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인의 세계관

국제정치학자들은 주로 국가가 처한 주변 환경의 특징으로부 터 국가의 행동을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지만5) 중국을 설명하려 는 경우, 특히 중국과 미국의 관계를 설명하려는 경우, 중국인 의 고유한 국제관계에 대한 사상과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대단 히 중요하다. 중국인들의 국제정치 사상 및 세계관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중국이라는 나라가 수천 년 동안 서양 국가들과는 독립된 상태에서 고유한 국제정치체제를 형성해 왔고, 그 독특 한 국제제체의 종주국 노릇을 해 왔다는 사실에서 비롯되는 것 이다.

즉 중국인이 생각하는 좋은 세상과 서양인들이 생각하는 좋 은 세상은 개념적으로 차이가 대단히 큰 것이다. 중국 사람들이 인간 세상에서 혹은 국가들이 모인 국제사회에서 평화와 질서 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생각하는 것들은 서양 사람들이 생각하 는 것들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이 많다는 말이다.

서양 사람들은 인간관계, 사회관계에서 평등과 독립이 보장되 는 경우라야 질서와 평화가 보장되는 것으로 생각했다. 아버지와 아들, 남편과 아내, 남과 여, 친구들 사이에서 인격이 존중되고,

5) 국제정치학자들은 국가의 내부적 속성보다는 국가들이 처한 환경, 즉 국제 정치의 구조로부터 각 국가들의 외교정책을 설명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특 히 Kenneth N. Waltz를 필두로 하는 구조적 현실주의(Structural Realism) 라는 국제정치의 패러다임격인 분석 방식은 국가의 개별적 차이보다는 국 가가 처한 환경의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대등한 관계가 (형식적일지라도) 전제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 평화 와 안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서양인들의 전통적 관점이었다.6)

그러나 중국의 인간관, 사회관은 그렇지 않았다. 각 인간의 인격이 무시되면 안 될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인간은 사회 속에서 자신에 맞는 합당한 지위라는 것이 있었다. 아버지 와 아들, 아내와 남편, 왕과 신하, 나이 많은 사람과 나이 적은 사람, 남자와 여자 사이에는 엄연한 구분이 있었다. 상하 위계 질서(hierarchic order)가 있었고 각 개인들은 사회 속에서 자신에 게 주어진 임무, 자신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충실히 담당할 때 인간 사회에는 평화와 질서가 가능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서양 이 인간관계의 수평적 면을 강조했다면 중국은 인간관계의 수 직적인 면을 강조했다.

물론 중국의 전통사상이 남편이 아내를 마음대로 학대하고 왕이 신하를 마음대로 다루고, 형이 동생을 제멋대로 다루는 그 런 위계질서를 찬양한 것은 아니다. 문자 그대로 아버지와 아들 은 친근함이 있어야 했고(父子有親), 왕과 신하 사이에는 의가 있 어야 했고(君臣有義), 친구들 사이에는 신뢰가 있어야 했다(朋友有 ).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통 사회의 인간관계에는 위계질 서라는 것이 분명하게 확립되어 있었다. 우선 어른과 어린이 사 이에는 순서라는 것이 존재(長幼有序)했고 남편과 아내는 달라야 했던(夫婦有別) 것이다.

6) 그리스 철학은 국가들이 평등주의 철학에 의해 연계될 때 평화가 가능하다 고 보았다. F. Parkinson, The Philosoph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Study in the History of Thought (Beverely Hills: Sage Publications, Inc., 1979), p. 11.

우리는 이 같은 중국사회의 전통적인 인간관, 사회관이 유교 사상으로부터 나온 것임을 잘 알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 춘추시대(春秋時代) 말엽, 중국사회가 전국시대로 빠

져 들어갈 무렵의 혼탁한 시대를 살았던, 중국인 뿐 아니라 세 계인의 성현(聖賢)으로 추앙받는 공자(孔子)는 사회질서를 확립하 기 위한 방편으로 인간관계의 위계적 질서를 논했던 것이다. 공 자의 가르침은 그들의 제자에 의해 널리 전파되었고 후세 중국 의 지도자들에 의해서 국가통치의 기본 이데올로기로 받아지게 되었다.

이처럼 중국인의 사회철학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은 유교사상 은 한나라(, BC 202AD 220)시대 중국이 동아시아에서의 패권 국 지위를 확립할 무렵 중국의 ‘국제정치 사상’으로 확대 적용되 기 시작한다. 유교사상은 단순히 국내정치 및 국내사회의 인간 관계를 규율하는 사상이 아니라, 온 세계 사람들의 삶을 규정하 는 사상으로 더 나아가 국가와 국가들의 관계에도 적용되기 시 작한 국제정치 사상으로 널리 적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고대 중 국의 국제정치 관점을 연구한 전문가들은 중국의 독특한 세계 관을 중국의 세계질서(Chinese World Order)7) 천하질서(天下秩序) 등의 용어로 표현하며 이 같은 중국인의 국제정치 질서가 서양 인들이 생각하는 세계 혹은 국제질서와 상당히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구명해냈다.

