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2. 진로정체감 유형

가. 진로정체감의 개념

1) 자아정체감의 의미

자아정체감이란 용어는 자아정체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아정 체감(自我正體感)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본질

적으로 불변하는 실체로 인식하는 개인의 느낌(두산백과. “자아정체 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790&cid=

40942&categoryId=31531, (2016. 10. 31))’으로 나타나 있고, 자 아정체성(自我正體性)은 자신을 변하지 아니하는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성질, 또는 그 성질을 가진 독립적 존재라고 설명하고 있다. 정체감이란 자기의 연속성, 단일성 또는 독자성, 불변성이고 또 이와 같은 개인의 동일성에 대한 의식적 감각이라고 하였다. 이는 자아정체감이나 자아정 체성 두가지 모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진로관련 선행연구(공인 규, 2008; 김봉환, 1997; 김태선, 2003; 서유란, 이상희, 2012; 이형 국, 2007, 2009)에서는 정체감이란 용어를 사용하므로(박아청, 2008) 이 연구에서도 정체감이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먼저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살펴보면, Erikson(1968)은 자아정체감 (identity)이란 개인의 자아가 그의 인격체제 즉 자아, 초자아를 통합하 는 방식에서 동질성과 연속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동시 에 자신의 자아통합(ego synthesis)의 방식이 자기가 타인에게 주는 개 인적 의미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인식해 나가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아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Erikson(1968)은 자아정체감(identity)을 개인 의 영속성, 단일성 또는 독자성, 불변성이며, 이와 같은 개인의 동일성에 대한 의식적 감각(conscious sense of individual identity)이며, 개인 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생각하는 연속성과 단일성을 바탕으로하는 주관 적인 느낌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는 시 기로 자아정체감이란 본인이 느끼는 자기와 타인이 아는 자기 사이에 통 합된 인성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처럼 Erikson은 정체감 의 개념을 단순한 이론적 구성개념으로 본 것이 아닌 그 현상적인 주관 적 의식 경험을 강조하였고 자아개념의 통합성, 안정감, 명확성 및 관련 된 감정들을 자아정체감으로 보았다. 이는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언급하였다고 볼 수 있다.

Munley(1997)는 자아정체감(self identity)을 자신의 내적인 일치성 이 타인․사회가 가지는 일치성과 연속성에 합치되어서 파생된 개인의 자

신감 또는 자신이 누구이며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개인의 느낌․인식, 즉 다양한 변화 속에서 개인이 인식해 가는 확신성 및 환경지각에 있어서의 내적 동일성과 연속성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인지 적, 정서적 측면에서 언급하였다고 볼 수 있다.

Marcia(1980)에 의하면 정체감을 개인의 욕구, 능력, 신념 및 개인사 의 내적이고 자기 구성적이며 역동적인 구조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인 간이 성장하면서 갖게 되는 대인관계 속에서 자신의 역할, 인생목표, 가 치관 또는 이념 등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독특성에 대한 인식과 이에 부합되는 자기 통합성과 일관성을 유지해 나가려는 의식적, 무의식적인 노력이라 하였다. 이는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인지적 측면에서 강조하였 다고 볼 수 있다.

Dignan(1965)에 의하면 자아정체감은 어떤 메카니즘에 의한 사전 형 성이 아닌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성장과정에서 자기 를 비추어 볼 수 있는 대상으로부터 반영되는 종합적인 자아상 또는 자 신을 묘사해 주는 자기 관련 이미지들(self-referent images)의 복합 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주로 인지적, 정서적 측 면에서 강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Hjelle과 Ziegler(1976)에 의하면 자아정체감을 여러가지 동일시를 통해 자신의 능력, 사회적 역할 속에서 하나의 자기를 찾으려는 자아통 합의 과정이며 어떤 집단과의 동일시, 이념, 신념, 직업에 관여를 통해 자신을 규정하려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 언급하였다고 볼 수 있다.

서봉연(1994)에 의하면 자아정체감은 대인관계, 역할, 목표, 가치 및 이념 등에 있어서 자기가 지니는 고요성에 대한 자각과 이에 부합되는 자기 통합성과 일관성을 인식해 나가려는 의식․무의식의 노력이라고 했 다. 이는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 언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배종훈(2001)은 과거․현재․미래의 연속선상과 가정․집단․사회 의 공간 내의 나에 대한 일관성과 독특성에 대한 인식이라고 하였다. 이

