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XUG ᡭ⃁㯝ᆉⷺG ⴙᛉG ⬚ⲪG ⽉ⱙG ↲⫑

ᆉUG ᆥ≍G ⲩ㏡ⱙኅG ⬽Ἱ⳽⽚⭙⚥ⳡG ⽉ⱙG ↲⫑

XPG ZT\⛁G ឍἵኅ⶞ⳡG ㌲⡭㫥G ⰽ⮊

2013년 3월부터 전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시행되고 있는 누리과정의 목적 은 만 3-5세 유아의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도와 민주 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자신을 존 중하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며, 누리과정은 유아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자신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과 원만 한 사회적 관계를 맺고 더불어 생활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한 것 이다.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14) 전문가 자문희외 결과 요약 정리 내용은 부록 1에 제시하였음.

X[_

개방적 경험을 통해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기능과 태도를 익혀 건전한 사회·정서발달을 이루도록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해설서의 편성 지침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성 별, 종교, 신체적 특성, 가족 및 민족 배경 등으로 인한 편견이 없도록 해야 한 다. 즉, 유아들이 성별, 종교, 신체적 특성, 가족 및 민족 배경 등에 대한 편견을 가지지 않고 각자의 독특성을 수용하고 존중해 주며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를 함양하도록 누리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는 주제나 교수학 습 자료의 선정에서 뿐 아니라, 교사의 언어 사용에서도 이러한 편견이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 다문화 관련 주제를 전개할 때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 하며 유아의 일상생활 경험을 충분히 활용하도록 누리과정을 편성하도록 하고 있다. 다양한 가족 형태와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활동을 계획하고 다문화가 족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같은 반(학급)의 유아에게 서로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서로 존중하고 배려할 수 있는 분위기 가 형성되도록 한다(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YPG ⲩ⫍G ᡭ⃁㯝G ⳽㫽G ዙⲪG 㪍ᷥᎁᴱG ⡭⡥

선행연구 분석 및 자문회의 결과, 다문화가족 지원의 일환으로 가장 많이 제 시된 것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다문화가족 유아와 비다문화가족 유아들이 어려서부터 편견과 갈등 없이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성장하며 조화 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개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다문화가족 유아를 직접 지도하는 교사들이 다문화가족 유아와 비다문화가족 유아를 일반 학급에서 누리과정의 일환으로 자연스럽게 통합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바 있는 ‘유아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 개 정판을 발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장에서 누리과정에 기 초한 유아교육·보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가운데, 누리과정의 일환 또는 심화·

확장 활동으로 본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15).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 육 아지원기관의 일반학급에서 담임교사가 유치원 교육과정 주제와 연계하여 용이 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 둘째, 일반적인 다문화 이해 활동을 개발하되, 특히,

15) 본 개정판 프로그램 자료집은 ‘취약계층 영유아 통합적 육아지원 방안 연구’ 관련 프 로그램 및 자료를 탑재하고 있는 ‘http://ybl.kicce.re.kr’ 사이트에서 다운받을 수 있음.

ᡭ⃁㯝ᆉⷺG ⽉ⱙG ↲⫑G ↘G ⶞㇎G ⶥ⭁G G X[`

한국의 결혼이민자 여성 가정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다문화국가 가정(중국, 베트 남, 일본, 필리핀, 태국 등)의 소재를 많이 다루었다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개정 판의 특징은 2012년 7월에 새롭게 고시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근거하여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는 점이다. 다문화가족 유아만을 별도로 모아서 지도하 는 것 자체가 부정적인 시각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학급에서 통합 지도를 하 되, 다문화가족 유아에게 지원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지원(지도) 전략을 사용하면서 활동을 진행하도록 한다. 주요 지원 전략으로는 시각적 단서, 또래 모델링, 활동 단순화, 과제 세분화, 반복하기, 속도 조절, 선호도 활용, 역할 부 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에는 학기 초에 전체 유아 대상 발달 관 련 기본검사를 실시, 다문화가족 유아의 발달 상태를 점검하여 기본 교육·보육 과정 계획 시 고려하고, 가정과의 연계 및 학부모 상담 시에도 반영하도록 한 다.

개정판 프로그램의 활동계획안에는 ‘다문화가정·유아를 위한 도움말’을 추가 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다문화가정과의 연계를 도모하고 다문화 부모의 자녀 양육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은 개별 다문화 가족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고, 각 활동별로 제시된 도움말의 내용을 참고하여 다문화가족과의 연계 지도를 강화하도록 한다.

