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품목별 시장 변화와 전망

1. 시장 환경

1.4. 주요 품목별 시장 변화와 전망

전국적으로 한육우 사육두수는 2001년 이후 연평균 9.3% 이상 증가세를 유지해 오고 있다. 2009년 사육두수는 264만 마리로 2008년 보다 20만 두 증가하였다(8.4% 증가). 2010년에는 280만 마리로 전년 대비 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 1월에서 11월까지 도축두수는 74만 5,000두로 2008년 대비 7.8% 증가하였다. 그 가운데 암소 도축이 27만 두로 2008년 대비 15.8% 증가했다. 한육우 총도축량 증가율보다 높다. 품질 면에서 한 우 1등급 비율은 56.2%(전년 대비 2.2%상승)이고, 암소 1등급 비율은 56.5%(전년대비 0.3%상승)로 꾸준하게 품질이 향상되고 있다.

수입산, 이월을 포함하여 수급동향을 보면 2009년 총공급량은 46만 4,000톤이고 총소비량은 41만 톤을 기록하였다. 1인당 연간 소비량은 8.0kg이고 자급율은 50.1%이다. 총소비량과 1인당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 하여 2020년에는 64만 톤과 13.0kg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한우 수소(600kg) 산지가격은 443만원으로 전년대비 14.0% 상승 하였고 2010년에는 520만 원대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후에는 등락 을 거듭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하락하여 2020년에는 463만 원대를 유지 할 것으로 보인다.

년도 생산 수입 소비 차년이월 1인소비량 자급율

2008년 174 224 365 73 7.5 47.6

2009년 195 198 410 77 8.0 50.1

자료: 허덕 등(2010)

표 4-2. 쇠고기 수급 현황

단위: 천 톤, kg, %

구 분 2009 추정치 2010 2015 2020

전년이월 73 77 58 55

당년공급 393 413 547 639

차기이월 77 61 57 54

총소비 389 429 548 640

1인당소비(kg) 8.0 8.8 11.1 13.0

한우수소 600kg 산지가격 443 520 471 463

자료: 허덕 등(2010)

표 4-3. 쇠고기 수급 전망

단위: 천 톤, 만 원

1.4.2. 사과

사과 재배면적은 2003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9년에는 재배면적 30,451ha(전년대비 2% 증가), 성목면적 19,179ha(전년대비 4% 증가)를 기 록하였다. 생산량은 1995년 72만 톤을 정점으로 2004년 36만 톤까지 감소 하였다가 현재는 49만 톤까지 증가하였다. 품종별 재배면적 비중은 후지 (69%), 홍로(8%), 기타(15%) 순서이다. 쓰가루와 홍월 등의 재배면적은 감 소하고 있다.

사과 1인당 소비량은 2006년 8.3kg에서 2008년에는 9.6kg으로 증가하였 다. 품질 향상과 소비자 가격 하락 등의 요인으로 사과 소비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가격이 높아진다면 감귤, 단감, 배, 바나나 순서로 소비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가공용 사과 수요는 연간 3만 톤 수준으 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감소하였던 신선사과 수출도 2008년부터 증가하 기 시작하여 2009년에는 전년보다 32% 증가한 6,200톤 수준인 것으로 추 정된다.

구 분 2009 2010 2011 2012

재배면적 30.5 60.7 60.5 29.5

성목면적 19.2 19.7 20.6 19.7

생산량 494 489 520 508

수입량 - - 1.4 3.9

1인당소비량 10.0 9.9 10.4 10.2

자료: 천인석 등(2010).

표 4-4. 사과 수급 전망

단위: 1,000ha, 천 톤, kg

최근 3개년(2006~2008년) 상품 가격은 과거 3개년(2003~2005년)에 비 해 후지가 14%, 홍로가 9% 하락하였다. 상품 대비 특, 중, 하품가격 차이 가 작아졌다. 이는 생산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한 반면 생산기술 향상으로 중·하품의 품질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2009년 사과 생산량은 예년에 비해 서리 및 병해충 피해가 적고 태풍 등 기상재해도 없어 전년보다 5% 많은 49만 4,000톤을 기록하였다. 2010년에 는 49만 9,000톤을 예상하고 있다. 2010년 사과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1%

증가한 30,740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 쓰가루는 5%, 홍월은 15% 감소하지만 후지, 홍로, 기타 품종은 각각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2011년부터 한·미 FTA, 한·EU FTA가 발효되는 것을 가정하여 중장기 전망을 해보면 재배면적은 2012년까지 연평균 0.6%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 하여 2020년은 29,500ha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성목면적은 2015년 20,600ha 까지 증가한 이후 감소하여 2020년은 19,700ha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은 2015년 52만 톤까지 증가한 후 성목면적 감소로 2020년에 50만 8,000톤으 로 감소할 것이다.

1.4.3. 토마토

재배면적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는 연평균 14%씩 증가하였으나 2008년에는 전년도의 가격 하락으로 인한 작목전환과 2기작 면적 감소로 2007년보다 16% 감소한 6,144ha를 기록하였다. 2009년에는 다소 증가하여 전년 대비 1% 증가한 6,188ha를 기록하였다. 꾸준한 기술 향상으로 토마토 단수는 2003년 이후 연평균 6%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9년은 작황 호조 로 전년보다 2% 증가한 10a당 6,765kg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생산량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8%씩 증가하였으나 2008년에는 재배면 적이 줄어든 이유로 감소하였다. 2009년에는 기상이 양호했기 때문에 단수 가 전년보다 높아 생산량은 3% 증가한 42만 톤으로 추정된다.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일반 토마토 수요가 증가하며 실질 도매가격이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상승하였으나, 공급량 증가로 2004년 이후 연평균 5% 하락하고 있다. 하지만 2009년은 도매시장 반입량 감소 등 의 요인으로 전년보다 12% 높은 1,682원/kg을 기록하였다. 방울토마토의 실질도매가격은 2003년까지 상승하였지만, 2004년 이후 연평균 4% 하락 하였다. 2009년 실질도매가격은 전년보다 8% 높은 2,238원/kg이다. 토마토 의 실질소비자가격은 2003년까지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 상승하였으나 2005∼2007년 사이에는 공급이 수요보다 커지면서 하락하였다. 2008년 이 후 재배면적의 감소로 공급이 줄어 실질가격은 다소 상승하였다.

