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감사인 지정사유에는 제 2 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0-15 가지가 운영되고 있다. 앞서 검토하였듯이 지정사유 중에는 이익조정의 유인이 어느 방향으로 있을지 이론상 명확치 않은 경우도 있다. 특히 소유경영미분리 지정기업의 경우는 정치비용가설에 의하면 이익을 하향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하나, 제 4 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표본기업의 규모가 크지 않고 금융비용 감소동기나 계약상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면 이익을 상향조정할 유인도 예상할 수 있다. 그 밖의 지정사유들은 이익을 상향조정할 유인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나 이익조정방향이 상이한 표본들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결과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물론 앞선 검증에서 지정기업의 이익조정이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그 방향은 상향조정인 것으로 나타났는바 지정기업 중 일부가 이익을 하향조정할 유인을 갖는 기업이 있더라도 이는 지정기업 전체가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결과의 유의성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의 결과가 유의적으로 나왔으므로 이익을 하향조정하는 기업으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지정사유별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지정사유 중 이익조정방향이 명확치 않을 수 있는 사유가 소유경영미분리의 경우이므로 지정사유를 크게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표본기업 중 소유경영미분리로 지정된 기업은 82 개이며, 나머지 사유는 77 개 이었다.

[표 12]의 결과는 소유경영미분리의 경우 [표 9]와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두 그룹 모두 지정기업이 통제기업에 비하여 지정전년도에 재량적 발생액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지정년도를 대상으로 한 [표 13]의 경우 소유경영 미분리 지정기업은 [표 11]과 방향은 동일하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지정사유의 경우에는 t 검증결과 5% 수준에서 유의적이었으며 방향도 [표 11]과 같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의 검증결과가 지정사유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의 지정사유의 경우는 두 기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유경영미분리 지정기업도 지정전년도에는 유의적이었고 지정년도에는 비유의적이나 차이의 방향은 [표 11]과 다르지 않다. 이는 소유경영미분리 지정기업들에게는 이익조정유인과 관련하여 정치적비용가설 보다는 경영자보상 가설이나 금융비용절감유인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시한다.

[표 12]지정사유별 검증 지정전년도

소유경영미분리 기타지정사유

표본기업 통제기업 1 차이 표본기업 통제기업 1 차이

표본수 82 77

DAt-1평균 0.01688 -0.00249 0.01937 0.02477 0.01138 0.01339 DAt-1중위수 -0.00430 -0.01105 0.00988 0.00161 0.01138 0.00567 표준편차 0.09479 0.06092 0.07144 0.08551 0.0581 0.07567

t-검증의 p 값 0.0081*** 0.0624*

Wilcoxon 순위합

검증의 p 값 0.0305** 0.4514

*: 10% 유의수준, **: 5% 유의수준, ***: 1% 유의수준, (t-검증은 단측검증)

DAt-1 : 지정전년도의 재량적 발생액(discretionary accruals)

기 업 특 성

[표 13]지정사유별 검증 지정년도

소유경영미분리 기타지정사유

표본기업 통제기업 2 차이 표본기업 통제기업 2 차이

표본수 82 77

DAt평균 0.01321 0.02580 -0.01259 -0.00913 0.02558 -0.03470 DAt중위수 0.03744 0.02676 -0.00962 0.01466 0.02162 -0.01186 표준편차 0.14483 0.09451 0.16936 0.1719 0.06752 0.18029

t-검증의 p 값 0.2513 0.0477**

Wilcoxon 순위

합검증의 p 값 0.4152 0.1155

**: 5% 유의수준, 단측검증

DAt : 지정년도의 재량적 발생액(discretionary accruals) 기 업

특 성

제 2 절 주식수익률 연관성 모형의 실증분석 결과

주식수익률 연관성분석은 비기대이익 모형을 기본모형으로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결과에 대한 추가 검증을 위하여 비기대이익의 잡음을 제거한 모형, 지정후년도의 이익을 이용한 모형, 기업특성을 추가한 모형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정사유별 분석을 하였고, 비기대이익을 현금흐름과 발생액으로 나누어 각각의 효과를 추가로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