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동・아프리카

문서에서 2015 10/9 (페이지 62-66)

▣ 쿠웨이트 KPI, 유럽 및 아시아 시장에서 정유 및 소매부분에 투자 진출 확대

¡ 쿠웨이트 석유공사(Kuwait Petroleum Corporation, KPC)에서 해외 정유 및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는 KPI(Kuwait Petroleum International)의 Khalid al-Mushaileh 부사장은 앞으로 KPI가 유 럽 및 아시아 시장의 정유 및 소매부분에 집중하고, 자사가 지분을 보유한 전 세계 정유시설에 원유 공급량을 늘리겠다고 지난 9월 Platts 정유 컨퍼런스에서 밝힘.

‒ KPI는 2020년까지 자국産 원유 80만b/d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으나, 현재 협의가 진행 중인 해 외 프로젝트가 모두 성사되면 목표보다 높은 90만b/d를 공급할 수 있음.

‒ KPI는 유럽에서 저장 터미널, 윤활유 혼합 공장(lubricant blending plant), 항공 연료유 제조 시설 등을 집중적으로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힘.

‒ 또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아시아 시장을 자국産 원유의 주요 수출 시장으로 보고 있음.

베트남에서 정제공장 건설 컨소시엄에 참가하고, 인도네시아, 중국 등의 정제 프로젝트에 대해 협의하고 있음.

・ KPI는 2017년 운영을 목표로 하는 Vietnam의 Nhgi Son 정제공장의 공동 운영사이며 앞으 로 원유 20만b/d를 공급할 예정임. 상기 베트남 정제공장은 쿠웨이트산 30.2°API(중질원유, Light crude oil)만을 처리할 예정임.

Nhgi Son 정제공장 건설 컨소시엄의 지분은 KPI와 Idemitsu Kosan이 각각 35.1%, Petro Vietnam이 25.1%, Mitsui Chemical가 4.7%를 소유하고 있음.

・ 최근 인도네시아 국영 Pertamina와 석유 및 가스 합작 개발(상·하류부분)을 위해 MOU를 체 결하였음. 현재 인도네시아는 자국의 정제시설 업그레이드와 총 80만b/d를 처리할 수 있는 신규 정제공장 건설을 위해 투자자를 물색하고 있음.

・ 또한, 중국에서 30만b/d 규모의 정제공장 및 석유화학 플랜트와 주유소를 공동 건설하기 위 해 중국 국영 Sinopec과 MOU를 체결하고 중국 정부와 협의 중임. 그러나 현재 KPI의 지분 을 50%에서 30%로 줄이기 위해 다른 투자자를 물색하고 있음.

¡ 한편, KPI의 Khalid al-Mushaileh 부사장은 유럽시장에서 정유와 소매 부분에 균형있게 투자 하기 위해 네델란드의 Rotterdam 정유공장을 매각할 계획이라고 밝힘.

‒ KPI는 KPC 소유의 Rotterdam 정유공장(처리 용량은 88만b/d)을 운영해 왔으며, 스위스의 Gunvor社가 Rotterdam을 인수할 것으로 알려짐.

‒ KPI는 Rotterdam 정유공장 매각 이후에 북유럽 지역 및 베네룩스 3국에서의 활동을 더욱 확 대할 것이라고 발표함.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37호 2015.10.9 61

구분 현재 계획

쿠웨이트 (KNPC*)

Mina al-Ahmadi 466 347

Mina 'Abd Allah 270 454

Shuaiba 200

Al-Zour - 615

소계 936 1,416

해외 (KPI)

Rotterdam(Netherlands, 100%) 88 Milazzo(Italy, 50%) 248 248 Nghi Son(Vietnam, 35.1%)** - 200

Indonesia(MOU 체결) - 160

China(MOU 체결) - 300

소계 336 908

*Kuwait National Petroleum Company

**2017년 가동 자료 : MEES

< 쿠웨이트 국내·외 정제 용량 >

(단위: 1,000b/d)

(Reuters, 2015.9.18; MEES, 2015.10.2)

▣ UAE, ’17년 원유 생산 목표 무난히 달성할 전망

¡ UAE의 Suhail al-Mazrouei 에너지 장관은 UAE는 지속되는 저유가 상황에도 원유 및 가스 개 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2017년 생산 목표를 무난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다고 지난 10월 4일 발표함.

‒ 현재 UAE의 산유량은 300만b/d이나, 2017년 말 또는 2018년 초까지 50만b/d를 추가해 350 만b/d로 증산하려는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Mazrouei 장관은 덧붙임.

