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문서에서 그 림 차 례 (페이지 177-188)

<국문자료>

강미나 외. 2007. 「노인주거복지 제고를 위한 종합계획 수립연구: 고령자 생활패턴 분석을 통한 주거환경 편리성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pp45-64

건설교통부. 2006.12. 「고령자 주거지원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건설교통부. 2007.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2007∼2011)」

건설교통부․대한주택공사. 2006. 「고령자주거지원법안 마련 연구」

경신원. 2008.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영국의 노인계층 정책 개선 논의”. 「국토」통권 315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1. "100세 시대, 어떻게 행복하게 살 것인가?". 토론회

자료집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1.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100세 시대 종합 컨퍼런스 발표 자료집

교통안전공단. 2005. 「교통안전지역 지정제도 적용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2008.「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국토해양부. 2010. 「2010년도 국가교통안전시행계획」

국토해양부. 2011.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

국토해양부. 2011. 「제7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2012~2016)」

국토해양부. 2011.「요즘 고령자 통행 활발해져」.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011. 9. 29(목) 국회입법조사처, 2010.「고령사회를 대비한 고령운전자의 교통안전대책」

김근용 외. 2009.6.15. “고령화에 대응한 역모기지 활성화 방안”. 국토정책 Brief 233호. 국토연구원

김선자․김경혜. 2010.「통계로 본 서울 노인」

김선희 외. 2010.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연구(Ⅰ)」. 국토연구원 김선희 외. 2010. 「국토비전 2050 수립추진(Ⅱ)」. 국토해양부 김승엽. 2011. “고령화 사회의 도로정책방향: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도로정책브리프」 제45호

김은정 외. 2010.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공간계획 및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김은정. 2010.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공간계획 방향”. 「국토」 7월호. 국토연구원 김은정. 2010. “수변공간은 건강복지인프라 - 뉴욕 브롱스강 사례와 시사점”.

「국토정책 브리프」 제277호.

김인석. 2007. 「고령화 및 고령사회의 교통안전 대책과 정책 과제」.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김종태. 2006. 「노인복지주택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희. 2009. 「유럽의 WHO 건강도시 주요사업 변천: 1~5기」

김혜승 외. 2008. 「주거수요분석에 기초한 노인주거지원 정책과제 연구」. 국토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 2010.「 도시생활농업 활성화 연구」

농식품부. 2010. 도시생활농업 활성화 연구 및 농식품부 자체점검 자료

대한민국 정부. 「제1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2006~2010)」. 새로마지플랜 2010 대한민국 정부. 2010. 「제 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2011~2020」

대한민국 정부. 「제2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2011~2015)」. 새로마지플랜 2015 도로교통공단. 2010. 「교통사고 분석 자료집: 2009년 노인 교통사고 특성분석」

모창환. 2008. “유럽의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정책 및 시설현황”. 월간「교통」 125호 박상우 외. 2008.「수요대응형 교통체계 평가모형 구축」

박용재. 2008. “대전광역시 교통문화운동 도레미프로젝트”. 월간「교통」 제129호 박준환. 2010. 「고령사회를 대비한 고령운전자의 교통안전대책」.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부. 「2011년 노인복지시설 현황」

보험개발원. 2010.「고령운전자 증가에 따른 자동차 보험 영향 및 시사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커뮤니티 존 실천 매뉴얼」

석재은. 2010. “공급자 관점에서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선우덕. 2010. “정부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한 노인장기 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2010. 10

여성정책연구원. 2011. 「100세 시대 가족」제69차 여성정책포럼 자료집 유선종. 2009. 「미래사회에서 보는 노인주택」. 서울: 도서출판 청람

윤석명 외. 2011. 「베이비부머 은퇴 대비 정책개발 연구: 인적자원관리와 관련사업 활성화를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윤소영. 2011. "100세 시대 여가 및 문화화동 활성화 방안". 100세 시대 종합 컨퍼런스 발표 자료집: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기획재정부

