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763 공차를 d라 하면

문서에서 2014 개념원리 RPM 수학2 (페이지 79-82)

3+(n+1)d=108 (n+1)d=105=3_5_7

위의 식에서 최소의 자연수인 공차는 3이므로

n+1=35 ∴ n=34 34

다른풀이 (n+1)d=105에서 d=

여기서 d는 자연수이므로

(n, d)=(2, 35), (4, 21), (6, 15), (14, 7), (34, 3) 따라서 최소의 자연수인 공차가 3인 경우 n의 값은 34이다.

0764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제3 항이 63이므로 a£=a+2d=63 yy㉠ 제10 항이 35이므로 a¡º=a+9d=35 yy㉡

105 n+1 1599d

1599d 1599d

㉠, ㉡을 연립하여 풀면 d=-4, a=71

∴ a«=71+(n-1)¥(-4)=-4n+75 -4n+75<0에서 n>18.75

이때 n은 자연수이므로 처음으로 음수가 나오는 항은 제19 항

이다. 제19 항

0765

a«=-62+(n-1)¥5=5n-67 5n-67>0에서 n>13.4

이때 n은 자연수이므로 처음으로 양수가 나오는 항은 제14 항

이다. 제14 항

0766

수열 {a«}에서 2x=-9+(-1)

∴ x=-5

수열 {b«}에서 2y=-1+5 ∴ y=2

∴ x+y=-3

0767

f(x)=ax¤ +x+4라 하면 f(1), f(2), f(3)이 순서대 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 f(2)=f(1)+f(3)

2(4a+2+4)=(a+1+4)+(9a+3+4) 8a+12=10a+12

∴ a=0 0

0768

삼차방정식의 세 근을 a-d, a, a+d로 놓으면 삼차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d)+a+(a+d)=6, 3a=6 ∴ a=2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2이므로 x=2를 방정식에 대 입하면

2‹ -6¥2¤ +2k+24=0, 2k=-8 ∴ k=-4 -4

0769

⑴ 등차수열을 이루는 네 수를

a-3d, a-d, a+d, a+3d (d>0)로 놓으면 네 수의 합이 8이므로

(a-3d)+(a-d)+(a+d)+(a+3d)=8 4a=8 ∴ a=2

가장 큰 수는 가장 작은 수의 3배이므로 2+3d=3(2-3d)

12d=4 ∴ d=;3!;

따라서 네 수는 1, ;3%;, ;3&;, 3이므로 구하는 네 수의 곱은 1_;3%;_;3&;_3=;;£3∞;;

⑵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를 a-d, a, a+d (d>0)로 놓으면 빗변의 길이가 15이므로

a+d=15 yy㉠ 직각삼각형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a«을 식으로 나타내기 20%

공차 구하기 40%

a« 구하기 10%

a¡º구하기 30%

(a+d)¤ =(a-d)¤ +a¤

a(a-4d)=0 ∴ a=4d (∵ a+0) a=4d를 ㉠에 대입하면

a=12, d=3

따라서 세 변의 길이가 9, 12, 15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2!;_9_12=54 ;;£3∞;; ⑵ 54

0770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5d=44 yy㉠

a¡•=a+17d=116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4, d=6 첫째항부터 제n 항까지의 합이 280이므로

=280

3n¤ +11n-280=0, (n-8)(3n+35)=0

∴ n=8 또는 n=-:£3∞;: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n=8

0771

⑴ 첫째항이 3,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a«=3+(n-1)¥2=2n+1

2n+1=39에서 n=19

∴ S¡ª= =399

⑵ 첫째항이 -28,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므로 a«=-28+(n-1)¥5=5n-33

5n-33=22에서 n=11

∴ S¡¡= =-33 ⑴ 399 ⑵ -33

0772

등차수열의 항 수를 n, 공차를 d라 하면

S«= =220에서 n=11

이때 a¡¡=-10이므로 50+10d=-10, 10d=-60

∴ d=-6

-6

0773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a¡=6, a¡º=-12에서

6+(10-1)d=-12 ∴ d=-2

∴ a«=6+(n-1)¥(-2)=-2n+8 n(50-10)

