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 - 의료서비스 관리 실태. 2015.

강예란, “내년 전공의 모집 진료과별 ‘기상도’ 확연”. 데일리메디. 2014.12.01.

Available from URL:

https://www.dailymedi.com/news/view.html?section=1&category=6&no

=78715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래전략위원회. 의료심사평가 선진화를 위한 미래전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심사평가 선진화전략 실행 추진단. 의료심사평가 선진화 전략 실행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년도 급성심근경색증 평가결과. 201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2015.

고수경, 김한성, 송기민 등. 의료기관 종별 구분 개선에 따른 의료기관 종별 인정․평가 기준 개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6.

김세라, 김한성, 김진희 등. 종합전문요양기관 평가기준 개선방안 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5.

김윤, 은상준, 박재현, 방지환, 박종혁, 이은정, 서수경, 황수희, 장원모, 장현갑.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적정성 평가결과 종합화 방안 및 진료성과 평가지표 개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서울대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2010.

당지연, 최윤수, 김영훈. 한국과 일본병원의 미션선언문 비교연구 - 한국의 상급종합병원과 일본의 특정기능병원을 중심으로. 병원경영학회지.

2013;18(1):70-87.

마이니치신문. “특정기능병원 취소, 안정정보가 공유되고 있지 않아

(特定機能病院取り消し 安全情報を共有せず)”. 2015.5.1. Available from

URL:

http://mainichi.jp/shimen/news/20150501ddm003040128000c.html 박춘선, 김경민, 이병란, 장진희, 한승진 등. 상급종합병원의 지정기준 개선을 위한

진료실태 조사 및 분석.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1.

병원신임평가센터. 2015년도 병원신임평가 설명회 자료. 병원신임평가센터 홈페이지. Available from URL: https://kha.or.kr/board/normal/view 보건복지부. 2015년 의료질평가 계획(보건복지부 공고 제2015-426호),

2015.7.14.

보건복지부. 상급종합병원, 더 이상 경쟁적인 병상 증설 못한다. 2014년 2월 27일 보도자료. 2014.

보건복지부. 의료기관의 종류별 표준업무규정(보건복지부 고시 2011-69호, 2011.6.24)

보건복지부. 전문병원의 지정기준(제2조제1항제1화 관련) 별표 1. 2014.8.13.

보건복지부. 종합전문요양기관(3차병원) 지정도 이제 경쟁시대. 2007년 12월 18일 보도자료. 2007.

보건복지부, 중앙응급의료센터. 2014년도 권역응급의료센터 평가안내서. 2014.

서덕준, 김선, 김형태, 박원균 등. 의사인력 양성현황 연구: 한국의학교육백서.

의료정책연구소. 2014.

서민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보다 질 떨어진다”. 메디칼 업저버. 2013.10.18.

Available from URL:

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248

손락훈. “신경림 ‘병원 규모, 의료 질 담보 못해’”. 의약뉴스. 2013.10.18.

Available from URL:

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806

손종관, “2017년 상급종합병원 평가 ‘의료 질’ 강화”. 메디컬업저버. 2015.04.11.

Available from URL: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202

송성철, “내과마저...전공의 지원 미달 사태 ‘왜?’”. 의협신문 2014.12.15.

Available from URL: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776 신숙연, 김묘정, 김진희. 수가가산제도의 평가 및 개선방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

안덕선, 김영창, 박종훈, 문동석, 채수진, 박귀화, 유효현. 교육병원 지정에 관한 평가인증 기준 개발. 의료정책연구소. 2014.

이용균, 남상요, 서영준, 양명생. 의료기관 종별 가산율 개선방안 연구.

한국병원경영연구원. 2002.

이유리. “전공의 진료과목별 수급 양극화 현상 고착화”. 헬스코리아 뉴스.

2014.10.14. Available from URL: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82094 이혜란. 의료기관 평가의 시대, 대한병원협회의 역할. J Korean Med Assoc 2012

January; 55(1):23-30.

정형선, 김진현, 박형근, 이왕준, 한동운. 적정 의사인력 및 전문분야별 전공의 수급추계 연구. 보건복지부 &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2011.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3차 진료기관 인정기준에 관한 연구. 1995.

황수희, 장진희. 의료기관 유형간 질적 수준 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Accreditation Policies and Procedures. Effective 6/13/2015. Available from URL:

https://www.acgme.org/acgmeweb/Portals/0/ab_ACGMEPoliciesProcedu res.pdf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Inpatient Quality Indicators (IQI). Composite Measure Workgroup Final Report. March 2008. Available from URL:

http://www.qualityindicators.ahrq.gov/Downloads/Modules/IQI/IQI_Co

mposite_Development.pdf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 Australia’ hospitals at a glance 2010-2011, 2012.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 Australia’ hospitals at a glance 2011-2012, 2013.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 Australia’ hospitals at a glance 2012-2013, 2014.

Australian Medical Council (AMC). Standards for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Specialist Medical Education Program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by the Australian Medical Council 2010. 2010.

