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선영(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 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 pp.119-149.

금재호(2002). 여성노동시장의 현상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금재호(2011). 노동시장 양극화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응용경제, 13(2).

2011. 9. 한국응용경제학회.

금재호(2012). 청년취업난의 악화(I): 피해자는 누구인가?, 노동리뷰, 2012.

4. pp. 17-38. 한국노동연구원.

금재호·윤자영(2011). 외환위기 이후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노 동연구원

김두섭(2007).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pp. 67-95.

김정호(2009). 여성의 임금수준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개발연구, 31(1), pp. 105-138.

김지경·조유현(2001).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 학회, 39(2), pp. 15-24.

김진욱(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 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 지학, 57(3), pp. 51-72.

김영옥·이선행·김민수(2011). 2000년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미래전략: 여

136∙여성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따른 출산수준 차이와 정책방안

성 자영업자의 감소현상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현숙(2007). 우리나라 가구의 자녀수 결정요인에 관한 Count 모형 분석 및 경제적 함의. 한국인구학, 30(3), pp. 107-135.

김현식(2012). 가구소득 및 거주형태와 자녀출산. 보건복지 Issue & Focus, 143(2012-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현식·김지연(2012). 부모동거가 첫째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 구, 32(3), pp. 5-32.

김희삼(2009).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 분석. 정책연구시리즈 2009-03. 한 국개발연구원.

남재량·성재민·최효미·신선옥·배기준(2012). 한국노동패널 1-11차년도 조사자료 User's Guide. 한국노동연구원.

민현주(2007). 엄마의 취업과 자녀터울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학, 41(3), pp. 106-126.

민현주(2008). 여성취업의 두 갈래길: 사위와 하위 수준 일자리 진입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여름호 78호.

민희철(2008). 임금 및 소득이 출산 간격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재정학연구, 1(1), pp. 41-61.

박경숙·김영혜(2003).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 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pp. 63-90.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 심으로.. 한국인구학, 28(1), pp. 277-311.

송유미·이제상(2011).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 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1), pp. 27-61.

유계숙(2010).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근로자의 자녀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 국가정관리학회지, 28(2), pp. 89-96.

우석진(2010). 여성의 취업부문과 출산결정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과 민간부 문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6(2), pp. 51-74.

참고문헌137

이성용(2009). 출산순위별 출산증가 요인 분석. 한국인구학, 32(1), pp.

51-70.

이창순(2007). 한국사회 임시직의 분화와 이질성. 한국사회학, 41(1), .pp.

94-123.

장지연(2005). 여성의 경제활동과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102(.4), pp. 45-56.

전은주·유홍준(2009). 첫 자녀 출산 후 여성의 취업여부 및 직장복귀에 관 한 결정요인. 한국사회, 10(1), pp. 183-223.

최경수(2008). 출산율 하락의 경제적 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최윤경·장영은(2010). 후속출산 비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회 아 동패널 학술대회 자료집(2010.10.29). 육아정책연구소..

통계청(KOSIS), 각 년도,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통계청(KOSIS), 각 년도, 경제활동인구조사.

한국은행(2012).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에서 2012 년 7월 인출.

황수경(2003). 여성의 직업선택과 고용구조. 한국노동연구원.

Baumeister, R.F., Bratslavsky, E., Muraven, M., & Tice, D.M.(1998).

Ego depletion: is the active self a limited resour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5), 1252-1265.

Becker, G. S.(1960). An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209-231 in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ed Countries.

Universities-National Bureau Conference Series No.11.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Budig, M. J.(2003). Are women’s employment and fertility histories interdependent? An examination of causal order using event history analysis. Social Science Research, 32, 376-401.

Cleves, M. A., Gould, W. W., & Gutierrez, R. G.(2004). An

138∙여성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따른 출산수준 차이와 정책방안

introduction to survival analysis using Stata, revised ed. College Station, TX: Stata Press.

Cramer, J. C.(1980).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problems of causal dire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5(2), pp.

167-190.

Elwert, F., & Winship, C.(2010). Effect heterogeneity and bias in main-effects-only regression models. In Dechter, R., Geffner, H., and Halpern, J. Y.(eds.). Heuristics, Probability and Causality:

A Tribute to Judea Pearl, UK: College Publications, pp.327-336.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2012). Key indicators of the labour market. Retrieved November, 2012, from http://kilm.ilo.org/kilmnet/.

Jokela, M.(2009). Physical attractiveness and reproductive success in humans: Evidence from the late 20th century United States.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30, pp. 342-350.

Kim, H. S., & Kim, J. Y.(2012).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fertility. Pp. 33-62, in International Workshop on Linkage of Low Fertility to Socio-Economic Environmen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lein, J. P., & Moeschberger, M. L.(2003). Survival analysis:

Techniques for censored and truncated data, 2nd ed. New York:

Springer.

Lesthaeghe, R. J., & Neidert, L.(2006).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the United States: Exception or textbook Exampl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2, 669-698.

Little, R. J. A. & Rubin, D. B.(2002).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 2nd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참고문헌139

Lohr, S. L.(1999). Sampling: Design and Analysis. Pacific Grove, CA:

Duxbury Press.

Morgan, S. L. & Winship, C.(2007). Counterfactuals and Causal Inference: Methods and Principles for Social Research.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earl, J.(2000). Causality: Models, Reasoning, and Infer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reston, S. H., Heuveline, P., & Guillot, M.(2001). Demography:

Measuring and Modeling Population Processes. Malden, MA:

Blackwell Publishers Inc.

Robinson, W. C.(1997).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over three decades. Population Studies, 51(1), 63-74.

Rosenbaum, P. R.(2002). Observational Studies(2nd Ed). New York:

Springer-Verlag.

Singer, J. D., & Willet, J. B.(2003).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mith-Lovin, Lynn & Tickamyer, A. R.(1978). Nonrecursive model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fertility behavior and sex role attitud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3, 541-557.

van de Kaa, D. J.(1987). Europe’s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Population Bulletin, 42, 1-59.

Waite, L. J. & Stolzenberg, R. M.(1976). Intended childbearing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young women: Insights from nonrecursive model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1, 235-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