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직정치 지각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7-83)

이다.

가설 4-1.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 지각은 구성원의 직업소명의식 에 부정적 영향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2. 임금/승진 관련 조직정치 지각은 구성원의 직업소명의식에 부정적 영향력을 미칠 것이다.

5. 서번트 리더십과 직업소명의식: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조직정치의 특성은 첫째, 비정치적 행동은 조직에 의해서 구체화된 직무행위이 며 둘째, 계층적 시스템에서 비정치적 부문으로 보고 정치적 행동은 공식적 권위 와 과시용으로서 관료적 이론에 의하여 인식된 정치적 활동이 포함된다. 이 부분 은 조직의 관점에서 역기능이다. 셋째, 잠재적 행동은 조직의 합법적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한 정치적 행동이 포함된다. 리더십 이론에 가장 가까이 접근된다. 넷 째, 완전한 정치적 행동은 조직의 규정과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정치적 행동은 허용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조직정치 지각은 직무환경의 스트레스 원천이 된다. 직무환경이 본질적으로 정 치적이라고 생각하는 구성원들은 부정적인 인지 형성,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Ferris et al., 1996). 스트레스를 연구한 학자들은 스트레스를 환경의 특성 이 아닌 개인적으로 경험한 현상이라고 본다(Jackson & Schuler, 1986). 즉, 사 람들은 현실 그 자체가 아니라 현실에 대한 지각을 근거로 반응하므로, 개인적으 로 지각한 조직 내 정치현상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atteson & Ivancevich(1987)는 스트레스가 환경과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며, 어떤 환경이나 상황이 개인에게 부여하는 과도한 심리적, 물리적 요구에 대해 개 인차와 심리적 과정을 통해서 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 로 Ferris et al.,(1989)은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 는 효과를 조직이탈과 직무불안의 증가,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의 감소가 나타난다 고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조직정치 지각은 여러 관련 변수들에 직접적 영향력도 나타나지만 조 절변수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 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직정치 지각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주장의 근거는 조직 내 높은 정치적 환경에서 높은 통제 (control)와 높은 사회적 지원(support)이 조직구성원들의 업무관련 긴장 (anxiety)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Dawson, O’Brien &

Beehr, 2016).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은 자신의 일이 목적이 되고, 목적에 대한 주관적 믿음이 단단하게 뿌리내린 상태이다. 목적에 대한 주관적 믿음이라는 뿌리가 단단히 내

려지면, 개인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행동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다(윤정 구, 2017). 하지만, 조직정치 지각으로 구성원이 속해있는 조직 환경이 스트레스 원이 될 경우, 서번트 리더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받아 구성원이 자신의 일을 목 적으로 삼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행동을 하기 이전에 목적에 대한 믿음이 굳건 히 뿌리내리지 못한 채 개인과 환경 사이의 부조화를 먼저 경험하고, 심리적 역 기능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조직정치 지각은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주요한 근 거가 된다.

또한 개인특성발현 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내재적 가치 등의 특성은 외부환경 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강화되거나 또는 축소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때 외부환 경의 경우 조직정치가 될 수 있으므로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나타나는 직업소명 의식은 조직정치 지각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논 의를 바탕으로 구성원의 조직정치 지각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업소명의식 사이의 영향력을 조절할 것이라는 연구가설 5를 설정하였다.

가설 5. 조직정치 지각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업소명의식의 관계를 조절 할 것

이다. 즉, 조직정치 지각이 높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 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감소할 것이다.

가설 5-1.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 지각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업 소명의식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다. 즉,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 지각이 높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 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감소할 것이다.

가설 5-2. 임금/승진 관련 조직정치 지각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업소명의식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다. 즉, 임금/승진 관련 조직정치 지각이 높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감소할 것이다.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1. 서번트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은 Greenleaf(1970)가 제시한 “리더로서의 서번트”에서 처음 시작됐으며 정의와 구성개념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Greenleaf(1970)는 섬김 받기를 원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라 기록하면서 서번 트 리더는 섬김을 우선시 하는 사람이며, 서번트 리더십은 타인을 위한 봉사에 초점을 두며, 종업원, 고객 및 커뮤니티를 우선으로 여기고 그들의 욕구를 만족시 키기 위해 헌신하는 리더십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서번트 리더십의 일반적인 측정은 7개의 차원(부하와의 관계형성, 권한위양, 부하의 성장과 성공지원, 윤리적 행동, 개념적 기술보유, 부하를 우선시 함)으로 정의된 문헌을 기초로 개발된 문항을 사용한다. 최근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다양 한 분야에서의 논의가 확장됨에 Liden et al.,(2008)은 28개의 측정문항을, Sendjaya, Sarros, & Santora(2008)은 35문항을 통해 서번트 리더십의 속성을 측정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hrhart(2004)의 14항목으로 구성된 서번트 리더십의 측정도 구 사용하였다. 설문을 위해 각 문항을 국내 정서에 맞도록 번역을 하여 사용하 였으며, 번역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한 후 최종 설문 문항을 확정하였 다. 측정은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대표적인 설문항목의 예로는 ‘나의 상사는 부하 직원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시간을 할애한다.’, ‘나의 상 사는 부하 직원들 간의 공동체 의식을 갖게 만든다.’, ‘나의 상사는 의사결정시 부하직원의 의견을 고려한다.’등이 있다.

