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792 ⑴ 첫째항이 ;4!;, 공비가 =-2이므로

문서에서 2014 개념원리 RPM 수학2 (페이지 82-86)

a«=;4!;¥(-2)« —⁄

즉,;4!;¥(-2)« —⁄ =256에서 (-2)« —⁄ =1024=(-2)⁄ ‚ n-1=10 ∴ n=11 따라서 256은 제 11 항이다.

⑵ 첫째항이'2+1, 공비가 ='2-1이므로 a«=('2+1)('2-1)« —⁄

∴ a¡ºº=('2+1)('2-1)· ·

=('2+1)('2-1)('2-1)· °

=('2-1)· ° ⑴ 제 11 항 ⑵ ('2-1)· °

0793

등비수열 {a«}의 공비를 r라 하면 (a¡+a™):(a£+a¢)=1:'2에서

(a¡+a¡r):(a¡r¤ +a¡r‹ )=1:r¤ =1:'2이므로 r¤ ='2

∴ a£:a¶=a¡r¤ :a¡rfl =1:r›

∴ a£:a¶=1:(r¤ )¤ =1:2

0794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ar¤ =4 yy㉠

a§=arfi =32 yy㉡

㉡÷㉠을 하면 r‹ =8 ∴ r=2 (∵ r는 실수) ar¤ =4에서 a¥2¤ =4 ∴ a=1

∴ a«=1¥2« —⁄ =2« —⁄

2« —⁄ >2000에서 2⁄ ‚ =1024, 2⁄ ⁄ =2048이므로 n-1æ11 ∴ næ12

따라서 처음으로 2000보다 커지는 항은 제 12 항이다.

0795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a™=a+ar=3

∴ a(1+r)=3 yy㉠

a¡a™+a¡a£=a¥ar+a¥ar¤

=a¤ r(1+r)=12 yy㉡

㉡÷㉠을 하면 ar=4

∴ a¡a™a£=a¥ar¥ar¤ =a‹ r‹ =(ar)‹ =4‹ =64 1

'2+1 -;2!;

;4!;

1 9 2

3 1

9 3 27 2 27

2 3 a™

2 27 1 3‹

2 3 1 3⁄

0796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3-r)a=18에서 a=3

∴ a«=3¥(-3)« —⁄ (1+r+r¤ )=13, 3r¤ -10r+3=0 (3r-1)(r-3)=0 ∴ r= 또는 r=3

㉡에서 ar(a+ar+ar¤ )=56

㉠, ㉣를 대입하면

x‹ -2x¤ +4x-k=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세 실근을 a, ar, ar¤ 이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계에 의하여

a+ar+ar¤ =a(1+r+r¤ )=2 yy㉠ a¤ r+a¤ r¤ +a¤ r‹ =a¤ r(1+r+r¤ )=4 yy㉡ a¥ar¥ar¤ =a‹ r‹ =(ar)‹ =k yy㉢

㉡÷㉠을 하면 ar=2 이를 ㉢에 대입하면

2‹ =k ∴ k=8 8

0806

세 수 x-1, x+2, 4x+1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x+2)¤ =(x-1)(4x+1) x¤ +4x+4=4x¤ -3x-1

∴ 3x¤ -7x-5=0

따라서 모든 상수 x의 값의 합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계에 의하여;3&;이다. ;3&;

0807

f(2)=3a+4, f(0)=a, f(-1)=1

이때 세 수 3a+4, a, 1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 =(3a+4)¥1, a¤ -3a-4=0

따라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계에 의하여 3이다. 3

0808

1, 3, a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3¤ =a ∴ a=9

2, b, 18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b¤ =36 ∴ b=6 (∵ b>0)

1, 2,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2¤ =c ∴ c=4

c(=4), 12, d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12¤ =4_d ∴ d=36

∴ a+b+c+d=55 55

0809

1, a, b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a=1+b ∴ b=2a-1 yy㉠

a, '3,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3)¤ =ab yy㉡

㉠을 ㉡에 대입하면 3=a(2a-1) 2a¤ -a-3=0, (2a-3)(a+1)=0

∴ a=;2#; 또는 a=-1 그런데 a는 정수이므로 a=-1 a=-1을 ㉠에 대입하면 b=-3

∴ a¤ +b¤ =10 10

081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6, ab=4

a, p, b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p=a+b=6 ∴ p=3

a, q,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q¤ =ab=4 ∴ q=2 (∵ q>0)

따라서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3, 2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 정식은

x¤ -(3+2)x+3¥2=0

∴ x¤ -5x+6=0

0811

주어진 등비수열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r¤ =32 yy㉠

arfi =4 yy㉡

㉡÷㉠을 하면 r‹ =;8!; ∴ r=;2!;

㉠에서 a¥{;2!;}¤ =32 ∴ a=128

따라서 S는 첫째항이 128, 공비가;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 터 제10 항까지의 합이므로

S= =256¥[1-{;2!;}⁄ ‚

]=256-;4!;

