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진로성숙의 개념과 요인

Ⅱ. 이론적 배경

3. 진로성숙의 개념과 요인

진로성숙(career maturity)은 1955년 Super가 직업성숙(vocational maturity)을 소개 한 후 미국에서 광범위하게 진로성숙에 관한 개념을 연구하게 되었고 그 결과 진로성숙이란 직업성숙보다 포괄적인 상위개 념으로 정착되었다.

진로성숙과 유사한 개념으로는 직업성숙, 진로의식성숙 등 ‘성숙’과 관련된 것과 진로발달, 직업발달, 진로의식발달, 직업의식 발달 등 ‘발 달’과 관련된 개념들이 있다.

Zunker(1999)는 진로발달과 직업발달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일의 세계에 관한 믿음, 가치, 기능 과 능력, 성격, 지식 등을 발달시키는 것은 생애를 통한 과정이라는 점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직도 진로성숙에 대한 개념적 정의는 학자마다 약간씩 다 르게 사용되고 있다.

Super는 한 개인이 속해 있는 연령 단계에서 이루어야 할 직업적 발 달과업(vocational tasks)에 대한 준비도로 주장하고 있으며 진로성숙 의 구성요인을 진로확정도, 진로관여도, 진로독립성, 진로선택의 태도, 진로타협도등 다섯 가지 차원으로 개념화하였다.

Gribbons와 Lohnes(1965)는 진로성숙을 진로선택이나 진로계획에서 의 준비도로 생각한다. 그러나 Hoyt(1977)는 직업세계를 잘 이해한 바 탕에서 이를 자신과 잘 통합할 수 있는 준비도로 보고 있다.

김충기(1994)는 진로성숙을 개인적 직업적 소양, 가치, 지식, 기술 등 의 습득을 통해 궁극적으로 직업적성에 부합되는 행동과 판단력을 배 양하면서 직업적 성숙의 결과를 낳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한편 Crities(1971)는 진로유형연구(career pattern study)의 연구진으 로 참여하여 진로성숙의 구성개념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청소년, 즉 탐색기에 해당하는 연령의 진로성숙 개념의 중요성을 검증하거나 구성 요인들을 구분하였다. 그는 진로성숙을 동일한 연령층의 학생들과의 비교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직업준비의 정도로 개념화하고 Super의 진로성숙의 다섯 가지 범주를 수정, 보완하여 16개의 변인을 설정하였 고 [그림Ⅱ-1]과 같은 그림을 제시하고 있다.

진로발달의 정도

며(이해경, 2000, 재인용) Thomas(1974)는 진로를 결정한 학생이 그렇 지 않은 학생보다 좀 더 성숙된 진로관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Gasper와 Omvig(1976)는 진로성숙도가 높은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 가 치관 및 흥미 등과 좀 더 일치하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 견하였다(송재홍, 천성문, 1995, 재인용).

이외에도 자아개념, 지능, 가정환경(김원중, 1984; 김현옥, 1989; 정채 기, 1990)등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이현림, 권소희(2000)는 중ㆍ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 석에서 사회경제적 수준과 일의 내ㆍ외적 가치, 성별, 학년 등의 순으 로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