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각 시도교육청자료(2012-2013).

강선자‧손수민(2011). 영아기 자녀를 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자 녀 양육에 대한 인식: 결혼이주여성 4인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열린 유아교육연구. 16(6). 161-188.

교육과학기술부(2010). 유아 다문화 교원 직무연수.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구수연(2010). 다문화 현장이 갖는 딜레마 -유아교유기관을 중심으로-. 다문화콘 텐츠연구. 8(3). 65-92.

김민경‧김경은(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양육태도 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30(5). 119-135.

김선희(2011).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 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간의 구조적 관련성 분석. 아동학회지. 32(3).

121-142.

김영옥‧서현‧박형신‧정상녀‧윤경선‧박미자‧이나영(2008). 유아 다문화 교육의 통합적 적용. 서울: 학지사.

김영옥‧임진숙‧정상녀(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43-164.

김영옥(2002).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서울: 정민사.

김영옥(2010). 다문화시대의 유아교육과정. 유아 다문화 교원 직무연수 자료집, 155-164. 서울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

김은영‧문무경‧김문희‧박수연(2010) 다문화 가정 영유아 지원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김이선 외(2011).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중장기 발전방향 및 실행계획 연구: 기 본계획안 수립 연구를 중심으로. 여성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현경(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㵬Ḕⱬ䜀G G X\`

김현숙‧김희재‧오중환(2011).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생활스트레 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27-51.

김화수‧이은경(2010).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3). 209-226.

김희진·김은영·김현주·최명희·고지민·강재희(2011). KICCE 부모 양육수준 검사 지.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다누리 웹사이트 http://www.liveinkorea.kr/kr/contents/contents_view.asp?idx=8 에서 2013년 11월 18일 인출.

문무경‧조혜주(2008).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민성혜‧김경은‧김리진(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아동학회지. 32(1). 31-49.

박민정‧이병인(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기관과 상호작용 행동유 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특수교육학연구. 45(1). 129-151.

박찬옥‧김영중‧황혜경‧엄정례‧조경서(2006). 유아사회교육. 서울: 정민사.

법무부 보도자료(2012. 11. 28)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2008). 제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2008-201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2012). 제2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2013-2017).

서문희‧설동훈‧최윤경‧김은영‧조혜주(2010). 다문화가족 자녀 양육지원 방안 - 영유아‧초등학생‧중도입국자녀를 중심으로- 서울: 여성가족부‧육아정책 연구소.

서문희‧양미선‧조혜주‧정은미(2011). 다문화가족 자녀 양육 및 지원 실태와 요 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서해정‧구현아‧이현주(2009). 경기도 다문화가족 아동을 위한 보육지원 방안. 수 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신선희‧김영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적응유연성 관련변인. 미래유아 교육학회지. 17(4). 31-53.

여성가족부 다문화정책과(2012a). 제1차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2010-2012) 2012 년 시행계획.

여성가족부 다문화정책과(2012b).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2013-2017).

X]W

여성가족부(2013). 제 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2013-2017: 지방자치단체 2013년도 시행계획.

오재연(2012). 시간경과에 따른 한국가정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과정 비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4). 147-176.

이교일(201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양육행동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변인 에 대한 연구. 현대사회와 다문화. 2011 1(1). 181-217.

이선미‧이경아(201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 동에 미치는 영향. 17(3). 71-105.

이은하(2010).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권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이야기: 경북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14(3). 109-129.

장명림‧이윤진‧이정림‧이미화‧전혜정‧민현숙 외(2009). 취약계층 영유아 통합적 육아지원모형개발 및 시범적용.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장명림‧이윤진‧이정림‧민현숙‧이세원‧송윤정‧소수정(2010). 취약계층 영유아 통 합적 육아지원 모형 효과분석 및 모니터링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장명림‧장혜진‧권미경‧한영숙(2011a). 육아지원기관에서의 다문화가정 영유아 지원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장명림‧이정림‧최은영‧이세원‧정지현‧조유리(2011b). 취약계층 영유아 통합적 육아지원 모형 매뉴얼 개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장명림‧김영옥‧서현‧차선미‧이세원(2011c). 유아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 서 울특별시교육청·육아정책연구소.

장명림‧최은영‧김미나‧백승선(2012). 취약계층 영유아 통합적 육아지원 방안 연구 (Ⅳ) -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장명림 외(2013). 유아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 개정판. 교육부·육아정책연구소.

전주연‧하은실‧정계숙(2012). 유아 교실 다문화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아동학회지. 33(3). 177-197.

정기선 외(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재)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정기선 외(2011).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수립 및 주요 정책의제 연구. 법무부‧

IOM이민정책연구원.

㵬Ḕⱬ䜀G G X]X

정명수(2008).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정선영(201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수준과 한국거주기간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지식과 문화적응 유형의 매개를 중심으로. 아동학회 지 34(2). 43-61.

정수경(20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적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미영‧배지희(2011).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영유아기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멘토링 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31(6). 427-453.

조성연‧이정희‧천희영‧심미경‧황혜정‧나종혜(2006).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신정.

조운주‧조하나(2011).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지도와 부모지원에 대한 인식 탐색.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7-27.

채정란(1999).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생활주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최안복(2009). 통합적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윤경‧양미선‧도남희‧박혜원‧이진숙‧정윤경‧이보람(2011). 다문화가족 영유아 발달 실태 및 맞춤형 지원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최현정(2011).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행정안전부(2012). 2012년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안전부(2012). 201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계주민 현황 조사 결과.

홍민경‧이경화(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 지. 32(3). 241-254.

Derman-Sparks, L., & A. B. 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 :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NAEYC.

Robles de Melendez, W., & Ostertag, V. (1997). Teaching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classroom; Issues, concepts, and strategies. NY: Thompson.

Abstract

Child Care Support System for Vulnerable Househol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