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3. 조사도구

이 연구에서는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유형을 구명하고 그에 미 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진로정체감, 개인특성 변인, 전공특성 변인,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구성된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 는 5점 척도, 선택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 진로정체감

이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porfeli(2009)에 의해 개발 되고, Porfeli 외(2011)에 의해 수정 및 보완된 도구를 한국의 상황에도

타당한지 검증한 이보라 외(201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정된 측정문항을 진로교육 분야 교수 1인과 박사수료생 1인, 박사과 정생 1인에게 내용을 검토 받았으며, 모든 문항의 응답범위는 Likert 5 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확인한 결과 예비조사에서 0.690, 본 조사에서 0.710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구분 문항 번호 내적일치도(Cronach’s α)

예비조사(n=40) 본 조사(n=515)

진로정체감 .690 .710

진로탐색 - .756 .710

광범위한 탐색 1,8,14,21 .638 .771

구체적인 탐색 2,9,10,15,22 .803 .705

진로전념 .836 .714

진로 전념하기 3,4,16,23 .747 .708

진로 전념확신 11,17,18,24,25 .678 .824

진로재고 .819 .751

진로자기의심 5,12,19,26 .751 .729

진로유동성 6,7,13,20,27 .763 .853

<표 Ⅲ-2> 진로정체감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나. 개인특성 변인

사범계 대학생의 개인특성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적지지, 전공 에 대한 직업기대, 진학동기, 희망직업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변인명 문항 수 문항범주

지의 5점 평정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다는 것을 의미 한다.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확인한 결과 예비조사에서 0.973, 본 조사에서 0.959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구분 문항 번호 내적일치도(Cronach’s α)

예비조사(n=40) 본 조사(n=515)

사회적 지지 - .973 .959

정서적 지지 1,6,7,10,16,18,24 .916 .872

정보적 지지 8,14,17,19,22,25 .917 .871

물질적 지지 3,9,13,15,20,23 .864 .835

평가적 지지 2,4,5,11,12,21 .924 .858

<표 Ⅲ-4> 사회적지지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3) 전공에 대한 직업 기대

전공에 대한 직업 기대는 개인이 인식하는 직업위상과 직업의 장래성 측정하기 위함이며, 검사도구로는 Buchanan(1974)의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 도구를 국내에 맞게 번안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김원형(2002)의 연 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문항은 총 4문항이며, 응답 반응 양식은 ‘모두 그렇지 않다(1점)’에서 ‘모두 그렇다(5점)’까지의 5점 평정척도로 구성되어있다.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확인한 결과 예비조사에서 0.749, 본 조사에서 0.792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 문항 번호 내적일치도(Cronach’s α)

예비조사(n=40) 본 조사(n=515)

진공에 대한 직업 기대 1,2,3,4 .749 .792

<표 Ⅲ-5> 전공에 대한 직업 기대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4) 진학동기

진학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사도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패널조사인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대학진학동기 문항을 수 정하여 사용하였다. 기존 문항을 재구조화하여 ① 가르치는 일이 적성에 맞기 때문에, ② 가르치는 일은 가치있다고 생각하므로, ③ 교사라는 직 업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④ 타인(부모님, 선생님 등)의 권유에 의해, ⑤ 부모님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⑥ 성적에 맞춰서 ⑦ 기타의 7가지 보기로 구성하였다.

실제 차이분석에는 내재적 동기(①,②), 외재적 동기(③,④,⑤,⑥), 기 타(⑦)로 코딩하여 사용하였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시에는 내재 적동기는 1, 외재적동기 및 기타를 0으로 더미 변인화하였다.

5) 희망직업

희망직업은 이동엽, 김사훈(2015)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범계 대학생의 향후 희망직업이 교사인지, 비교사인지, 미정인지 여부에 따라 진로정체감의 유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희망직업은 대학 졸업 후 향후 직업으로 교사를 희망하는지 묻기 위하 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개방형으로 묻고 연구자가 응답 값을 확인하여 교사, 비교사, 미정으로 코딩하였다.

다. 전공특성 변인

사범계 대학생의 전공특성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주전공, 복수전공, 전공만족도, 경력개발센터 이용, 교육봉사 경험, 향후 임용고사 응시 예 정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변인명 문항 수 문항범주

전공만족도 13 1-5

경력개발센터 이용 1 1-2

교육봉사 경험 1 1-2

향후 임용고사 응시 예정 1 1-2

<표 Ⅲ-6> 전공특성 변인의 문항 구성

1)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는 Illinois 대학에서 개발된 학과평가 조사지와 Brasksmp.

Wise&Henstler(1979)가 대학생의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학과평가조사지를 활용하였다. 이 검사지를 하혜숙(2000) 이 참고하여 개발한 학과만족도 중 일반만족요인 6개 문항과 인식만족 요인 7개 문항을 택하여 총 13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하혜숙(2000)의 연구에서의 전공만족도 척도의 신뢰도는 일반적 관심 에 대한 만족과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에서 Cronbach’s α = .89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확인한 결과는 예비조사에서 0.849, 본 조사에서 0.912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 문항 번호 내적일치도(Cronach’s α)

예비조사(n=40) 본 조사(n=225)

전공만족도 .849 .912

일반적 관심에 대한 만족 1,2,3,4,5,6 .821 .858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 7,8,9,10,11,12,13 .744 .857

<표 Ⅲ-7> 전공만족도 측정도구의 문항 구성

2) 경력개발센터 이용

경력개발센터 이용은 그 여부에 따라 진로정체감 유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경력개발센터 이용은 재학 중 경력개발센터 이용하였는지를 여부를 묻는 이분형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용한 적 이 있음 1, 이용한 적이 없음은 0으로 더미 변인화하여 사용하였다.

3) 교육봉사 경험

교육봉사의 경험 유무 및 경험의 질에 따라 학생들이 교사라는 진로에 대해서 확신을 갖거나 재고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유기웅, 2011). 따 라서 교육봉사 경험 여부에 따라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유형에 어 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교육봉사 경험은 재학 중 교육봉사 경험 여부를 묻는 이분형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봉사 경험 있음 1, 교육봉사 경험 없음 0으로 더미 변인화하여 사용하였다.

4) 향후 임용고사 응시 예정

김진희(2009)에 따르면 교원임용시험 합격 실태 및 교사 이외의 취업 실태 등을 조사한 결과, 임용을 중도 포기하거나 교직 외로 진로를 희망 하는 학생들이 진로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향후 임용고사 응시 예정 여부에 따라 사범계 대학생 진로정체감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향후 임용고사 응시 예정은 응시 예정 여부를 구분한 이분형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응시한다는 1, 응시하지 않는다는 0으로 더미 변인화하여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