ZPG ᡭ⃁㯝ᆉⷺኅG ⏍ᡭ⃁㯝ᆉⷺG ⌉‱G ⭹ቍ½㫲ᥢG 㪍ᷥᎁᴱG ⡭⡥

일반적으로 육아지원기관에서 다문화가족 지원의 어려운 점으로 많이 지적되 는 것은 다문화가족 유아의 발달상의 문제나 부적응 보다는 비다문화가족 부모 의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이다. 이에 따라 많은 선행연구에서 다 문화 어머니의 육아지원기관과의 교류 및 기관-가정 연계 지도 강화를 위한 다 문화 부모 대상 부모교육은 물론 비다문화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인식 개선 부모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 조사 결과에서 다문화가족이 육아지원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모임 참 여가 어려운 이유로 시간부족과 다른 학부모들과의 관계 형성을 지적한 바 있 다. 이에 다문화가족과 비다문화가족이 함께 하는 소집단 활동 모임 등을 구성·

운영함으로써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와 양육 기술을 공유하게 하는 방법을 활 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것은 다문화가족과 비다문화가족 간에 좀 더 긴밀한 교류를 기반으로 하는 연계·합

X\W

동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다문화가족 어머니의 자원을 받아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짝을 이루어(멘토-멘티 프로그램 등) 육아지원기관과의 연 계 지도 및 자녀 양육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 가족과 비다문화가족이 각자의 전통 음식을 함께 준비해서 같이 나누어 먹고, 이를 계기로 문화를 공유하는 등의 활동을 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육아지원기 관에서 교구나 도서를 대여하여 다문화가족과 비다문화가족이 함께 가지고 놀 면서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비다문화가족에 비해 현저히 낮은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경험을 확대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의 가족 여행, 서점이나 도서관 방문, 박물관이나 미술관 견학, 영화 및 연극·공연 관람 등도 연계·합동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수 있다.

[PG ᡭ⃁㯝ᆉⷺG 㡂⚺≍G ⌉‱⭶ᵒG ᆞ㯝G ⽉ⱙ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주로 기관 중심의 유아 다문화 이해교육 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던 것에 비해 최근 보다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이 되기 위 해서는 다문화가족 부모를 위한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비다문화가족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 족 모두 자녀 양육에 필요한 정보를 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를 위한 육아지원의 통로로서 육아지 원기관이 최적의 통로임을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기관과 가정이 연계할 때 다 문화가족 유아와 어머니, 나아가 다문화가족 모두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자녀 양육에 많은 관 여를 하는 조부모도 대상에 포함하여 자녀 양육 지원이 함께 다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문화가족 아버지의 자녀 양육 역량이 비다문화가족 아버지 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가족 아버지의 자녀 양육에 대한 관심과 양 육 역량을 제고하는 데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가족과 비다문화가족 간의 양육 특성과 기술을 비교·분석 한 결과에 따르면 비다문화가족에 비해 다문화가족 부모의 양육 수준이 상대적 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바, 다문화가족 부모교육 및 지원 시에는 비다문화가 족에 비해 좀 더 기본적인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또한 다문화가족 국가별로 도 양육 특성과 환경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양육 지원의 내용과 방 법에서 차별화하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가 다문화가족

ᡭ⃁㯝ᆉⷺG ⽉ⱙG ↲⫑G ↘G ⶞㇎G ⶥ⭁G G X\X

의 일반적인 특성 및 각 국가별 특성을 이해하고, 본 연구에서 활용방법을 제시 한 ‘KICCE 부모교육 핸드북’의 양육 주제별 소책자를 각 가족의 부족한 양육기 술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전반적으로 다문화가족의 한국어 의사소통 수준이 가정에서의 양육 환경 및 부모 역량 전반에 걸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른 국가 (중국 한족, 베트남, 필리핀)에 비해 중국 조선족 어머니들의 한국어 실력이 가 장 높았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별 맞춤형 지원을 할 필요가 있

전반적으로 다문화가족의 한국어 의사소통 수준이 가정에서의 양육 환경 및 부모 역량 전반에 걸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른 국가 (중국 한족, 베트남, 필리핀)에 비해 중국 조선족 어머니들의 한국어 실력이 가 장 높았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별 맞춤형 지원을 할 필요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