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 설계 및 응답자 특성

Ⅳ. 2016년 영유아 가구의 교육 보육비용

1. 조사 설계 및 응답자 특성

Ⅳ장은 영유아 가구에 대한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2016년 영유아 교육 보육비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영유아 가구 대상 실태조사는 2016년 현재 영유아 자녀가 이용하는 교육 보육서비스 종류 및 이용비용, 정부 의 영유아 가구 대상 비용 지원 정책에 대한 부모들의 선호와 태도 등을 알아보 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실태조사 자료는 영유아 가구의 2016년 교육 보육서비 스 이용비용 실태를 보여주는 Ⅳ장과 영유아가 있는 부모들의 정책에 대한 의견 을 중심으로 구성된 Ⅴ장에 주로 활용되었다. 본 실태조사는 2016년 6월 30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완료하였다(승인번호: KICCEIRB-2016-제06호).

가. 표본 설계 및 설문 구성

1) 표본 설계 및 조사 방법

본 연구의 실태조사는 총 1,312가구(가구 내 영유아 자녀 1,8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태조사를 위한 표본은 국가기초구역 주소 요도를 활용하여, 최종 표집 블록수를 120개로 하여 1차 표집 단위인 전국 광역시도의 가구 수 분포에 따라 비례배분하고, 2차 표집 단위인 동, 읍, 면을 인구비례확률표집 원칙을 적 용하여 무작위 추출하였다. 단, 조사 과정에서 지역, 아동의 연령, 모의 취업여 부, 이용 기관 등을 고려하여, 적정 수 이상의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표본을 일부 조정하였다. 이는 전국 영유아 가구에 대한 표본 틀이 부재하여 전반적인 모 취업률이나 이용기관을 사전에 고려하여 표집을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조사 과정에서 접촉이 쉬운 가구를 위주로 조사함에 따라 가구 및 아동 특성을 반영 한 비용 지출 자료에 편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표집 시 고려하는 변인을 처음부터 강제 할당하여 부여하는 것은 아니며, 조사 과정 에서 특정 연령이나 미취업모가 지나치게 많이 조사되지 않도록 최종 조사 가 구 수에 폭넓은 범주의 상하한을 설정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년도 조사에 비해 가구표본이 1,300여가구로 줄어듦에 따라 반일제 이상 학원 이용자가 지나치게 작게 조사될 위험이 높아, 동일한 국가기초구역 안에 거주하는 영유아 가구 중 반일제 이상 학원 이용자가 최소한 100개 이상 조사될 수 있도록 가중 표집을 실시하였다. 이는 반일제 학원 이용자의 관측치 가 작아, 이용비용이 소수의 조사 결과에 의해 과소 혹은 과다 산출되는 문제를 막기 위한 것으로, 이 후 가중치 부여 과정에서 반일제 이상 학원 이용자에 대 해 가중치를 조정해줌으로써 자료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하에서 실태조사의 결과로 제시된 모든 수치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표본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한 값이다. 보다 자세한 표집 방법과 가중치 부여 방식 등에 대해 서는 <보론 1>을 참조하기 바란다.

2) 설문의 구성

본 조사의 설문은 크게 가구 및 응답자 특성, 아동 단위의 교육 보육비용 지 출 실태, 정부의 재정 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의 주요 부분인 아동 단위 교육 보육비용 지출 실태는 자녀별로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 는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경비는 얼마인지, 이러한 비용 지출에 대해 어느 정도 부담을 느끼는지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유치원 종일제 이용 시 개선점, 어린이집 특별활동 혹은 유치원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 및 개 선점,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 이용비용 최대 지불의사 및 이용시간 조정의사, 보 육료 교육비 및 양육수당 지원 정책에 대한 선호 및 비용 지원 적정성에 대한 의견은 서비스 이용자 혹은 정책 대상에 따라 의견이 달라지는 문항이므로 아 동 단위로 질문하였다. 한편, 전반적인 재정 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 예를 들어, 맞춤형 보육에 대한 의견이나 보육 교육 지원 정책의 필요성 및 우선순위, 보육 료 교육비 지원 대상 및 지원 방식 등에 대한 의견은 응답자의 응답 부담을 줄 이기 위해 가구 단위로 질문하였다.

〈표 Ⅳ-1-1〉실태조사 설문 문항의 구성

조사 구분 설문 내용

가구 및 응답자

특성

가구 특성 가구원 수, 가구 형태, 거주지역, 가구소득, 가구 총지출 규모 등

자녀 특성 자녀의 수, 자녀별 연령, 성별, 출생 순위 등 부모 특성 부/모 연령, 학력, 취업 상태 등

(표 Ⅳ-1-1 계속)

연령은 0세에서 5세까지 균등하게 분포하였으며, 연령별로 성별과 출생순위의 분포는 유사하였다. 응답자 아동은 대도시, 중소도시, 읍 면지역 순으로 많이 분 포하였다. 각 지역 규모에서 성별과 출생 순위의 분포가 유사하였으나, 읍 면 지역에서 남아 및 셋째 이상 출생순위의 아동이 다소 많았다.