California Department of Health Care Service Hompage. CCS Approved Hospitals. Avaliable from URL:

http://www.dhcs.ca.gov/services/ccs/scc/Pages/SCCName.aspx California Department of Health Care Service Hompage. CCS Program

Overview. Avaliable from URL:

http://www.dhcs.ca.gov/services/ccs/Pages/ProgramOverview.aspx California Department of Health Care Service. California children’s

services manual of procedures. 1999. Available from URL:

http://www.dhcs.ca.gov/services/ccs/Documents/Tertiary.pdf

Huang C, Wung C and Yang C. Developing 21st century accreditation standards for teaching hospitals: the Taiwan experience,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09;9:232-42.

OECD. Handbook on Constructing Composite Indicators - methodology and user guide. 2008. Available from URL:

http://www.oecd.org/std/42495745.pdf

Reeves D, Campbell SM, Adams J, Shekelle PG, Kontopantelis E, Roland MO. Combining Multiple Indicators of Clinical Quality: An Evaluation of

Different Analytic Approaches. Med Care 2007;45:489–496.

Wheeler B. Overview of the Hospital Value-Based Purchasing (VBP) Fiscal Year 2017. 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 (CMS). 2015.

Available from URL:

http://www.qualityreportingcenter.com/wp-content/uploads/2015/02/H VBP_021715_Overview-FY2017.pdf

World Medical Association (WMA) Statement on Medical Education.

Adopted by the 57th WMA General Assembly, Pilanesberg, South Africa, October 2006. Available from URL:

http://www.wma.net/en/30publications/10policies/e15/

www.hira.or.k

자 문체 구성

구분소속 및 직위전공과목/전문분야 및 담당업무 A대한병원협회 추천 전문가/교수영상의학 B대한병원협회 추천 전문가/교수예방의학/보건관리, 보건의료정책 C학계 전문가/교수예방의학/보건정책관리 D학계 전문가/교수예방의학/보건의료정책, 지역보건사업 E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위원소아청소년과/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전반 F~H보건복지부 관련부서 담당자의료기관 정책 전반, 상급종합병원 지정 등 I~M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 실무자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 담당 실무 N~P대한병원협회 사무국 실무자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 관련 협회 관계자 사무국 실무자들은 정식 자문체 멤버는 아니었으나, 회의 참석 및 배석을 통해 일부 의견 수렴에 동참하였음.

원 지정기준 관련 의료의 질 평가 방안 연구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국 졸업 후 의 학교육 인 증 위원회( A C G M E) 의 인 증기준

구분인증영역인증기준 교육 관리를 위한 구조1.A 후원기관

1.A.1 ACGME에 의해 인증된 레지던트 및 펠로우십 프로그램은 한 개의 후원 기관의 권한과 관리하에 운영된다. 1.A.2 후원기관은 ACGME 기관 인증기준을 준수해야하며, 인증 프로그램 각각은 기관 인증 및 전문과 목/세부전문과목 프로그램의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1.A.3 후원기관은 ACGME 기관 인증을 유지해야하며, 그러지 못할 경우, 인증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 자 격을 잃게 된다. 1.A.4 후원기관과 인증 프로그램은 레지던트/펠로우에게 환자안전과 양질의 진료를 용이하게 하는 학습 및 근무환경을 할당해야만 한다. 1.A.5 후원기관은 다음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a) GMEC와 협력하는 개인으로 후원기관의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감독과 운영에 대한 권한과 책임 을 가진 기관 지정 담당자(Designated Institutional Official, DIO) b) Governing Body 1.A.6 GME에 대한 행정적, 교육적, 임상적 자원 확보를 위한 재정적 지원 제공에 대한 후원기관의 책무 를 문서화한 규정이 있다. 적어도 5년에 한번 DIO나 후원기관의 고위 행정부의 검토, 사인이 있어야 한 다. 1.A.7 환자 진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을 받아야 한다. a) 환자 진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은 다음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① the Joint Commission, ② 연방법률하 메디케어에 참여하기 위해 관계 당국에 의해 승인된 기관, ③ 연방법률하 메디케어에 참여하는 질환을 준수한다고 인증된 기관 1.A.8 후원기관 또는 주요 훈련 기관이 환자진료에 대한 인증을 상실한 경우, 기관 검토 위원회에 30일

www.hira.o

구분인증영역인증기준종류 이내에 알리고 대처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 1.A.9 후원기관 또는 주요 훈련 기관이 면허가 거부, 유예, 폐지되는 경우나 다른 규제가 발생하는 경우, 기관 검토 위원회에 30일 이내에 알리고 대처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핵심기준 1.B 졸업 후 의학 교육 위원회 (GMEC)