∴ [S]=255

0812

3⁄ ‚ =1¥3« —⁄에서 n=11이므로 구하는 등비수열의 합은

S¡¡= =

0813

S£= =9 yy

S§= =-63에서

=-63 yy㉡

㉠을 ㉡에 대입하면 9(r‹ +1)=-63, r‹ =-8

∴ r=-2

㉠에 r=-2를 대입하면

=9 ∴ a=3

0814

⑴ 첫째항이 ,공비가 이므로 첫째항부터 제10 항 까지의 합은

S¡º= = {1- }

1 10⁄ ‚ 2

3 1 10 6

10 a{(-2)‹ -1}

-2-1 a(r‹ -1)(r‹ +1)

r-1 a(rfl -1)

r-1

a(r‹ -1) r-1

3⁄ ⁄ -1 3321252 1¥(3⁄ ⁄ -1)

3321255123-1 128¥[1-{;2!;}⁄ ‚ 33212551111]

1-;2!;

[1-{ }

⁄ ‚ ] 1- 1

10 1 10 6

10

⑵ 첫째항이 ,공비가'2이므로 첫째항부터 제 10 항까지의

= (9+99+999+y+99y9)

= {(10-1)+(10¤ -1)+(10‹ -1)+y+(10⁄ ‚ -1)} 3321511r-1

a(r⁄ ‚ -1) 3321511r-1 ar¤ ‚ (r⁄ ‚ -1)

332151122r-1 ar⁄ ‚ (r⁄ ‚ -1) 332151122r-1

a(r⁄ ‚ -1) 3321511r-1

7 10(2¥2+9¥2)

2 33251125111111-r a(1-r· )

332511251-r a(1-r‹ )(1+r‹ ) 3325112511151-r

a(1-rfl ) 332511251-r a(1-r‹ ) 332511251-r 332a«1

332a«1 3(2fl -1)

332151252-1 a(rfi -1)(rfi +1) 3321511111r-1

a(r⁄ ‚ -1) 3321511r-1 a(rfi -1) 3321511r-1

a(r⁄ ‚ -1)(r⁄ ‚ +1) 33215111112r-1

a(r¤ ‚ -1) 3321511r-1

[1-{ }⁄ ‚

0820

첫째항부터 제 n 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첫째항은

x,공비는 이므로

⁄ +1,즉 x+0일 때,

S«= =(x+1)[1-{ }«

]

S«=x+1-{ }« —⁄

¤ =1,즉 x=0일 때, 모든 항이 0이므로 S«=0

x+0일 때 x+1-{ }« —⁄ , x=0일 때 0

0821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ar=3 yy㉠

a∞=ar› =24 yy㉡

㉡÷㉠을 하면

r‹ =8 ∴ r=2 (∵ r는 실수) r=2를 ㉠에 대입하면

2a=3 ∴ a=;2#;

첫째항부터 제n 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S«= =;2#;(2« -1) S«>720에서

;2#;(2« -1)>720, 2« -1>480

∴ 2« >481

이때 2° =256, 2· =512이므로 næ9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9 항까지의 합이 처음으로 720보다 커

진다. 9

0822

첫째항부터 제 n 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S«=

=2-|2-S«|<0.01에서

|2-{2- }|<0.01

< , 2« —⁄ >100 이때 2fl =64, 2‡ =128이므로 n-1æ7 ∴ næ8

따라서 n의 최솟값은 8이다.

1 100 1

2« —⁄

1 2« —⁄

1 2« —⁄

;2#;(2« -1) 3321255122-1

1 x+1 1

x+1

1 x+1

1 x+1 1

x+1 1 x+1

0823

2S«+1=5« 에서 S«=

næ2일 때,

a«=S«-S«–¡

a«= -{ }

a«= (5-1)=2¥5« —⁄

¤n=1일 때,

a¡=S¡= =2

⁄, ¤에서 a«=2¥5« —⁄ (næ1)

따라서 a=2, r=5이므로 a-r=-3

0824

S«=3a«≠¡+4 yy

S«–¡=3a«+4 yy㉡

㉠-㉡을 하면

S«-S«–¡=3(a«≠¡-a«) a«=3(a«≠¡-a«), 3a«≠¡=4a«

∴ a«≠¡=;3$;a« (næ2)

따라서 수열 {a«}은 제2 항부터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a∞=a£_{;3$;}¤ =27_{;3$;}¤ =48 48

0825

S«=Ar« +B(A, B는 상수)가 등비수열의 합이 될 조건 ⇨ A+B=0

ㄱ. S«=3« ±⁄ -3=3¥3« -3이므로 등비수열이다.

ㄴ. S«={;2!;}« —⁄ -1=2¥{;2!;}« -1이므로 등비수열이 아니다.

ㄷ. S«=;4!;-{;4!;}« ±⁄ =;4!;-;4!;¥{;4!;}« 이므로 등비수열이다.

ㄹ. S«=5« —⁄ -;5!;=;5!;¥5« -;5!;이므로 등비수열이다.

ㅁ. S«+1=10¤ « 에서

ㅁ. S«=10¤ « -1=100« -1이므로 등비수열이다.

따라서 등비수열의 합을 나타내는 것은 ㄱ, ㄷ, ㄹ, ㅁ의 4개이다.

4

문서에서 2014 개념원리 RPM 수학2 (페이지 82-8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