〈표 Ⅳ-1-2〉응답 가구의 아동 특성

단위: %(명)

구분 성별 출생순위

계(수)

남 여 첫째 둘째 셋째 넷째이상

전체 51.6 48.4 45.6 43.1 10.0 1.3 100.0(1,820)

아동연령        

0세 50.8 49.2 43.0 44.8 10.2 2.1 100.0( 301) 1세 52.2 47.8 42.7 41.2 14.9 1.1 100.0( 300) 2세 54.0 46.0 41.7 46.0 11.9 0.4 100.0( 300) 3세 56.8 43.2 46.3 42.0 11.0 0.7 100.0( 301) 4세 51.5 48.5 50.3 41.8 6.3 1.6 100.0( 300) 5세 44.8 55.2 49.4 43.1 5.9 1.6 100.0( 318)

지역규모      

대도시 50.9 49.1 47.3 45.7 6.7 0.3 100.0( 822) 중소도시 51.0 49.0 41.9 44.1 12.3 1.6 100.0( 655) 읍 면지역 54.4 45.6 48.7 35.1 13.3 2.9 100.0( 343)

모의 특성에 따라 아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표 Ⅳ-1-3 참조), 모 학력에 따른 자녀의 성별 분포는 대부분 유사하였으나, 학력별 중 기타에 해당하는 모의 자 녀의 경우 여아가 62.2%로 다소 많았다. 모 학력에 따른 출생 순위 분포에서는 대부분의 학력 수준에서 첫째아와 둘째아가 비교적 유사한 빈도로 보고되었으 나, 모 학력이 기타일 경우 첫째아가 76.5%로 다수였다. 모 취업 상태에 따라서 도 자녀 성별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였으나, 육아휴직 및 기타 모의 자녀는 여아가 약 60%로 다소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모 취업 상태와 무관하게 첫째아와 둘째아가 비교적 유사한 빈도로 보고되는 가운데, 모가 기타 취업상태 인 경우 첫째아가 76.5%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표 Ⅳ-1-3〉모 특성에 따른 아동 특성

단위: %(명)

구분 성별 출생순위

계(수)

남 여 첫째 둘째 셋째 넷째이상

전체 51.6 48.4 45.6 43.1 10.0 1.3 100.0(1,820)

(표 Ⅳ-1-3 계속)

구분 성별 출생순위

계(수)

남 여 첫째 둘째 셋째 넷째이상

전체 51.6 48.4 45.6 43.1 10.0 1.3 100.0(1,820)

학력    

고졸이하 56.2 43.8 41.3 39.8 15.9 3.0 100.0( 405) 전문대졸 55.3 44.7 39.7 47.3 12.5 0.5 100.0( 355) 4년제대졸 48.1 51.9 49.3 42.6 7.2 0.9 100.0( 984) 대학원이상 57.0 43.0 46.9 49.4 3.7 0.0 100.0( 72) 기타 37.8 62.2 76.5 23.5 0.0 0.0 100.0( 4)

취업상태        

취업 51.8 48.2 46.6 43.4 8.3 1.7 100.0( 708) 육아휴직,일시휴직 38.6 61.4 57.7 33.4 8.3 0.6 100.0( 106) 학업 및 취업준비 55.8 44.2 57.2 35.2 7.6 0.0 100.0( 32) 전업주부(육아및가사) 52.8 47.2 43.1 44.4 11.5 1.0 100.0( 971) 기타 37.8 62.2 76.5 23.5 0.0 0.0 100.0( 4)

아동 연령에 따른 교육 보육서비스 조합방식별 이용 비율을 살펴보면, 연령 에 따라 교육 보육서비스의 조합 방식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 -1-1] 참조). 0세에는 전적으로 부모가 직접 양육하는 경우가 대다수였으나 (63.8%), 1세 이후로 어린이집만 이용하는 경우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여 1세에는 58.7%, 2세에는 68.7%로 보고되었다. 한편 3세 이후로는 유치원만 이용하는 경 우 및 기관보육 교육과 사교육을 병행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3, 4, 5세에는 유치원만 이용하는 비율은 각각 21.5%, 30.2%, 23.2%였으며, 기관 교육 보육과 사교육을 병행하는 비율은 각각 35.2%, 45.3%, 59.9%로 연령이 증 가할수록 사교육 이용 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3, 4, 5세에 어린이 집만 이용하는 비율은 각각 28.3%, 15.4%, 9.3%로 차츰 감소하였다.

: 0세는 301명, 1세 300명, 2세 300명, 3세 301명, 4세 300명, 5세 518명에 대한 응답 결과임.