1.B.1 회원 a) 여러 ACGME 인증 프로그램을 보유한 후원기관은 다음의 투표권을 가진 멤버로 구성된 GMEC를 설치해야 한다. ① DIO, ② 적어도 2명의 ACGME 인증 프로그램 책임자의 대표자, ③ 적어도 2명의 해당 ACGME 인증 프로그램에 속한 동료들에 선택된 레지던트/펠로우, ④ 질 개선 또는 환자안전 담당자 b) 단일 ACGME 인증 프로그램을 보유한 후원기관은 다음의 투표권을 가진 멤버로 구성된 GMEC를 설치해야 한다. ① DIO, ② DIO가 아닌 프로그램 책임자, ③ 적어도 2명의 해당 ACGME 인증 프로그램에 속한 동료 들에 선택된 레지던트/펠로우, ④ 질 개선 또는 환자안전 담당자, ⑤ 한 명이상의 다른 전문과목 관련 자

핵심기준 1.B.2 추가적인 GMEC 회원 및 세부 위원회 a) GMEC 책임을 다루기 위한 세부위원회는 동료들에 선택된 레지던트/펠로우를 포함해야 한다. b) GMEC 책임을 다루기 위한 세부위원회의 활동은 GMEC에 의해 검토되고 승인되어야 한다.세부기준 1.B.3 회의 및 참석: GMEC는 최소 매분기에 한 번 이상 열려야 한다. a) 각 회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레지던트/펠로우 회원을 포함해야 한다. b) GMEC는 모든 필요로 하는 기능과 책임의 수행을 위해 명시된 회의 시간을 지켜야 한다.핵심기 1.B.4 책임: GMEC의 책임은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a) 다음의 관리 ① 후원기관 및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ACGME 인증 상태, ② GME 학습 및 업무환경의 질, ③ 각 ACGME 인증 프로그램에서의 교육적 경험의 질, ④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연간 평가 및 개선 활동, ⑤ 개별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축소 및 폐지와 관련된 모든 절차

․ 결과기준: a) ․ 핵심기준: 이외기준

원 지정기준 관련 의료의 질 평가 방안 연구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구분인증영역인증기준 b) 다음의 검토 및 승인 ① 기관의 GME 정책 및 절차, ② 레지던트/펠로우의 봉급 및 급여와 관련된 후원기관 행정부에 대한 연간 권고안, ③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ACGME 인증의 적용, ④ 레지던트/펠로우 보충에 대한 변경 요청, ⑤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구조 또는 교육 기관에서의 주요한 변화, ⑥ ACGME 인증 프로그램 참여 부서의 추가 및 제외, ⑦ 새 프로그램 책임자의 임명, ⑧ 검토 위원회에서 요청된 경과 보고서, ⑨ 임상 학습환경 검토 보고서에 대한 대응, ⑩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자발적 철수, ⑪ 검토 위원회에 의한 부작용에 대한 이의제기 요청, ⑫ ACGME 이의 패널에 설명/발표 제기 1.B.5 GMEC는 연간 기관 검토에서 후원기관의 인증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입증해야 한다. a) GMEC는 다음의 기관 성과지표를 확인한다. ① 가장 최신의 기관 자기평가 방문 결과 ② 레지던트/펠로우 및 핵심 교수진의 ACGME 설문조사 결과 ③ 각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인증 상태와 자기 평가 방문의 통지 b) 연간 기관 검토는 검토의 결과로 인한 활동 계획에 대한 절차 모니터링을 포함해야 한다. c) DIO는 Governing Body에 연간 기관 검토에 대한 서면으로 작성된 요약본을 제출해야 한다.

원 지정기준 관련 의료의 질 평가 방안 연구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구분인증영역인증기준 b) 다음의 검토 및 승인 ① 기관의 GME 정책 및 절차, ② 레지던트/펠로우의 봉급 및 급여와 관련된 후원기관 행정부에 대한 연간 권고안, ③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ACGME 인증의 적용, ④ 레지던트/펠로우 보충에 대한 변경 요청, ⑤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구조 또는 교육 기관에서의 주요한 변화, ⑥ ACGME 인증 프로그램 참여 부서의 추가 및 제외, ⑦ 새 프로그램 책임자의 임명, ⑧ 검토 위원회에서 요청된 경과 보고서, ⑨ 임상 학습환경 검토 보고서에 대한 대응, ⑩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자발적 철수, ⑪ 검토 위원회에 의한 부작용에 대한 이의제기 요청, ⑫ ACGME 이의 패널에 설명/발표 제기 1.B.5 GMEC는 연간 기관 검토에서 후원기관의 인증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입증해야 한다. a) GMEC는 다음의 기관 성과지표를 확인한다. ① 가장 최신의 기관 자기평가 방문 결과 ② 레지던트/펠로우 및 핵심 교수진의 ACGME 설문조사 결과 ③ 각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인증 상태와 자기 평가 방문의 통지 b) 연간 기관 검토는 검토의 결과로 인한 활동 계획에 대한 절차 모니터링을 포함해야 한다. c) DIO는 Governing Body에 연간 기관 검토에 대한 서면으로 작성된 요약본을 제출해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