이수영. 2011. "100세 시대 도래의 시사점과 정책방향". 100세 시대 종합 컨퍼런스 발표 자료집: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기획재정부 이신해‧김선자‧조혜정. 2005.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서울시 교통정책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연숙. 2005. 「미래공간과 디자인」.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연숙. 2005. 「오고 있는 미래, 반응하는 세계주택」.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용우. 2010. 「국토 대예측 연구(I)(II)」. 국토연구원

이윤경. 2010. “이용자 관점에서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평가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장영희. 2007. 「고령화시대 노인주거복지 정책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전홍택 외. 2011. 「100세 시대 어떻게 살 것인가」. 휴먼뉴딜 종합연구 총서

11-05-02,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전홍택 외. 2011. 「100세 시대: 어떻게 행복하게 살 것인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정경실. 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성과와 향후 추진계획.” 보건복지포럼. 2010. 10 정일호‧김준기. 2009. “고령화는 나와 상관없는 문제인가”. 「국토정책 브리프」 235호 조남건. 2001. 「고령화에 따른 통행특성 조사연구」. 국토연구원

조정석‧박지영‧최병남. 2010. 「고령자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지우석. 2009. 「노인 교통안전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지은영 외. 2009. 「한국형 고령자주택 유형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최성재. 2011. 지속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도전. “100세 시대 대비 저출산, 고령사회포럼: 100세 시대 대비 고령자의 노동시장 및 사회참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진호. 2000. 「미국 노인주택 시장의 현황과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황근. 2006. 「실버타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2011. 「고령자통계,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보도자료」

한국교통연구원, 2001.「고령운전자의 운전행태 고찰 및 안전운전대책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유료노인복지시설 실태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젠더리뷰」. 제21호

<영문자료>

Hong Kong Housing Authority (http://www.housingauthority.gov.hk) IEA/OECD. 2009. CO2 Emission from Combustion

Jonathan R Leake et al.. 2009. "Health benefits of 'grow your own' food in urban areas:

implications for contaminated land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Environmental Health, 2009, 8(Suppl 1):S6, p2. (adapted from Peraz-Vazquez et. al., 2005)http://www.cityfarmers.kr/htm/school_03.html?ptype=view&code=school_story

&idx=5113

Kim, S. . 2011. Assessing Mobility in an Aging Society: Personal and Built Environ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lder People's Subjective

Transportation Deficiency in U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Spinney, J.E.L., Scott, D.M., Newbold, K.B. . 2009. Transport Mobility Benefits and Quality Life: A Time-Use Perspective of Elderly Canadians. Transport Polic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1. Guide to Sustainable Transportation Performance Measures

WHO. 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WHO

<인터넷>

http://www.alliance-healthycities.com/htmls/members/index_members.html#australia SDI 웹진(서울도시정보지) 2010. 8. 9

국토연구원 세계도시정보(www.ubin.krihs.re.kr)

녹색성장위원회(http://www.greengrowth.go.kr/index.do) 뉴스와이어(http://www.newswire.co.kr/)

대전광역시(http://www.daejeon.go.kr/)

사단법인도시농업포럼(http://www.cityfarmers.kr/htm/school_03.html?ptype=view&

code=school_story&idx=5113)

서울 다산콜센터 공식블로그(http://blog.naver.com/120seoulcall?Redirect=Log&logNo=10044974672)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한국장애인개발원(http://www.koddi.or.kr/)

행복한 세종시 블러그(http://blog.daum.net/happycity2030/)

S ․ U ․ M ․ M ․ A ․ R ․ Y

SUMMARY

Directions and Future Tasks of Urban and National Territorial Policies in Preparation for the Age of Centenarians

Yeong-Kook Choi, Eun Jung Kim, Hye-Seung Kim, Joon-ki Kim, Jung-Eun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urban and regional policies that would prepare for the age of centenarians. The study area covers whole national territory and the target year of policies is 2020.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ies to be implemented in the national territory mainly focused on urban, housing, and transportation sectors.