111112

11(-28+22) 2 19(3+39)

2 n { 2¥14+(n-1)¥6 } 3321255111112542

∴ |a¡|+|a™|+|a£|+y+|a™º|

=|6|+|4|+|2|+|0|+|-2|+|-4|+y+|-32|

=(6+4+2+0)+(2+4+y+32)

=12+

=284

0774

24+a¡+a™+y+a«+(-44)

=24+(-120)+(-44)=-140

즉, =-140에서

n+2=14 ∴ n=12 12

0775

첫째항이 -9, 끝항이 31, 항 수는 (n+2)인 등차수 열이고 첫째항부터 끝항까지의 합이 231이므로

=231, 11(n+2)=231 n+2=21 ∴ n=19

따라서 31은 제21 항이므로

-9+(21-1)d=31 ∴ d=2 n=19, d=2

0776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S¡º= =145

∴ 2a+9d=29 yy㉠

S™º-S¡º= -145=445

∴ 2a+19d=59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 d=3 따라서 제21 항부터 제30 항까지의 합은

S£º-S™º= -590

S£º-S™º=1335-590=745 745

0777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S∞= =5a+10d=70

∴ a+2d=14 yy㉠

S¡º= =5(2a+9d)=190

∴ 2a+9d=38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0, d=2

∴ S¡∞= =360 360

0778

두 자리의 자연수 중에서 5로 나누어 2가 남는 수는 12, 17, 22, y, 97

이 수열은 첫째항이 12,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을 a«이라 하면

15 {2¥10+(15-1)¥2}

1512551112251152 10{2a+(10-1)d}

15125511122512 5 { 2a+(5-1)d } 33212551112252

30 { 2+(30-1)¥3}

33212551111142 20 { 2a+(20-1)d } 33212551111152 10 { 2a+(10-1)d } 33212551111152 (n+2)(-9+31)

2

(n+2){24+(-44)}

332125511111152 16(2+32)

2

단계 채점요소 배점

항 수 구하기 50%

공차 구하기 50%

a«=12+(n-1)¥5=5n+7

끝항 97은 제18 항이므로 구하는 등차수열의 합은

=981

0779

10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4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는 4, 8, 12, 16, y, 100

이 수열은 첫째항이 4, 끝항이 100, 항 수가 25인 등차수열이 므로 그 합은

=1300 1300

0780

6으로 나누면 5가 남는 수는 5, 11, 17, 23, 29, 35, y

8로 나누면 3이 남는 수는 3, 11, 19, 27, 35, y

이들의 공통인 수로 이루어진 수열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1, 35, 59, y

따라서 수열 {a«}은 첫째항이 11, 공차가 24이므로

a¡+a™+y+a•= =760

0781

6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3의 배수는 3, 6, 9, y, 57

이 수열은 첫째항이 3, 끝항이 57, 항 수가 19인 등차수열이므 로 그 합은

=570

6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4의 배수는 4, 8, 12, y, 56

이 수열은 첫째항이 4, 끝항이 56, 항 수가 14인 등차수열이므 로 그 합은

=420

한편, 6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12의 배수는 12, 24, 36, 48

이 수열은 첫째항이 12, 끝항이 48, 항 수가 4인 등차수열이므 로 그 합은

=120

따라서 6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3 또는 4로 나누어 떨어지 는 수의 총합은

570+420-120=870 870

0782

a«=-;2%;+(n-1)¥;3!;=;3N;-;;¡6¶;;

제n 항에서 처음으로 양수가 나온다고 하면 a«=;3N;-;;¡6¶;;>0 ∴ n>;;¡2¶;;=8.5

4(12+48) 1233212552 14(4+56) 1233212552 19(3+57) 1233212552

8 {2¥11+(8-1)¥24}

332125511111222 25(4+100)

