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할과 기능

4.1. 연대적 사회적 자본과 교량적 사회적 자본의 관계

마을 지역사회에서 중층적으로 조직된 사회집단은 구성원 간의 상호 작 용은 물론 사회집단 간에 협동, 경쟁, 갈등이라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서 지역사회를 유지․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마을 내의 사회집단 간 공정한 경쟁과 협동이 조성될 경우 마을 지역사회는 효율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지만 마을 지역사회의 지도력 에 대한 주도권 다툼이나 자원 이용권 등을 놓고 갈등이 조성될 경우 발전 이 저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당한 해소 메커니즘이 발현되면 갈등은 해소되고 더 높은 단계의 협력이나 제도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갈등 해소 메커니즘이 발현되지 못할 경우, 마을 지역사회는 불협화음이 발생하 고 긴장이 조성되어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표 6-41. 사례 조사 마을의 사회집단의 조직 실태 정책 마을(10개) 일반 마을(10개)

합계 합계

영농회 7 7

부녀회 10 9

청년회 6 7

노인회 10 9

대동계 6 7

문중계 3 2

산림계 2 2

친목계 3 0

개발위원회 8 7

농촌관광관련위원회 5 0

작목반 6 3

기타 2 0

계(평균) 68(6.4) 54(5.4)

20개 사례 마을의 경우 정책 마을은 평균 6.8개의 사회집단이, 일반 마 을은 평균 5.4개의 사회집단이 조직되어 있었다.

정책 마을이 일반 마을보다 사회집단 수가 많은 것은 정책 도입 과정에 서 새로운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사회집단이 조직되었기 때문이다.

즉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이 도입될 경우에는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추진 위원회가 구성되고 정보화마을이 지정되면 정보화시범사업 추진위원회가 결성된다. 따라서 정부 정책이 도입되면 일반 마을보다 사회집단 수가 증 가하고 집단 구성원으로 가입하는 수도 많게 된다.

4.1.1. 연대적 사회적 자본과 마을 지역사회 발전

한국의 농촌 지역사회 속에 구성되어 있는 사회집단의 경우 조직의 목 적이 분명하고 활동 지침이 명확한 사회집단은 대부분 조직의 활동이 활발 하다. 사회집단의 조직 목표가 분명하고 활동이 활발한 것은 자생적 사회

집단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4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작목반의 경우 도 조직 목적이 뚜렷하고 조직의 활동이 구성원의 이익 증진에 도움이 된 다고 판단될 경우 작목반 조직원의 활동은 활발하며 그 구성원도 강한 연 대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마을 지역사회에서 활동이 활발한 자생적 사회 집단의 연대적 사회적 자본은 축적도가 높게 나타난다.

충남지역 4개 마을 사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생적 사회집단에서 조 직의 목적을 달성한 사회집단은 더 이상 존속하지 않고 해체된다. 상포계 나 위친계 등이 집단의 목적이 달성될 경우 해체되는 것이 그 예이다.

사회집단이 자동으로 해체되는 경우는 조직의 구성원이 이농하거나 목 적 달성이 어렵다고 판단될 때에도 나타난다. 친목계 등이 운영되다가 조 직원이 대거 이탈할 경우 해체되는 것이 상례다. 작목반도 구성원들의 경 제적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운영되다가 경제적으로 효율을 증진시 킬 명분이 약화되거나 그러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해체된다.

그러나 정부 지침에 의해서 조직된 사회집단은 비단 조직의 목표가 불분 명하고 활동이 저조해도 해체되지 않고 명목상 조직으로 남게 된다. 새마을 영농회와 새마을부녀회가 그 대표적인 예다. 이 두 조직은 1977년 국무총리 령에 의해서 마을 내 여러 사회집단을 통합하여 새롭게 조직한 집단이다.

새마을영농회는 마을의 전체 농가 경영주가 구성원이다. 새마을영농회 는 농가 경영주가 필요해서 조직한 집단이 아니기 때문에 조직의 목적이 구성원에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조직의 활동 내용도 정부가 정해준 준칙을 따르기 때문에 매우 포괄적이어서 대다수 영농회는 명목상 조직으 로 남아 있다.48 새마을부녀회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정한 준칙을 그대로 적용하는 새마을부녀회에서 마을의 26세 이상 모든 여자를 구성원으로 한다. 그러나 구성원의 이질성과 포괄적인 조직의 목적 및 활동으로 새마 을부녀회는 조직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대부분은 명목상 조직으로 전락하 게 되었다.

48 모든 마을의 새마을영농회가 명목상의 조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 장이나 마을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새마을영농회도 있다.

