑과 백의 대비를 극대화한다. 또한 무대 배경이 [그림 3]에서 [그림 4]로 전환되는 것과 같이 하얀 배경에서 독특한 패턴의 그래픽으로 변화한다. 무용수의 행위는 기괴한 생명체의 움직임으로 나타나 극적인 분위기가 맞물려 어두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그림 5]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5 [그림 6]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6

웅크린 무용수 위로 미로와 같은 이미지가 겹겹이 투사되어 점차 안에서 바깥으로 퍼

져나간다. [그림 5]의 배경처럼 무대를 가득 채운 이미지는 중첩되면 중첩될수록 밝아져 서서히 넓은 무대 전체가 레이저의 강렬함으로 가득 채워진다. 사각의 틀 안에 갇혀 무대 정중앙에 힘없이 누워있는 무용수는 현대 사회의 인간을 상징하는 것처럼 보인다. 밝은 배경과 어두운 빛을 띤 나체의 무용수가 서로 대조를 이루어 대담하고 드라마틱한 장면을 형성한다.

장면이 전환되고 [그림 6]은 무용수에게로 이동하는 듯한 사운드와 무용수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투사한 레이저로 미지의 공간에서 유영하는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한다.

무용수를 감싼 빛이 속도감 있게 운동하면서,83) 직선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광선은 무용수가 직접적으로 반짝이는 효과를 자아낸다. 발광하는 광선을 통해 시각적으로 도발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힘을 뺀 신체 위로 특정 패턴 이미지가 투사되며 기계 문명의 변화 앞에 인간은 맞설 수 없는 존재임을 드러내고, 포효하는 빛을 통해 강렬한 시각적 효과를 표현 하며 인간의 존재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상황 모두 무대 위 무용수를 향해 직접적인 광선을 투사하여 장면에 의미를 부여하고 무대의 공간을 활용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7]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7 [그림 8]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8

시각적으로 강렬했던 극과 달리 어둠 속에서 신체를 오묘하게 빛내는 빛으로 극이 전환된다. 푸른빛에 둘러싸인 무용수들은 신체와 정신이 합일을 이룬 것처럼 보인다.

두 무용수가 손을 맞닥뜨리면 그들의 신체 접촉이 감지기를 자극하여 무용수의 신체와 이들을 감싼 빛이 분리된다. 무용수는 신체에 투사된 빛에서 벗어나 암흑

83) 김소영, Ibid., p.36 참고.

속으로 신체를 움직여 [그림 8]과 같이 육체에 깃든 영혼이 이탈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그림 9]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9 [그림 10] 청키 무브 <Mortal Engine> - 스틸 컷 10

[그림 9]와 [그림 10]에서처럼 무용수를 중심으로 레이저가 다양한 방향에서 발사되어 무용수의 실루엣이 드러난다. 신체와 분리된 영혼이 강렬한 빛으로 입체적인 공간과 일루전을 형성하여 초월적인 존재로서 인간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제시한다.

1.2 작품에 사용된 기술 분석

첫 작품 이후 2년 만에 선보인 2008년에 그 모습을 드러낸 <Mortal Engine>은 전작 <Glow>에서와 마찬가지로 모션 캡처, 트랙킹 카메라 시스템을 활용한 과학 기술을 통해 상상력의 한계를 실험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84) 이 작품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비롯한 장르간의 결합이 새로운 움직임을 생성하고 전혀 다른 공간을 형성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 작품은 무용·비디오·음악·레이저 등을 결합한 퍼포먼스로 모션 그래픽(Motion Graphic)85)과 트랙킹 카메라 시스템(Tracking Camera System)86)을 적극적으로

84) 정은비, Ibid., p.43.

85) 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움직임이나 회전의 환영을 생산하는 그래픽을 의미하며 모션 픽처 (Motion Picture)로 사용하기도 한다. (위키백과, http://www.wikipedia.org/wiki/모션그래픽 참고) 86) 카메라가 움직이는 동작을 포착하여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한다. 이는 소리에 반응하는 프로젝션과 움직임을 이용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인터미디어 댄스 퍼포먼스(Intermedia Dance Performance)라고 할 수 있다.87) 주요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모션 그래픽(Motion Graphic)

컴퓨터 그래픽 출력물에 동세감을 부여한 표현을 의미한다. 컴퓨터 그래픽은 정지된 스틸 이미지를 중심으로 작업하는 인쇄매체 형태와 유기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가상의 그래픽 이미지가 움직이는 동영상 매체 형태로 양분화 된다.88) 따라서 모션 그래픽은 컴퓨터 그래픽의 하위개념으로 영상 표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89)

- 트랙킹 카메라 시스템(Tracking Camera System)

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 영상을 3D장면과 합성하는 방식이다. 정지된 장면이 아닌 동영상으로 움직임을 추적해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의 이미지도 똑같이 움직이게 된다.90) 트랙킹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 무용수의 움직임을 캡처하여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으로 영상과 레이저를 프로젝션 함으로써 다양한 가상현실을 표현함과 동시에 무대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1.3 작품에서 나타난 신체성

<Mortal Engine>에서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지점은 기술적인 요소와 빛의 요소로 신체성을 확장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은 움직임과 소리에 반응하는 프로젝션으로 신체의 실루엣을 활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인간의 몸으로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부분을 빛과 신체의 실루엣을 통해 환상적으로 표현해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빛과 소리, 레이저는 신체의 움직임을 따라가고 그것에 반응하는 기술을 통해 공간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상호작용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무용수의 신체와

87) 유튜브 https://www.youtube.com의 <Mortal Engine by Chunky Move> 설명 참고.

88) 서울종학예술실용학교, 「모션그래픽, 모션 캡처 그리고 모션 픽처」, https://www.blog.daum.net/

_blog/articleView.do?blogid=0N6hc&articleno=894569 참고.

89) Ibid.

90) 사소한 시선 <습작 #22 - 카메라 트랙킹 연습>, http://www.blog.naver.com/PostView.nhn?blogld

=cosmosjs&logNo=22026264&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