구 분 2009(추정치) 2010 2015 2020

재배면적 6,188 6,206 6,454 6,734

총공급량 483 487 520 551

국내생산량 419 421 445 472

수입량 64 65 75 79

1인당소비량 9.2 9.5 10.3 10.8

자료: 정은미 등(2010).

표 4-5. 토마토 수급 전망

단위: ha, 천 톤, kg

토마토 농가의 주요 유통경로를 조사한 결과 계통출하 비중이 90%이며 직거래의 비중이 전체 농가 중 9%를 차지하였다. 토마토는 소비자들에게 웰빙식품으로 인식되어 소비량이 증가한 품목 중의 하나로서 1인당 소비 량은 2001년부터 연평균 17% 증가하여 2006년은 11.3kg이었으나 그 후 다 소 감소하여 2009년은 9.2kg 정도이다.

토마토 재배면적은 수요의 증가와 지자체 시설지원 등의 요인으로 꾸준 히 증가하여 2015년 6,454ha, 2020년 6,734ha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 량은 시설보급 및 재배기술 발달로 단수가 증가하여 2010년은 42만 톤, 2015년은 45만 톤, 2020년은 47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1인당 소비 량은 연평균 1%씩 증가하여 2010년 9.5kg, 2015년 10.3kg, 2020년 10.8kg 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4.4. 고추

전국 고추 재배 면적은 9만 1,000ha로 1996년에 최대 재배 면적을 기록 한 이후 노동력 부족과 수입량 증가로 연평균 5% 정도씩 감소하여 2008년 4만 9,000 ha, 2009년 4만 5,000ha를 기록했다. 신품종 개발과 재배기술 발 달 등으로 고추 10a당 수확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근 250kg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2009년 10a당 수확량은 초기 생육 부진이 있었으나 끝물 작황 호조로 2008년보다 4% 증가한 262kg 수준이었다. 고추 생산량 은 1999년 최대 생산량인 21만 5,000톤을 기록한 이후 재배 면적 감소로 연평균 6%의 감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2009년 생산량은 단수가 증가하였 지만 재배 면적이 감소하여 2008년보다 5% 감소한 11만 7,000톤이었다.

1인당 고추 소비량은 1990년대 중반까지 상승하여 1997년 5.2kg에 도달 한 이후 생산량 감소와 서구식 식단의 확산으로 하락 추세에 있다. 2009년 에는 3.9kg(회계기준 4.0kg)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비자의 건고추 시기별 구매 동향을 보면 김장철 수요와 수확 후 가정에서 소비되는 고추 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가을(10∼12월)에 전체 구매량의 73%가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건고추 선호도를 알아보면 ‘양건’ 49%, ‘화건’

24%, ‘반양건 혹는 반화건’ 17.6%, ‘기타’ 9.1% 순으로 나타났다.

화건과 양건(태양초)의 도매가격은 2~3년을 주기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 으며 양건 가격이 화건 가격보다 평균 25% 높은 수준이었다. 2009년 수확 기(8~11월) 도매가격은 화건이 5,780원, 양건이 6,720원으로 2008년보다 각각 5%, 12% 높은 수준이었다. 고추 수확기(8~11월)와 단경기(5~7월)의 가격 편차는 2001년 이후 감소하여 최근에는 거의 편차가 없어 졌다. 이는 단경기에 수입이 증가하여 연중 공급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2010년산 재배 면적은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2009년보다 2%

감소한 4만 4,000ha 수준이 될 것이고, 생산량은 1% 가량 감소한 11만 7,000톤으로 전망된다. 반면에 2010년산 수입량은 2009년산보다 2% 증가 한 84,000톤으로 전망된다. 2010년산 건고추 수확기 가격은 생산량의 감소 에도 불구하고 수입량 증가로 2009년보다도 낮을 전망이지만, 소비 부진이 회복된다면 가격 하락폭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구 분 2009 2010 2015 2020

재배면적 44,817 43,999 41,018 37,439

총공급량 189 190 192 191

국내생산량 117 117 114 109

순수입량 71 73 77 80

수입 82 84 89 94

수출 11 11 12 14

1인당소비량 3.9 3.9 3.9 3.8

주: 총공급량은 국내생산과 순수입량을 합친 것임 자료: 김재환 등(2010).

표 4-6. 고추 수급 전망

단위: ha, 천 톤, kg

중장기적으로 총 공급량은 국내 생산량이 감소하지만 수입량이 증가하 여 2010년 190,000 톤에서 2020년 191,000 톤으로 거의 변화가 없을 전망 이다. 고추 1인당 소비량은 공급량 감소와 식생활 패턴 변화로 2010년

3.9kg에서 2020년 3.8kg로 다소 감소할 것이다. 고추 생산량은 2020년에 109.000 톤으로 2010년보다 7% 감소가 예상되며 재배 면적은 2010년 44,000ha에서 2020년 37,439ha로 감소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