332125512252 18(12+97) 33212551222

즉, 제 9 항부터 양수이므로 첫째항부터 제 8 항까지의 합이 최 소가 된다. 따라서 구하는 n의 값은 8이다. 8

0783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S¡¶이 최댓값이므로 a¡¶æ0, a¡•<0에서 100+16dæ0, 100+17d<0

∴ -;;™4∞;;…d<-;;¡1º7º;;

즉, -6.25…d<-5.88×××에서 d는 정수이므로 d=-6

∴ a¡º=100+(10-1)¥(-6)=46

0784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11에서 a+4d=11 yy㉠

a¡∞=-9에서 a+14d=-9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9, d=-2 제n 항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나온다고 하면 a«=19+(n-1)¥(-2)=-2n+21<0

∴ n> =10.5

즉, 제11 항부터 음수이므로 제10 항까지의 합이 최대이다.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S¡º= =100 100

0785

수열 59, a¡, a™, a£, y, a«, 32는 첫째항이 59, 끝항 이 32, 항 수가 (n+2)인 등차수열이므로 그 합을 S«≠™라 하면

S«≠™= =455

n+2=10 ∴ n=8

이때 끝항 32는 제 10 항이므로 이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59+(10-1)d=32 ∴ d=-3

따라서 수열 59, a¡, a™, a£, y, a«, 32, y은 첫째항이 59,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므로 이 수열의 일반항을 b«이라 하면 b«=59+(n-1)¥(-3)=-3n+62

제 n 항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나온다면 b«=-3n+62<0 ∴ n>20.×××

즉, 제 21 항부터 음수이므로 제 20 항까지의 합이 최대이다.

따라서 p=20이고, 그때의 최댓값 q는

q= =610

∴ p+q=20+610=630 630

0786

S«=-3n¤ +2n이므로 a¡=S¡=-3+2=-1 a¡º=S¡º-Sª

=(-3¥10¤ +2¥10)-(-3¥9¤ +2¥9)

=-55

∴ a¡+a¡º=-1-55=-56

20{2¥59+19¥(-3)}

2

(n+2)(59+32) 2

10{2¥19+9¥(-2)}

2 21

2

0787

S«=a¡+a™+y+a«=n¤ +an이라 하면 a•=S•-S¶=(8¤ +8a)-(7¤ +7a)

=15+a

또한, T«=b¡+b™+y+b«=2n¤ +n이라 하면 b•=T•-T¶=(2¥8¤ +8)-(2¥7¤ +7)

=31 a•=b•이므로

15+a=31 ∴ a=16 16

0788

S«=-(n-2)¤ +k에서

næ2일 때,

a«=S«-S«–¡

a«=-(n-2)¤ +k-{-(n-3)¤ +k}

a«=-2n+5 yy㉠

¤n=1일 때,

a¡=S¡=-1+k

a¡=-1+k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아야 하므로 -1+k=-2+5 ∴ k=4

∴ a¡=-1+4=3

∴ a¡+k=3+4=7 7

0789

S«=n¤ +3n에서

næ2일 때,

a«=S«-S«–¡

a«=n¤ +3n-{(n-1)¤ +3(n-1)}

a«=2n+2

¤n=1일 때,

a¡=S¡=1+3¥1=4

⁄, ¤에서 a«=2n+2 (næ1)

따라서 a™«–¡=2(2n-1)+2=4n이므로 a¡+a£+a∞+y+a™«–¡= =2n¤ +2n 2n¤ +2n=420에서

n¤ +n-210=0, (n-14)(n+15)=0

∴ n=14 또는 n=-15

그런데 næ1이므로 n=14

0790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ar=2 yy㉠

a∞=ar› =16 yy㉡

㉡÷㉠을 하면 r‹ =8 ∴ r=2 r=2를 ㉠에 대입하면 a=1

∴ a¡º=ar· =1¥2· =512

0791

a«=2_3⁄ —¤ « 에서

n(4+4n) 3321255122

a¡=2_ = , a™=2_ = 따라서 공비는

= = = 첫째항 : ,공비 :

문서에서 2014 개념원리 RPM 수학2 (페이지 79-8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