2. 직업소명의식

소명의식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부름을 받은 상태’를 말하는데 윤정구 (2017)는 개인은 자신이 세상에 살아감으로써 세상이 얼마나 행복해지고, 아름 다워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신성한 이유’라고 하면서 목적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소명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직업소명의식은 자아실현 뿐 아니라 타인과 조직(가족, 회사, 사회, 국가 등)의 유익에 기여할 목적으로 열정 과 헌신적 태도로 직무를 감당하며 천직의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일과 삶에 긍정 적인 의미와 가치를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직업소명의식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Dik, et al.,(2008)의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가 일반적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무와 관련 하여 자신이 일을 하는 목적에 대한 직업소명의식을 느끼는 구성원들의 특징을 측정할 수 있는 윤정구(2017)의 7가지 문항을 통해 구성원들의 직업소명의식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설문항목의 예로 는 ‘나는 내가 하고 있는 일은 소명을 받은 일이라고 믿고 있다.’, ‘나는 지금 하 고 있는 일이 생계 이상의 목적에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하고 있는 일은 내 삶의 의미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등이 있다.

3. 직무열의

직무열의는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정신적인 회복력과 높은 수준의 에너지 창 출, 자신의 직무에 많은 노력을 집중하는 것, 그리고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굴하 지 않고 인내하는 것으로 그러한 상황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것의 활력(Vigor), 직무에 대한 높은 관여도를 보이는 정서적 상태로 열망, 열정, 자부심, 의미성 그리고 도전의 감정을 갖고 직무를 수행해 나가는 자세를 의미하는 헌신 (Dedication), 한 사람이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인 지하지 못할 정도로 업무에 완전히 집중되어 있어, 자신 스스로를 업무로부터 분 리시키기 어려운 상태의 몰두(Absorption)의 세 가지 하위 개념으로 정의된다 (Schaufeli & Bakker, 2004).

본 연구에서 직무열의의 측정은 Schaufeli et al.(2003)이 제시한 17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설문을 위해 각 문항을 국내 정서에 맞도록 번역을 하여 사용하였으 며, 번역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한 후 최종 설문 문항을 확정하였다.

직무열의의 하위요소인 활력과 몰두 6문항, 헌신이 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측 정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설문항목의 예로는 ‘나는 일할 때 강하고 활력이 넘친다.’, ‘내가 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이다.’, ‘나

는 일을 할 때 주변 모든 것들을 잊어버릴 정도로 집중한다.’ 등이 있다.

4. 조직정치 지각

조직정치 지각은 다른 사람들의 정치, 경쟁대상들에 대한 억압, 그리고 조직 정책의 조작 등과 같은 정치적 활동에 대한 개인의 인식(Kacmar et al., 1999) 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정치 지각 측정을 위해 Kacmar &

Ferris(1991)의 연구와 Kacmar & Carlson(1997)이 개발한 15개 문항 중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측정하였는데 일반적 정치행위를 제외한 조직정치 지각의 하위요인인 이익을 얻기 위해 가만히 있는 것 7문항, 임금 및 승진 정책과 관련 한 조직정치 지각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위해 각 문항을 국내 정서에 맞도록 번역을 하여 사용하였으며, 번역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한 후 최종 설문문항을 확정하였다. 측정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설문항목의 예로는 ‘내가 속한 조직 에서는 잘 확립된 사항도 비판할 여지가 있다면 솔직히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 기가 조성되어있다(역문항).’, ‘내가 속한 조직에서는 사실대로 말하는 것 보다 남들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하는 것이 더 낫다.’, ‘내가 속한 조직에서는 승진은 정치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가치를 둘 수 없다.’ 등이 있다.

제4절 설문지의 구성 및 자료수집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