러한 자기에 대한 인식, 즉 정체감 형성은 자기와 자기를 둘러싼 환경 영역(직업, 종교, 정치이념, 개인적 가치관 등)에 대한 부단한 탐색과 관 여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는 자아정체감의 의미를 인 지적, 행동적 측면에서 강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자아정체감의 구성요인을 살펴보면, Dignan(1965)은 수용, 역할기대, 안정성, 목표지향성, 대인관계로 보았고 Waterman(1982)은 자아정체감 개념의 복합성을 언급하면서 자아정체감의 구성요인들로 첫 째, 명확하게 자기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 둘째, 인생의 목표, 가치, 신념을 정립시키기 위한 관여, 셋째, 관여한 것을 실행하기 위한 실제적 행동의 존재여부, 넷째, 정체감에 대한 대안점을 찾기 위한 범위에 대한 고려, 다섯째, 자기수용의 정도, 여섯째, 개인적인 독특성에 대한 감각, 마지막으로 개인 자신의 미래에 대한 확신감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2) 진로정체감의 의미

진로정체감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자아정체감의 의 미에 진로(career)에 대한 의미를 더해 함께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진로이론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 의하면, 진로(career)는 개인의 과거 경험, 현재 상황, 미래 기대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개인이 일생에 걸쳐 갖게 되는 직업에만 국한되는 개념이 아닌, 일과 관련되는 여러 가지의 활동과 역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Arthur, Hall 및 Lawrence(1989) 는 진로란 전 생애에 걸쳐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개인의 일 경험이라고 정의하였으며, Herr와 Cramer(1996)도 진로를 일생동안 수행하는 역 할의 총체라고 하였다. 한편, 진로라는 개념을 생애발달적인 차원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해석한 Gysbers와 Moore(1981)는 진로란 개인이 수 행하는 역할, 주변의 환경, 개인이 경험하는 사건들의 통합을 통한 전 생애에 걸친 자기개발이라고 정의하였다(최동선, 2003).

이와 같이 전 생애적 맥락으로서의 진로 개념을 고려할 때, 진로발달 은 어느 특정한 시기에 수행하는 일회적인 발달과제라기보다는 일생에

걸쳐 수행하는 연속적인 발달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은 한 번 결정한 진로를 지속적으로 평생 동안 유지하기 보다는 진로 변화의 가능 성을 가진 채 끊임없이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 때, 명 확한 진로정체감을 형성하고 있다면 개인이 자신의 진로발달의 방향성을 점검하여 자신이 처한 상황에 적절한 진로행동을 선택하고 지속해 나가 는데 도움을 준다(Holland, Daiger, & Power, 1980).

진로정체감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로 정체감(Career Identity)은 Erickson(1963)의 자아정체감을 진로영역 에 한정하여 적용한 개념을 시작으로 하여 변화 및 발전시켜 온 개념이 다. 개인이 진로와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목표, 흥미, 능력 등에 대해 얼 마나 명료하고 안정된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진로발달의 인지적 측면(Holland, 1985)을 의미한다. 진로정체감은 진로의사결정의 상황에서 중요한 지침 또는 준거의 틀이 되며, 자신에 대한 객관적 이해 와 탐색, 발견 및 일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의 진로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Tiedman과 O’Hara(1963)는 진로발달이 곧 진로정체감을 형성해가 는 과정으로 보고, 진로정체감이란 개인이 자신의 제반 특성을 이해하 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인식 또는 생각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직업선택과 진로발달의 목표를 일과 관련된 자아정체감의 형성과 발달이라고 보고, 직업적 자아정체감이 개인의 목 표, 흥미, 재능에 대한 명확하고 안정된 인식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이러 한 특징들을 분명하지 않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개인이 적절한 결정을 하도록 확신을 해주며, 비교적 만족하는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이끌어준 다고 하였다.

Super(1963)는 어떠한 진로정체감을 가지고 있는지가 진로발달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진로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관 된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화된 자기개념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진로 선택은 정체감 발달과 연결되어 있으며, 정체감 혼

란을 겪으면 진로를 결정할 수 없게 만든다고 하였다.

Holland와 Gotttredson, Power(1980)는 진로정체감이란 개인이 자 신의 진로를 얼마나 명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또는 자신이 진로에 대해 명확한 그림을 가지고 있는지를 말하며, 이러한 특징은 문제없는 (untroubled) 의사결정과 관련이 있으며, 피할 수 없는 모호함 (ambiguity)에 직면했을 때 알맞은 결정을 내리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과 관련이 깊다고 하였다.

김봉환(1997)은 진로정체감이란 자신의 성격, 흥미, 목표, 재능 등에 관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상(image)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진로 정체감을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나타내는 변인으로 제시

김봉환(1997)은 진로정체감이란 자신의 성격, 흥미, 목표, 재능 등에 관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상(image)을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진로 정체감을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나타내는 변인으로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