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1. 문헌 조사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하여 검토하고 사회적 자본 의 개념을 재정립하였으며,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분석 방법론을 검토하였 다. 사회적 자본에 관한 국내 연구가 일천하고 이 연구가 추구하는 농촌 지역사회에 관한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분석 방 법론에 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미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5.2. 사례 조사

○ 마을 지역사회 집단의 사회조직과 운영 메커니즘 파악 및 사회적 자본 의 존재 양태 파악

- 대전광역시 및 충남 논산시, 부여군, 금산군 등 4개 마을에 대한 사례 조사

○ 마을 내 사회집단의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의 설정 및 유의성 검증 - 충남 논산시와 부여군의 7개 작목반에 대한 사례 조사

○ 마을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측정과 사회적 자본의 특성 조사 - 10개의 정부 정책 도입 마을과 정책 비도입 마을 간의 사회적 자본 특

성 비교

- 농촌 지역사회 발전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분석

5.3. 설문 조사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통신원 518명을 통한 농촌 마을 지역사회의 사회 적 자본 조사

○ 20개 사례 조사 마을에 대한 사회적 자본 조사

○ 농촌 지역사회 발전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분석

5.5. 상관관계 분석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과 농촌지역의 발전 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을 수 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의 특성별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고 이 연 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이 농촌 지역사회의 발전과의 관련성을 검 증하였다.

1. 선행 연구 검토

전통적으로 노동력과 토지 그리고 물적 자본(physical capital)은 경제성 장을 주도하는 3대 생산요소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슐츠(Schultz 1963) 등에 의해 인적 자본(human capital)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생산에 절대적 인 요소로 인식되어 왔던 물적 자본의 생산력은 교육받고 훈련된 인적 자 본의 지원 여하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믿게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일련의 학자들은4 물적 자본과 인적 자본이 동일 한 조건하에 있더라도 사회적 여건이 상이하면 경제적 성과가 다르게 나타 는 현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들은 경제적 자본과 인적 자본이 동일 한 조건에서 경제적 성과가 다르게 나타날 때 작용하는 사회적 요소들을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으로 개념화하고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자본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사회과학에서 사회적 자본이라는 용어가 오늘날 사회적 자본과 같은 뜻 의 개념으로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이후의 일이다. 부르디외 (Bourdieu 1986)는 자본의 형태(The Forms of Capital)라는 논문에서 사회 적 자본을 “상호 면식(mutual acquaintance)이나 인식(recognition)을 바탕

4 이들은 주로 신경제사회학(New-Economic Sociology) 분야의 학자들이다. 최근 에는 제도경제학 분야의 학자들이 포함된다.

사회적 자본의 개념 2

으로 제도화된 관계나 네트워크에 의해서 소유되거나 또는 어느 특정 집단 의 구성원이 되어 집단적으로 소유하게 된 실제적 혹은 잠재적인 자원의 총합”이라고 정의한다.

부르디외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사용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 간 불평등이 지속되고 있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다. 즉, 그의 해석에 의하면 자본주의 사회의 부르주아 계급은 경제적 자본의 축적뿐만 아니라 교육을 통해 문화와 교양, 지식이라는 형태로 개인에게 체화된 문화적 자본, 사회 적 연결망으로 제도화된 사회적 자본 등을 통하여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 하고 이를 세습한다는 것이다. 부르디외는 상류사회의 모임이란 결국 연결 망을 통해 그 구성원이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이익을 얻어 내고 그 집단 의 이윤을 보호하기 위해 조직된 집단으로 본다.

한 집단에서 새로운 구성원은 그 집단의 구성원이 됨으로써 집단이 소 유한 계급적 지위나 권리를 공동으로 향유하게 되고 집단의 규범과 가치를 존중하는 구성원으로서 이와 같은 연결망을 통해 형성된 자본을 향유하게 된다. 따라서 제도화된 관계, 즉 집단은 구성원에게 집합적으로 소유된 자 본을 제공하게 되고 그 구성원은 가족, 정당, 학교, 부족 등으로 칭하는 명 칭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제도화되고 보증된다. 즉, 결혼으로 세도가의 새로운 가족 구성원이 된 여자는 그 가문이 소유한 계급적 지위 와 가문의 세도와 경제적⋅사회적 자본을 공동으로 향유하게 되며 그 가문 의 명칭을 사용하는 일원으로 행세하게 된다.

부르디외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의 재생산은 끊임없이 확인하고 재확인 함으로써 얻어지는 일련의 지속적인 교환 행위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의 미에서 부르디외는 특정한 행위자가 누릴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의 양은 자 신이 효과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연결망의 크기와 그 연결망에 포함된 여 러 사람들의 경제적(economic), 문화적(cultural), 상징적(symbolic) 자본의 크기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콜만(Coleman 1988; 1990)은 사회적 자본이 두 가지 공통적 요소를 가 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하나는 사회적 자본이 사회구조 속에 존재한다 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 자본이 그 사회구조 속에서 행위자가 특정

한 행위를 하도록 유도하고 촉진하는 힘이라는 점이다. 콜만은 사회적 자 본이 생산적이고 목적 달성을 가능하게 해 주는 기능이 있다고 본다.

