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 포용성 구성요소의 연관관계 분석

3. 소결과 시사점 | 85

지역경제 포용성의 연관관계 및 결정요인 분석

CHAPTER

4

제4장 지역경제 포용성의 연관관계 및 결정요인 분석 ・ 69 CHAPTER 4

지역경제 포용성의 연관관계 및 결정요인 분석

본 장에서는 앞부분에서 측정된 각 개념 간 연관관계 분석을 통해 포용성을 구성하는 각 개념간 의 관계 및 지역경제 성과와 포용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소득 수준, 경제적 성과 등에 따라 지역을 구분하여 위의 연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경제적 특성 하에서 지역의 소득분배구조와 공간적 분리 현상 들이 선명하게 나타나는지 탐색하였다. 또한 이러한 포용성 및 지역경제 성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결정요인에 대한 계량적 검증을 통해 어떠한 지역의 특성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지역 포용성 및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 였다.

1. 지역 포용성 구성요소의 연관관계 분석

앞 장에서 제시된 지역 포용성을 구성하는 각 개념들의 이론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지역 포용성은 경제적 측면에서 크게 1)소득분배, 2)소득수준에 따른 공간분리, 3)경제활동에 대한 참여 및 기회의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 및 분석하였다. 각 구성 요소 간의 이론적 관계 혹은 제안되는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① 소득불평등 심화에 따라, 소득계층간의 공간분리 역시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 지니계수가 증가한 지역들의 경우 공간분리지수 역시 증가

② 소득 수준에 따른 공간분리 현상이 심해지면, 분리되어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저소득층의 경우 경제활동에 대한 참여나 기회가 제한될 가능성이 높고,

70

제4장 지역경제 포용성의 연관관계 및 결정요인 분석 ・ 71

72

제4장 지역경제 포용성의 연관관계 및 결정요인 분석 ・ 73

74

제4장 지역경제 포용성의 연관관계 및 결정요인 분석 ・ 75

76

제4장 지역경제 포용성의 연관관계 및 결정요인 분석 ・ 77

78

(3) 광역시 내 시군구 대상 분석2)

<표 4-12>는 광역시 내 시군구의 포용성 구성요소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나타내 고 있다.

표 4-12 | 광역시 내 시군구 연관관계 분석 결과

관계 상관계수 p-value

소득지니계수변화 &

공간분리지수변화 0.0602 0.304

공간분리지수변화 &

고용률변화 0.0721 0.269

상대적으로 동질적일 것이라고 예상되는 광역시 내 시군구 대상 분석 결과 소득불평 등과 공간분리, 그리고 공간분리와 고용률 변화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 내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공간적 분리 측면에서 대도시의 경우 이미 일정 수준의 분리가 고착화 되었다고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변화를 토대로 도출된 상관 관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