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 소재 S중학교 2학년 20명이다. 이들을 선 정하기 위해 집단상담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38명을 대상으로 집단상 담의 내용과 방법, 기간 등을 설명한 뒤 연구자와의 면담을 통해 최종 적으로 잔류할 의사가 있는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확정하고 희망여부에 따라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2. 연구설계

본 연구의 설계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상담집단과 적용 하지 않은 비교집단을 비교하여 진로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는 ‘전후 비교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이다.

<표 Ⅲ-1> 연구 설계의 구성

상담집단 비교집단

O1 X O2

O3 O4

O₁, O₃ : 사전 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O₂, O₄ : 사후 검사 (진로성숙도 검사) X :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적용

3. 연구절차

1) 연구의 진행절차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제주도 소재 S중학교 2학년 학생 중에 서 집단상담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38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의 내용 과 방법, 기간 등을 설명한 뒤 연구자와의 면담을 통해 최종적으로 잔 류할 의사가 있는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확정하고 희망여부에 따라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한 뒤 진로성숙도 사전검사 (11월15일)를 통해서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상담집단에게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매주 2회, 60-80분씩 5주 간에 걸쳐 총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11월 23일 - 12월 22일), 비교 집단에게는 이 기간 중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끝낸 후 사전검사에 사용했던 동일한 검사 도구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게 사후검사(12월 29일)를 실시하 였다.

2)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4. 측정도구

측정도구는 Crites(1978)가 제작한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 진로성숙검사)를 사용하였다. CMI는 태도척도와 능력척도의 두 부분 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태도척도만을 김원중(1984)이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재사용 하였다. 이 척도에 사용된 문항들은 실제 생활을 토대로 선정되었는데, 예를 들면 진로상담시 상담자가 진술한 내용, 진로상담사례, 직업정보 등을 근거로 제작된 것이다.

이 검사는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의 연령층에 사용하도 록 제작된 자기보고식(self-report)검사이며 이 척도를 사용한 김원중 (1984)의 연구에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6(n=134)이었고, 강종구 (1986)의 연구에서는 .74(n=79)였다. Crites가 6학년부터 12학년에 해 당하는 학생 1648명에게 이 검사를 실시한 후 1년이 지난 뒤 측정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1이었다.

이 검사지는 총 5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로관여도(9문항), 진 로확정도(10문항), 진로독립도(10문항), 진로성향(11문항), 진로타협도 (10문항)등 5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방식은 총 50개의 문항 중 2, 22, 38, 42, 46, 47의 문항은 “그렇 다”에 1점, “아니다”에 0점이고, 나머지 문항은 “그렇다”에 0점, “아니 다”에 1점으로 채점한다.

채점한 점수가 높을수록 요인별 성숙정도가 높은 것이고 점수가 낮 을수록 성숙정도가 낮은 것이다.

하위요인별 문항구성은 <표Ⅲ-3>과 같다.

<표Ⅲ-3> 진로성숙척도 하위요인과 문항구성

하위요인 측정내용 문항 문항

역순 문항 진로관여도 진로선택 과정에의

능동적 참여

4,6,17,20,21,

23,26,41,50 9 진로확정도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의 정도

1,10,16,19,22,

27,33,36,42,49 10 22, 42 진로독립도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정도

3,5,12,15,25,

28,38,43,45,46 10 38, 46 진로성향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준비의 정도

7,8,9,13,14,24,

29,35,39,44,47 11 47 진로타협도 진로선택 시에 욕구와

현실을 타협하는 정도

2,11,18,30,31,

32,34,37,40,48 10 2

5. 자료처리

자료의 분석은 SPSS/PC+ 전산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결과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자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 시 후 본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P<.01,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였다.

Ⅳ.연구결과 및 해석

이 장에서는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과 사후검사점수로 가설 검증한 결과와 이에 따른 해석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1.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프로그램을 투입 받기 전에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 한 결과는 <표Ⅳ-1>과 같다.

<표Ⅳ-1> 진로성숙도 사전검사 비교

구분 N M SD t

상담집단 10 30.4 1.56

1.03

비교집단 10 28.7 1.24

위의 <표Ⅳ-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에 대한 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한 결과는 <표Ⅳ-2>와 같다.

<표Ⅳ-2>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의 사전검사 비교

<표Ⅳ-2>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의 사전검사 비교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두 집 단은 동질집단으로 간주되었다.

일정기간 동안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진로성 숙도가 어느 정도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집단의 사전-사 후 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표Ⅳ-3>과 같다.

영역 집단 N M SD t

진로관여도 상담집단 10 6.5 1.63

-1.50

비교집단 10 6.6 1.11

진로확정도

상담집단 10 6.0 1.41

비교집단 10 5.2 0.75 1.51

진로독립도 상담집단 10 5.6 1.62

.48

비교집단 10 5.1 2.70

진로성향 상담집단 10 6.5 1.96

.13

비교집단 10 6.4 1.28

진로타협도 상담집단 10 5.8 0.98

.74

비교집단 10 5.4 1.28

<표Ⅳ-3> 상담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p<.05, **p<.01

<표Ⅳ-3>에 의하면 진로관여도(t=2.71, p<.05)와 진로확정도 (t=3.16, p<.01), 진로독립도(t=2.54, p<.05)는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그 점수 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진로성향은 사전점수(M=6.5)가 사후(M=7.0)에 다소 향상되었지만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진로타협도는 사전점수 (M=5.8)보다 사후(M=5.3)에 다소 낮아졌는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는 p<.01 수준에서 아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t=3.33).

영역 구분 N M SD t

진로관여도 사전 10 6.5 1.63

2.71*

사후 10 8.1 .70

진로확정도 사전 10 6.0 1.41

3.16**

사후 10 7.8 .98

진로독립도 사전 10 5.6 1.62

2.54*

사후 10 7.4 1.36

진로성향 사전 10 6.5 1.96

.51

사후 10 7.0 1.92

진로타협도 사전 10 5.8 .98

사후 10 5.3 1.27 -.93

전 체 사전 10 30.4 1.56

3.33**

사후 10 35.6 1.30

다음 <표Ⅳ-4>는 프로그램을 투입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표Ⅳ-4>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영역 구분 N M SD t

진로관여도 사전 10 6.2 1.11

.53

사후 10 6.6 1.99

진로확정도 사전 10 5.2 .75

1.86

사후 10 6.3 1.62

진로독립도 사전 10 5.1 2.70

.20

사후 10 4.9 1.30

진로성향 사전 10 6.4 1.28

.88

사후 10 7.1 2.02

진로타협도 사전 10 5.4 1.28

.48

사후 10 5.1 1.37

전 체 사전 10 28.7 1.24 사후 10 29.6 1.69 1.03

위의 <표Ⅳ-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 는 사전점수(M=28.7)가 사후(M=29.6)보다 다소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 로는 무의미한 것이었고 각 하위요인들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지 못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