본 필자는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에 제출한 박사학위 논문에

7) John King Fairbank (ed), The Chinese World Order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서 중국인의 독특한 국제정치 질서에 대한 관점을 ‘Confucian International Order(유교적 국제질서)’라는 용어로 표현한 바 있었 다.8) 필자는 상기 주제의 연구를 통해 중국인이 생각하는 전쟁 과 평화의 원인과 조건은 확실히 서양 사람들의 생각과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중국의 세계관, 중국 사람들의 국제정치 인식은 서양 사람들의 그것과 어떤 측면에서 어떻게 차이가 난다는 것일까?

중국인의 평화와 전쟁에 대한 관점9)

중국인의 전쟁과 평화에 대한 관점은 서양과는 다르다. 미국 이 서양철학사 전통의 맥을 잇는 나라는 아니지만 미국인의 국 제정치적 관점은 서양인의 전통사상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다. 반면 중국은 동양철학사의 축을 이루는 나라이며 중국이 규정 한 국제질서는 아시아 국제정치를 2000년 이상 지배했던 규칙 이었다. 이 같은 점에서 우리는 비록 21세기 현대에 살고 있다 하더라도 오늘날 중국의 국제행동 중에는 과거의 전통 사상으 로부터 도출되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특이한 행동’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하지 않을 수 없다. 즉 21세기인 오늘 중국인들이 인식하고 행동하는 모습은 과거 전통시대 중

8) Choon Kun Lee, “War in the Confucian International Order”,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h.D dissertation, 1988. 필자는 본 논문의 한글 제목을 “중국적 국제질서 하에서의 전쟁에 관한 연구”라고 번역한다.

9) 이 부분의 논의는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 중 일부(pp.22-82, 제2장)에 기초 해서 작성했다.

국의 세계관을 반영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가 과 거 중국의 세계관을 이해해야만 하는 이유다.

중국 문명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명은 전쟁을 연구한 대부분 의 학자들로부터 세계 여러 문명 중에서 가장 평화스러운 문명 이며 그 결과 가장 오랜 기간 동안 단절 없이 문명이 지속되었 다는 찬사를 받고 있다.10)

그러나 중국의 역사 및 아시아 제국의 국제정치사를 살펴보 면 동양에도 엄청난 규모의 전쟁이 비일비재했다는 사실을 쉽 게 발견할 수 있다. 중국의 역사에는 전쟁을 묘사하는 다양한 용어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중국 고대역사의 한 부분은 아예 전 국시대(戰國時代: BC403221)라고 불릴 정도로 전쟁이 끊임없이 지속되었던 시대도 있었다.11) 당시 중국에 존재했던 모든 국가 들은 전쟁으로 날을 지새우고 있었다는 의미다. 전국시대의 경 우 전쟁은 당시 존재하던 모든 국가의 일상이었다.

전쟁의 결과를 묘사하는 멸(), 취(), 항(), 천() 등 4가지 용어가 춘추좌전(春秋左傳)에서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멸()이란

10) Arnold Toynbee, Study of History IV., pp.465ff.; Quincy Wright, A Study of Wa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5), pp.130-131.; Lewis F. Richardson, Statistics of Deadly Quarrels (Chicago: Quadrangle Books, 1960), pp.239-240.; James F. Dunnigan and William Martel, How to Stop a War (New York: Doubleday, 1987), p. 268. 상기 저서 모두는 중국 및 동양의 국제정치는 타 지역에 비해 전쟁의 빈도 및 전쟁의 가혹성 등이 모두 낮은, 지구의 여러 문명 중 가장 평화 애호적인 문명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11) 이 시기를 표현하는 영어는 문자 그대로 Warring States Period 이다. 즉 전쟁하는 국가들의 시대라고 번역될 수 있겠다.

상대방 국가를 아예 없애 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취()란 상대국 을 점령해서 흡수 통합해 버린다는 것, 항()이란 항복을 받는 것, 천()이란 상대국의 국왕 및 수도를 다른 곳으로 쫓아 버리 는 것을 의미한다.12) 전쟁의 결과를 표현하는 중국의 용어들이 서양보다 더욱 다양하며, 동양 전쟁은 잔인함의 측면에서 서양 전쟁보다 전혀 덜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전쟁을 묘사하는 다양한 용어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 에서 강대국을 상징하는 단어들도 많았다. 그 중에 만승국(萬乘 )이라는 것이 있었다. 즉 전차(戰車)가 10,000대나 있는 나라라 는 의미이다. 중국인들이 과장법을 즐겨 사용하지만 실제 고대 중국의 강대국들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대규모 군사력을 보 유하고 있었던 것이 사실(史實)로 밝혀지고 있다. 예로서 수나라 가 고구려를 공격할 때 동원한 병력은 113만 3,800명이라고 정 확히 기술되고 있을 정도다.

고대 중국 전차의 경우 전차 한 대마다 장갑으로 무장한 10 명의 장교와 20명의 보병이 할당되었으며13) 춘추시대의 주() 나라는 전차 2,000대를 장비한 군단을 여섯 개나 보유하고 있었 다고 한다. 당시의 대국들은 이러한 규모의 군단을 보통 3개 정 도 가지고 있었고 약소국 및 중간급 국가들조차 12개의 전차 군단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니 당시 강대국은 적어도 200만의

12) Richard L. Walker, The Multi State System in Ancient China (Hamden:

Shoestring Press, 1953).