Method of the study includes literature reviews, official interviews, consultative meetings, and seminars.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centenarian is a person who has attained the age of 100 years or more. This study defines the age of centenarians is the age that the majority of people expects to live to or beyond the age of 100 years. Government reports have suggested that Koreans over 65 will account for more than 14 percent of the entire population by 2018 and over 20 percent in 2026. This means that the age of centenarian will come around 2020, and it is time to prepare that age. For the age of centenarians,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 policies to be

implemented in urban and national levels with paradigm shift of the old from vulnerable group to ordinary group.

In order to check and review actual conditions of local governmental policies about the preparedness for the age of centenarians, this study choose Daejeon(big city), Wonju(medium-sized city), and Seocheon(small-sized city). For the urban and regional planning sector, Daejeon and Wonju carried forward relevant policies such as creation of urban forests, vegetable garden, and activity-friendly waterfront. As housing policies, Seochoen tried to supply welfare complex for the old.

For the transportation sector, all three local governments supplied several policies such as provision of barrier-free design, low floor bus, and school and silver zone.

As national territorial policies for the age of centenarians, they should concern to build healthy environments, maintain and expand safety urban infrastructures, supply comfortable shelters, and provide various leisure opportun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centenarians' age, building a healthy and dynamic territory, this study selects four key words including health, safety, job, and leisure.

Policy issues were selected by three sectors(urban, housing, and transportation) and four keywords(health, safety, job, and leisure). For the urban and regional sector, several policies should be included such as creation of urban forests, activity-friendly waterfronts, urban farm, sport facilities, and other institutional strategy for healthy environment.

For the housing sector, this study suggests including provision of home care service and housing supply for the old, job creation of elderly caregivers, and creation of community housing for all generation. As a transportation part, there are provision of barrier-free public transportation, modifica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creation of safe driving environment.

This study has following four significances. First, it leads the governmental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aging society. Second, it offers insight into how to provide urban environmental policies to

prepare the age of centenarians. Third, it provide guideline of direction and future task of urban policies. Fourth, this suggests several policy issues in urban, housing, and transportation sectors.

■ Key words _ Homo Hundred, Healthy Aging Society, Territorial and Urban Policies, Urban, Housing, Transportation

A ․ P ․ P ․ E ․ N ․ D ․ I ․ X

부 록

<부록 1> 원주시 건강관련 사업 및 정책사례

기타 건강관련 사업 및 정책으로는 건강한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앞에서도 기술했듯이 원주시는 WHO 서태평양 건강도 시연맹의 건강도시 회원도시이고,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의장도시로 건강도시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특히 조례, 기본계획 및 실행계획 수립 등 건강 한 원주시 조성을 위한 제도장치 마련에 다양하게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06년부 터 담배소비세를 건강도시에 사업에 투자하여 주민들의 호응과 안정적인 재원마 련에 성공하기도 하였다. 건강도시 사업에 투자한 재원은 ‘06년에는 161억 원으로 시작하여, ‘07년 258억 원, ’08년 297억 원, ‘09년 347억 원, ’10년 322억 원을 투입 하여 현재까지 건강도시 추진과제 397건에 총 1385억 원을 투자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원주시와 지역 대학(연세대학교 원주 의과대학)과의 파트너십에 의해 ‘09년 7월부터 건강도시 사업으로 ‘평생건강·운동의학센터’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는 지속적인 원주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적으로 운 영되고 있으며, 방문 이용자 1,704명을 대상으로 시설 이용의 접근성, 검진내용의

이 센터는 지속적인 원주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적으로 운 영되고 있으며, 방문 이용자 1,704명을 대상으로 시설 이용의 접근성, 검진내용의

문서에서 그 림 차 례 (페이지 177-18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