그는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연결망을 특히 강조한다. 그 하나는 폐쇄 형 사회 연결망(closure of social network)이고 다른 하나는 개방형 사회 연결망 구조다.5 폐쇄형 연결망에 속한 행위자는 <그림 2-1>의 (a)에서 보 는 바와 같이 모두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폐쇄형 연결망 구조 속 에서는 구성원들 상호 간에는 의무 이행과 감시가 가능해져 구성원 사이에 는 강한 신뢰가 형성된다.

개방형 사회 연결망에 속한 사회 구성원들은 서로 알고 지내는 사이가 아니다. <그림 2-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A는 B와 C를 알고 그들에 대해 영향력을 미칠 수 있지만 B와 C는 서로 잘 알지 못하는 사이이기 때 문에 서로 영향력을 주고받을 수 없으며 B와 C는 각각 D와 E에 대해 영 향력을 미칠 수 있지만 D와 E는 역시 서로 알지 못하는 사이로서 각각 영 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개방형 사회 연결망과 같은 사회구조 속에서 는 상호 감시나 기대감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 구축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사회 연결망은 행위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연결망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폐쇄형 사회 연결망은 유태인 공동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유태인 의 공동체인 다이아몬드 시장에서 유대인 상호 간에 형성된 신뢰가 다이아 몬드의 시장 거래를 용이하게 해 줌으로써 경제적 번영을 이루게 한다고 보고 이를 유대인 사회에 축적된 사회적 자본의 한 유형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예루살렘의 마을에서는 마을 주변의 어른들이 아이들을 보살펴 주기 때문에 부모들의 보살핌 없이도 어린 학생들이 안심하고 학교에 등교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이를 예루살렘 공동체 속에 축적된 사회적 자본의 하나라 고 주장한다.

5 여기서 “개방형 연결망 구조”는 콜만의 without closure of social network를 필 자가 의역해 사용하는 용어다.

그는 동아시아의 사회에서 흔히 조직되어 운영되는 계도 이와 같은 유 형에 속하는 하나의 사회적 자본이라고 본다. 작은 지역사회 내에서 연결 망을 구성하고 있는 집단의 구성원들은 서로 잘 알고 신뢰하는 사이이기 때문에 곗돈을 떼일 염려를 하지 않게 되고 이와 같은 신뢰를 바탕으로 계 가 조직⋅운영되기 때문이다.

그는 한국의 학생운동을 분석하면서 같은 고등학교, 같은 고향, 같은 교 회 출신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관계 혹은 연고성이 학생운동을 위한 비밀 학습조직의 한 단위가 되며, 그 학습조직 자체가 구성원이 행동해야 할 규 범을 제공하는 사회적 자본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콜만의 이와 같은 분석은 <그림 2-1>의 (b)에 나타나는 개방형 사회 연결망 구조와 일 치하는 모습이다.

그는 미국 학생 4,000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분석한 한 조사에서 가족 내에 존재하는 사회적 자본, 즉 자녀 교육에 대한 부 모의 관심과 기대, 가족 내의 자녀 수 등 가족 환경은 학생들의 학업 성 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즉, 자녀 의 대학 진학에 대한 부모의 기대와 관심이 클수록 자녀들의 학업 중도 포기율이 낮고, 가족 내의 자녀 수가 많을수록 가족 내의 환경이 열악하 여 학업 포기율이 높다는 것이다. 그는 부모의 인적 자본이 아무리 높을 지라도 자녀 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기대가 부족하다면 부모의 인 적 자본은 자녀들의 인적 자본 형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보 았다.

그림 2-1. 콜만의 폐쇄적 사회구조와 개방형 사회구조 A A

B C B C D E (a)폐쇄형 연결망 (b) 개방형 연결망 자료: Coleman, 1988.

그는 사회구조의 하나인 자원조직(voluntary organization)들도 그 구성 원들의 특정한 목적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유용한 사회적 자본으 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 예로 그는 제2차대전 당시 미국 동 부 지역에 있던 주택건설운동(Housing Project)이 잘못된 배관이나 부실 건 축과 같은 문제들에 대해서 건축업자에게 항의하고 문제를 알림으로써 주

그는 사회구조의 하나인 자원조직(voluntary organization)들도 그 구성 원들의 특정한 목적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유용한 사회적 자본으 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 예로 그는 제2차대전 당시 미국 동 부 지역에 있던 주택건설운동(Housing Project)이 잘못된 배관이나 부실 건 축과 같은 문제들에 대해서 건축업자에게 항의하고 문제를 알림으로써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