‒ UAE는 자국 산유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육상 광구에서 생산물 분배 계약(Production Sharing Agreements, PSA)을 맺기 위해 IOCs와 협의를 진행해 왔음.

・ 이번에 계약을 맺는 기업은 1,000억 배럴 이상의 원유가 매장된 지역에서 향후 40년간 개 발 활동을 할 수 있음.

・ 지금까지 토탈(10%), 일본의 Inpex(5%), 한국석유공사와 GS Energy의 합작기업(3%) 등 3개 의 신규 파트너가 확정되었음.

‒ ADCO(Abu Dhabi Company for Onshore Oil Operations)의 지분 22%를 소유하고 양허계약 을 체결할 기업을 여전히 물색 중임.

¡ 또한, Mazrouei 장관은 현재 UAE는 천연가스 수입과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에너지원 을 개발하고 LNG 수입 터미널 건설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힘.

‒ 현재 전력생산을 천연가스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UAE 정부는 2021년까지 350억 달러를

6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37호 2015.10.9

투자해 전원믹스에서 천연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을 70%로 줄일 계획임.

‒ Emirates LNG는 연간 1,500만 톤을 수입할 수 있는 LNG 터미널을 Fujairah에 건설할 계획임.

Emirates LNG는 Abu Dhabi 국영 Mubadala Petroleum과 International Petroleu Investment Co.의 합작회사임.

・ 상기 터미널이 완공되면 이미 건설된 Dubai의 Jebel Ali 터미널과 함께 LNG 수입 용량을 년간 1,800만 톤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전망임.

(Platts, 2015.10.5)

▣ 남아프리카공화국, 가스 화력발전소 건설 추진

¡ 남아프리카공화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는 신규 가스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 한 참가의뢰서(Request for qualification)를 연내에 발표하고,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를 2016년 2사분기에 발표할 예정임.

‒ 당초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19~2025년 가동을 목표로 3.13GW 규모의 가스 화력발전소를 건 설할 계획이었으나, Tina Joemat-Pettersson 에너지부 장관은 설비용량이 상향 조정될 수 있다 고 South Africa Gas Options Conference에서 발표함.

・ Joemat-Pettersson 장관은 기저부하 전력을 충당하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가스 화 력발전소를 증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임.

‒ 지금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석탄 화력 발전소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으나, 에너지 수요 증가 에 따라 원자력, 가스, 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원으로 눈을 돌리고 있음.

남아프리카공화국 DOE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전원믹스는 석탄 화력 90%, 원자력 5%, 수력 및 양수발전이 5%임.

・ 그러나 Joemat-Pettersson 장관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1조 달러를 조달할 수 없다 고 밝힌 바 있으며, 현재 원자력 발전소 건설 비용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어 가스 화력 발 전소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질 전망임.

‒ 현재까지 정확한 가스 수입처와 수입량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으나, 물류 및 파이프라인 운 영사 Transnet이 선택한 항구 3개(Richards Bay, Saldanha Bay, Coega) 모두 LNG 수입에 적 합한 것으로 알려짐.

¡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는 향후 30년 동안 가스 산업 개발과 가스 공급 계획을 제시하는 GUMP(South Africa’s Gas Utilisation Master Plan)를 올 상반기에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지금 까지 지연되고 있음.

‒ Joemat-Pettersson 장관은 현재 GUMP는 최종 승인만을 남겨둔 마지막 단계에 있으나 가스 개 발 계획이 불충분하여 발표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힘.

・ 2013년 제출되었으나 내각의 승인을 받지 못한 IRP 2010-30(Integrated Resource Plan 2010-30)의 2013년 개정안도 자국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충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해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37호 2015.10.9 63 내각의 승인을 받지 못한 바 있다고 덧붙임.

IRP 2010-30은 2011년 3월 최초로 공표되어, 2년마다 개정하도록 정해진 규정에 따라 DOE 가 2013년 개정안을 제출하였으나 내각의 승인을 받지 못하였음.

‒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는 지금까지 장기 에너지 전략과 가스 화력발전소의 비중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 DOE는 2030년까지 총 9.6GW의 전력을 추가 조달하기 위한 계획을 2015 회계연도(2015년 4 월 1일~2016년 3월 31일) 내에 확정하기를 원하고 있음.

(Natural Gas Daily, 2015.9.29; 2015.10.1; Reuters, 2015.10.4)

6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37호 2015.10.9

문서에서 2015 10/9 (페이지 62-6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