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직정치 지각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4)

후 여러 연구자들은 실증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모델을 검증하였다(Cropanzano, Kacmar, & Bozeman, 1995; Ferris &Kacmar, 1992; Ferris et al., 1996;

Kacmar, Bozeman, Carlson, & Anthony, 1999; Treadway, Hocjwarter, Kacmar,

& Ferris, 2005; Valle & Perrewe, 2000).

[그림 2-3] 조직정치 지각의 이론 모델

복잡하고 다면적 현상인 조직정치에서 기인한 조직정치 지각은 다차원 개념이 다. 조직정치 지각의 하위차원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Ferris & Kacmar(1992) 는 조직정치 행위를 누가하는지 주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사의 행위’, ‘동료와 파 벌의 행위’, ‘조직정책·관행’의 세 하위차원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차원별로 독립 변수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의 하위차원 에 대한 논의는 Kacmar & Ferris(1991)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아래의 3가지 하 위차원을 제시하였다.

일반정치행위 (General political

behavior)

조직 내에서 자기이익 극대화 행위가 이루어 지는 정도

갈등회피분위기

(Go along to get ahead) 자기이익을 위한 행동을 자제하는 정도 승진보상정책

(Pay and promotion policies)

승진 및 보상 결정의 정치적 경향

각 하위차원의 구체적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일반정치행위(General political behavior)는 특정 조직 내에서 자기이익 극대화 행위가 이루어지는 정 도에 대한 인식으로 정의된다(Kacmar & Carlson, 1997). 가치 있는 자원의 희 소성은 경쟁을 촉발시키고(Kumar & Ghadially, 1989), 이에 대해 통제권을 가 진 이들은 정치적 행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모든 조직이 적어도 한 부분 이상 에서는 제한적 자원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거의 어느 조직에서나 정치적 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Kacmar & Carlson, 1997).

희소자원의 성격은 정치적 행위의 대상과 경쟁의 정도 등 정치적 행위의 성격 을 결정하게 된다(Kacmar & Carlson, 1997). 또 불확실성이 높고 규정이 준수 되지 않는 조직상황에서 정치적 행위가 높아지면 의사결정이 정치적 영향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런 경우 자신의 규칙을 시행할 수 있거나 불확실한 상황 을 다루는데 능숙한 이들의 의도가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 갈등회피분위기(Going along to get ahead)는 특정 조직 내 구성원들이 자기이익을 위해 행동을 삼가는 경향에 대한 인식을 의미한다(Kacmar &

Carlson, 1997). 조직정치는 갈등을 기반으로 존재하는 것이며, 구성원은 정치적 행위를 통해 자신의 이해를 추구함으로써 갈등관계에 있는 타인의 이해에 잠재 적 위협이 될 수 있다(Kacmar & Carlson, 1997).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이들은 갈등을 피하기 위해 타인의 영향력 전술에 대항하지 않는 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분란을 일으키지 않는 개인은 다른 정치적 행위자들에게 위협적이지 않은 존 재로 인식되며, 단지 다른 정치적 행위자들에 대한 방해를 하지 않는다는 것만으로 조직에서 환영받고 가치 있는 보상을 받을 수 있다(Kacmar & Carlson, 1997).

‘비행동’ 자체가 정치적 환경에서 일하는 개인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적 절한 행위양식이 되는 것이다. 정치적 행위와 비정치적 행위의 구별이 ‘의도’

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신의 이해를 증진시키려는 특정 한 목적을 위해 행위를 의도적으로 행사하지 않는 경우, 이런 비정치적 행위는 정확히는 정치적 행위의 한 형태가 된다(Kacmar & Carlson, 1997).

마지막으로, 승진보상정책(Pay and promotion policies)은 특정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승진 및 보상 결정이 정치적으로 이루어지는 정도에 대한 인식을 의 미한다(Kacmar & Carlson, 1997). 이 차원은 조직이 정책실행을 통해 어떻게 정치적 행위를 보상하고 영속화 시키는가 하는 문제에 관련된다(Ferris et al., 1989; Kacmar & Carlson, 1997). 조직의 승진보상정책은 최초 의사결정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인력시스템이 발전되고 실행되는 과정 속에서 조직정치에 참여 한 사람에 대해 보상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을 처벌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 다(Kacmar & Carlson, 1997).

개인적 이해를 위한 행위가 보상되는 환경에서는 이러한 보상을 좇는 정치적 전술들이 반복적으로 행사되게 되고, 이전에 정치적 행위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정치적 행위에 참여한 다른 이들에 비해 불공평한 보상을 받았다고 인식하는 사 람들로 하여금 정치적 행위에 추가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서 조직 내 정 치적 행위를 강화 및 영속화시키게 된다(Ferris et al., 1989; Kacmar &

Carlson, 1997).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