마을 지역사회에서 연대적 사회적 자본이 왕성한 사회집단은 상사계나 친목계, 수리계 등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목적 달 성을 위하여 조직의 목적에 찬동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원 간에 강력한 연대를 형성해 왔다. 그러나 마을 단위에서 운영되던 수리계가 지 방자치단체에 등록된 단체로 되면서 수리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던 연대적 사회적 자본은 쇠퇴하였다. 상사계와 친목계에 형성되었던 연대적 사회적 자본도 구성원의 이농으로 크게 위축되었다.

최근 정부의 지침에 의해 조직된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추진위원회는 기존의 비자생적 조직의 문제가 보완되었다는 점에서 발전적이다. 녹색농 촌체험마을 사업추진위원회는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에 가입한 사람을 중 심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원의 조직과 가입 목적이 뚜렷하고 활동도 구 체적이다. 따라서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이 잘 되는 마을은 이 조직이 매우 활발하게 운영된다. 정부의 지침으로 조직되는 비자생적 사회집단이 마을 전체 가구원을, 혹은 가구주를 조직 구성원으로 할 경우 조직의 목적에 찬 동하지 않는 사람이나 관심이 적은 사람이 포함될 수 있어 조직 활동에 부 정적일 수 있다. 이 경우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는 낮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마을 발전에 유용한 연대적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집단의 조직 목적이 뚜렷하고 활동이 구체적이어서 사회집단 구성원 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명분이 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지침이나 정책 도입으로 새로 조직되는 사회집단은 더욱 명확한 목적을 지닐 수 있어야 하고, 그 활동도 구체적이어야 하며 사회집단의 조직 목적에 찬동하는 사람만으로 구성되도록 해야 한다. 정부 지침에 의해 마을 전체 구성원이 참여하도록 규정할 경우 사회집단의 연대 적 사회적 자본의 형성은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정부가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는 경우에도 사업 추진을 위해 항상 새로운 조직을 만들 것이 아니라 기존의 조직을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 다. 따라서 이미 마을 내에 조직되어 있는 리동개발위원회, 새마을영농회, 새마을부녀회 등을 활용하여 정책사업을 도입할 경우 기존 조직을 활성화 시키면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약 새로운 조직이 필요한

경우에도 항상 중앙 정부의 지침에 의해서 새롭게 만들 것이 아니라 마을 주민이 협의하여 필요한 조직을 만들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는 것이 바람 직하다.

마을 지역사회에서 연대적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주민 간에 공통적인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활동이 필요하고 이에 찬동하는 사람들 이 사회집단을 구성하여 활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마을 주민이 전통 적으로 수행해 오던 동제, 축제, 기타 농경문화적인 행사나 놀이 등의 전통 문화 활동을 복원하거나 진작이 필요하며 공동의 경제․사회적 활동을 촉 진할 수 있는 사회집단을 구성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4.1.2. 교량적 사회적 자본과 마을 지역사회 발전과의 관계

가. 사회집단의 협동, 경쟁, 갈등 관계

마을 지역사회에서 교량적 사회적 자본은 사회집단 간의 느슨한 연대 (weak ties)를 이루면서 집단을 연결(bridging)해 주는 역할을 한다. 마을 지역사회 속에 조직된 사회집단에서 교량적 사회적 자본이 결핍된다면 마 을 내 사회집단은 상호 갈등 구조 속에서 지역사회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마을 지역사회의 사회집단은 마을 개발을 위한 지도력 주도권을 둘러싸 고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지역사회는 전통적으로 이장을 대표로 하여 마 을 개발을 전담하는 개발위원회가 조직되어 있다. 정부가 새로운 정책을 시행하면서 정책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새로운 사회집단을 조 직할 때, 마을 개발을 둘러싸고 개발위원장과 새로 구성되는 조직의 구성 원과 대표 간에 갈등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마을 사회집단 간의 갈등은 마을의 공동자산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노정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을 저수지를 용수원으로 하는 수리계와 저수지를 이용하여 관광사업을 하려는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추진위원회 간에 마을

의 공동자원인 저수지 경관과 물 이용권을 둘러싸고 갈등이 노정될 수 있 다. 마을 내 공동자원인 산림, 토지, 하천, 수목, 경관 등의 이용을 둘러싼 사회집단 간의 갈등은 여러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

지역사회 안에서 사회집단 간 상충되는 목적과 이익을 조화롭게 아우르 는 것이 교량적 사회적 자본의 역할이다. 이러한 교량적 사회적 자본의 형 성은 마을의 리더십과 조직원 간의 신뢰, 협동 등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마을 지역사회에 강력하고 신뢰받는 리더십이 형성되고 주민 간의 신뢰와

지역사회 안에서 사회집단 간 상충되는 목적과 이익을 조화롭게 아우르 는 것이 교량적 사회적 자본의 역할이다. 이러한 교량적 사회적 자본의 형 성은 마을의 리더십과 조직원 간의 신뢰, 협동 등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마을 지역사회에 강력하고 신뢰받는 리더십이 형성되고 주민 간의 신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