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거점형 네트워크 개발모형

2) 주변지역 전체

고속철도 역세권을 포함하여 주변지역 전체의 효과적 개발을 위해 다음의 전략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첫째, 주변지역 개발에 있어서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추진하여야 하 는 과제를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구체화하여야 한다. 정차도시의 중심성 제고 및 활성화, 정차역과 주변지역의 산업, 관광자원 및 국가균형방전정책 간 연 계 강화, 정차역과 주변지역 간 접근성 개선 등 주변지역 개발을 위해 필요 한 공통적인 계획과제에 대하여 지역특성을 반영한 구체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특성을 반영한 개발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정차역별로 지역부 존자원 및 입지여건을 최대한 반영하여 지역 특수한 계획과제를 도출하고, 개발비전을 제시하여 이에 따른 부문별 개발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핵심 발전잠재력 특화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주변지역의 발 전잠재력 중 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하여 개발잠재력이 높아진 산업, 관광, R&D, 농업 등에서 핵심 발전잠재력을 선정하여 특화 개발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간 연계발전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핵심 발전잠재력을 중심으 로 역세권, 정차도시 및 주변 시․군이 기능적으로, 공간적으로 상호밀접하게 연계되어 상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도로 한다.

넷째, 역세권 개발비전의 실현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고속철도 주변지역 개발의 거점으로서 역세권의 기능을 지역여건과 향후 비전을 감안하여 설정 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개발전략을 토지이용 고도화, 역세권 내 및 역세 권으로 접근성 개선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국가균형발전정책과 시너지효과가 창출되어야 한다. 정차역과 행정

고속철도 주변지역의 효과적 개발방안에 관한 국제세미나

104

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지역발전특구, 신활력사업 등 국가균형발 전을 위한 국책사업 대상지와 물리적 및 기능적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정차도시의 도시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역세권이 기존 도심 및 부심과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도시공간구조가 개편 되어야 하며, 역세권과 연계 개발할 수 있는 정차도시의 지식기반산업 및 전략산업 등 발 전잠재력의 도출 및 이의 적극적 개발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대구경북연구원ㆍ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05, 「경부고속철도 개통의 효과 분석」.

박양호, 2004,“고속철도 개통과 국토구조 변화전망 및 과제”, 「도시문제 제426 호」, pp.12-20,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삼성경제연구원, 2004, 「고속철도 개통의 영향과 시사점」, 이슈페이퍼.

이성우, 2004,“고속철도 시대의 지역개발 방향”, 「국토 제268호」, pp.18-31, 국토연구원.

이진선ㆍ김경태, 2005,“고속철도 개통후 지역간 교통체계의 변화”, 「대한교통학 회지 제23권」, pp. 75-82, 한국철도학회.

이창무 외, 2004,“고속철도 도입효과 극대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통연계 방안”,

「도시정보」 vol. 269, pp. 3-18,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이춘군ㆍ곽종무, 2005, 「KTX 개통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대구경북연구원 이현주, 2004,“국토 공간조직에 미친 고속철도망 건설의 영향 : 프랑스 TGV 교

통망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0권」, pp. 252-266.

정준호 외, 2005, 「고속철도시대의 균형발전정책 방향」, 산업연구원.

조남건 외. 2005. 「고속철도와 국토공간구조의 변화(I)」. 국토연구원.

조남건 외. 2005.“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빨대효과 분석 : 쇼핑통행을 중심으 로”. 「국토연구 제47권」. pp.107-123.

한국철도학회ㆍ한국철도공사, 2006, 「KTX개통 2주년 특별 세미나: KTX개통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정책과제」.

Pol, Peter, 2003, “The Economic Impact of the high-speed Train on Urban Regions”, presented at the 43rd congress of the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M E M O

M E M O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