13) 申台泳 (編), 「中國의 戰爭」 (서울: 도남서사, 1985), p.58. 전차 1대당 30명의 보병이 할당되었다고 주장하는 자료도 있다.

군사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말이 될 것이다.14) 바로 이같이 전쟁 은 동양의 문명에서도 일상적인 일이었으며 그 결과 동양의 중 요한 정치사상의 대부분은 전쟁과 평화의 문제를 주요한 주제 로 다루고 있다.

중국의 고대 역사가 전쟁으로 점철되었다는 사실은 역설적으 로 중국의 고대 정치사상의 대부분을 평화애호의 사상으로 만 드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한대(漢代) 이후 정치사상은 전쟁 그 자체를 혐오하는 염전/평화사상으로 특징지어졌다. 20세기 초반 마오쩌둥(毛澤東)이 중국의 권력을 장악할 무렵 이전까지 지속된 중국의 대표적 사상은 ‘전쟁을 비하하고, 평화를 몹시 강조한 유 교 사상’이었다. 중국적 유교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삼강오륜( 綱五倫)의 도덕률을 달성하는 방법으로써 중국인들은 교육을 제 일 강조했고, 그 다음이 소위 엿과 채찍의 포상과 처벌이었으며 마지막 방법이 무력에 의한 것이었다.

중국 사람들은 최고의 지위에 자리한 사람이(예로서 天子) 폭력

14) 혹자는 이러한 숫자가 너무 과장된 것이 아닌가 생각하는데 필자는 이 숫 자는 거의 정확한 숫자라고 생각한다. 서양의 경험에 의하면 대국들은 보 통 인구의 3% 정도에 해당하는 군사력을 보유하였는데 중국은 오래 전부 터 징집에 의한 농민출신 군대를 유지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의 인 구에 비례해서 생각할 경우 이 정도의 군사력은 용이하게 갖출 수 있었으 리라고 사료된다. 수(隋)나라가 서기 611년 2월 고구려를 정벌하기 위해 동원한 병력은 전투병의 숫자만도 113만 3,800명이었고 전투병 이외의 부 수적인 병사들을 포함하면 200만이 넘는 대병력이었다. 중국은 이미 한 (漢)나라 당시 (BC 206 ∼ AD 220) 인구가 5000만 명을 돌파했었다. 중 국의 인구는 그 후 완만히 증가하여 12세기가 되어서야 1억에 도달하였 다. 고대 중국의 인구통계자료는 Colin McEvedy and Richard Jones, Atlas of World Population History (New York: Penguin Books, 1978), pp.166∼174를 참조.

적 방법에 호소한다면 그것은 바로 자신의 덕목에 의한 통치가 실패한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며, 전쟁에 호소한다는 것은 정책의 파산이라고 생각하였다.15) 이 같은 평화 사상은 중국인 들로 하여금 싸운다는 사실에 명예와 영광을 돌리지 않도록 했 으며 그 결과 중국의 아동들에게는 그들이 흉내낼 수 있는 알렉 산더, 시저(Caesar), 나폴레옹 등이 주어지지 않았다.

삼국지에 그려지는 최고 영웅이요 장수인 관우(關羽)가 무신으 로 추앙받고 있기는 하나 관우보다 한격 높게 추앙되는 사람은 군인이 아닌 민간인 지략가 제갈공명(諸葛孔明)이었다. 순수 무장 (武將)이라고 보기 힘든 제갈공명을 더욱 존경받는 영웅으로 묘 사하는16) 중국인의 관념 속에는 성스러운 전쟁 즉, 성전(聖戰, Holy War)의 논리도, 정의로운 전쟁의 논리도(正義 戰爭論: Just War Theory) 존재하지 않았다.17)

이처럼 중국인의 대표적인 전쟁 철학은 평화애호사상으로 특 징지어지는데 이는 이미 강조한 바처럼 중국이 실질적으로 평

15) John K. Fairbank, “Introduction: Varieties of Chinese Military Experience,” in Frank A. Kierman and John K. Fairbank (eds), Chinese Ways in Warfar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Massachusetts, 1974), pp. 6∼7.

16) 최근 중국이 제작한 영화 「적벽대전」이 그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17) Fairbank, Ibid., p. 7. 그러나 물론 중국인들이 정의로운 전쟁과 정의롭지 못한 전쟁의 구분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고대 중국의 전략가들은 전쟁의 동기(motive)에 따라 정의로운 전쟁과 그렇지 못한 전 쟁을 구분하였는데 폭력과 무질서를 제압하기 위한 전쟁은 정의로운 전쟁 이고 그 이외의 모든 전쟁은 정의롭지 못한 전쟁으로 간주되었다. 이 문 제에 관해서는 Chen-Ya Tien, Chinese Military Theory: Ancient and Modern (Oakville: Mosaic Press, 1991). Capter 2. “Survey of Ancient Chinese Military Theories,” pp. 2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