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소기업 역량분석 및 비즈니스 모델 진단 연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2)

2.1 선행연구 고찰

2.1.2 중소기업 역량분석 및 비즈니스 모델 진단 연구

중소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는 비즈니스 모델 진단을 통한 혁신 성장을 추진할 수 있는 개선방안 또는 전략을 제시한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 였다. 특히, 비즈니스 모델을 진단하고 현황을 분석하여 신사업 진출, 글로벌 시장점유, 지속성장 등 비즈니스 전략을 도출하는 연구에 대해 검토하였고, 선 행연구들은 해당기업의 혁신역량을 진단·분석하여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4) 양석균, 「중소기업의 역량모델 개발 실증연구  :  H기업을 중심으로」, 『기업경영리뷰』, 1권, 1호, (2010), pp.179~200.

있는 전략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업측면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세부적 혁신전략 제시는 부재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선행연구들은 비즈니스 모델 개선을 위한 전략도출이 아닌 비즈니스 모델을 개선하기 위한 역량 진단 방법에 집중되어 있었다.

2.1.2.1 중소 무역업체의 지속성장을 위한 혁신역량 진단모델 연구5)

본 선행연구에서는 중소 무역업체의 지속 성장을 위한 혁신역량 도출과 진단 모델 개발 두 가지에 목표를 두었다. 먼저 필수 되는 혁신역량 도출을 위해 문 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중소 무역업체의 지속성장에 필수 되는 역량 은 글로벌 리더십 역량, 시장진출 전략 역량, 무역 마케팅 역량, 무역 인적자원 관리 역량, 국내외 네트워크 역량, 외부 자원 활용 역량, 외부 환경 변화 대응 역량 등 총 7가지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로 도출된 혁신역량을 기반으로 진단 모델을 개발하였다. 진단 모델은 임직원 스스로 혁신역량을 진단하고 역량 수 준을 파악 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진단모델을 연구 대상에 적합한 A社의 사례적용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는 혁신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활용법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되며 필요한 역량 겸비 수준을 간단한 체크를 통 해 파악할 수 있다.

2.1.2.2 수출주도형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혁신역량 진단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6) 수출주도형 중소기업의 수출 및 글로벌화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역량요인을 파악하고 진단모델 개발을 통해 혁신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업구조관점 이론, 자원기반관점 이론, 가치전유관점 이론을 기반으로 수출주도형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혁신역량을 각각 가치탐색(value observation), 가치창출(value creation), 가치전유(value appropriation)의 관점을

5) 정은총, 「중소 무역업체의 지속성장을 위한 혁신역량 진단모델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2015)

6) 이준호, 「수출주도형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한 혁신역량 진단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 사학위논문, 2014)

가지고 설계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성공요인과 측정지표를 토대로, 사 례조사를 실시하여 고성과 기업군과 저성과 기업군의 가장 현저하게 차이가 나 는 지표(salient factor) 9가지를 도출하였다. 사례조사 표본은 ‘한국형 히든 챔 피언 육성대상기업의 104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수출주도형 중소기업의 9개 지표를 변수로 활용하여  글로벌 진출을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 보하기 위한 진단모델을 개발하였다.

2.1.2.3 Market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capabilities in SMEs7) 본 선행연구는 본 연구는 대기업 중심의 시장-학습-혁신성의 관계 및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터기 중견기업 운영관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157개)으 로 중소기업의 혁신성은 회사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업의 전략방 향이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 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시장지향적 전략은 기업의 학습방향과 목적에 영향을 미 치며, 확고한 학습지향은 기업 시장지향성과 기업혁신성의 관계를 중재하여 기 업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2.1.2.4 기술혁신성공요인, 혁신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8)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술혁신 핵심성공요인에 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술혁신프로세스모델 제시와 함께 기술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서 기업들이 기술혁신 실행요인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고려한 보다 효율적 기술혁신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특히, 정부지원제도 활용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기업의 기술혁신성과 개선방안을 모색 하였다. 본 선행연구는 기술혁신성공요인 및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 확인하기 위해 기술혁신의 개념을 고찰하고 기술혁신성공요인을 기

7) Keskin,H.(2006),「Market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capabilities in SMEs: An extended model」,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vol.9, no.4, pp.396~417.

8) 손현철, 「기술혁신성공요인, 혁신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 : 정부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 로」, (충북대 박사학위논문, 2013)

술혁신성공요인을 최고경영자의지원과 혁신인프라, 혁신인프라를 기업문화와 외부네트워크로 구분하였다. 또한 기업 혁신역량을 기업의 혁신역량으로는 연 구개발역량, 전략계획역량, 기술사업화역량으로 세분화하여 국내 제조기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설검증을 추진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