〔그림 Ⅳ-1-1〕아동 연령별 교육‧보육서비스 조합방식별 이용 비율

2) 가구 특성

응답 가구의 특성을 가구원, 가구 형태, 지역규모, 가구소득, 기초생활보장 수 급 여부를 통해 알아본 결과는 <표 Ⅳ-1-4>와 같다. 가구원 수에서는 4인 가구 가 49.4%로 가장 많았고, 3인 이하의 가구가 31.9%로 뒤를 이었다. 가구 형태에 서는 부부+자녀 형태가 92.0%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조부모+부모+자녀

(5.0%) 및 한 조부모+부모+자녀(1.5%) 등 3세대 가정이 소수 있었다. 지역규모 에서는 대도시 거주 가구가 45.1%로 가장 많았으며, 중소도시(36.4%) 및 읍면지 역(18.5%)이 뒤를 이었다. 가구 소득에서는 300~399만원이라는 응답이 34.9%로 가장 많았으며, 400~499만원이라는 응답이 21.6%로 두 번째로 많았다. 기초생활 보장급여 수급 여부에서는 대다수가 미수급 가구로, 수급 가구는 0.7%였다.

〈표 Ⅳ-1-4〉응답 가구 특성

단위: %(명)

구분 계 (수) 구분 계 (수)

전체 100.0 (1,312) 전체 100.0 (1,312)

가구원 수 지역규모

3인이하 31.9 ( 418) 대도시 45.1 ( 592)

4인 49.4 ( 648) 중소도시 36.4 ( 478)

5명 14.5 ( 190) 읍면지역 18.5 ( 242)

6명이상 4.3 ( 57) 가구소득    

가구 형태     199만원이하 1.7 ( 22)

조부모+부모+자녀 5.0 ( 66) 200〜299만원 14.5 ( 190) 300〜399만원 34.9 ( 458) 조부모+한부모+자녀 0.1 ( 2)

400〜499만원 21.6 ( 283) 한 조부모+부모+자녀 1.5 ( 20) 500〜599만원 16.0 ( 210) 한 조부모+한부모+자녀 0.4 ( 5) 600〜699만원 4.7 ( 62) 700만원이상 6.6 ( 87) 부부+자녀 92.0 (1207)

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여부    

한부모+자녀 0.9 ( 11) 수급 가구 0.7 ( 9)

(한)조부모+자녀 0.1 ( 1) 미수급 가구 99.3 (1303)

응답 가구의 자녀수를 지역 규모 및 가구 소득에 따라 알아본 결과는 <표 Ⅳ -1-5>와 같다. 전체 가구 중 2자녀 가구가 51.5%로 가장 많았으며, 1명의 자녀를 둔 가구가 33.5%로 두 번째였다. 전체 평균 자녀수는 1.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평균 자녀수에서 영아 및 유아 자녀는 0.7명, 초등 이상의 자녀는 0.4명으로 영아 및 유아 자녀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에 따른 지역 규모의 분포를 알아본 결과 자녀수가 1명 및 2명인 경우 대도시 거주 가구가 각각 43.5%, 50.5%로 가장 많았으나, 자녀수가 3명 이상인 경우 중소도시 거주 가구가 42.4%로 다수였다. 연령별 평균 자녀수는 각 지역 규모에서 영유아의 경 우 0.6~0.8명, 초등 이상 자녀의 경우 0.4~0.5명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총 자녀 수에 따른 가구 소득의 분포를 알아본 결과, 자녀수와 무관하게 300~399만원이

라는 응답이 35% 전후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 평균 자녀수는 가구 소득 수준별 로 영유아의 경우 0.5~0.8명, 초등 이상 자녀의 경우 0.3~0.5명으로 유사하게 보 고되었다.

〈표 Ⅳ-1-5〉응답 가구 자녀 수

단위: %(명) 구분 1명총 자녀수2명 3명이상 전체(%) 평균 자녀수영아 유아 초등이상(명) 계 (수) 전체 33.5 51.5 15.0 1.8 0.7 0.7 0.4 100.0 (1,312)

지역규모        

대도시 43.5 50.5 30.4 1.8 0.7 0.7 0.4 45.1 ( 592) 중소도시 34.2 36.1 42.4 1.9 0.6 0.8 0.5 36.4 ( 478) 읍 면지역 22.3 13.4 27.2 1.9 0.7 0.7 0.5 18.5 ( 242)

가구소득    

199만원이하 1.7 1.7 1.8 1.8 0.7 0.8 0.3 1.7 ( 22) 200〜299만원 16.4 11.2 21.4 1.9 0.8 0.7 0.4 14.5 ( 190) 300〜399만원 37.0 34.0 33.1 1.8 0.7 0.7 0.4 34.9 ( 458) 400〜499만원 16.7 25.7 18.0 1.9 0.7 0.7 0.4 21.6 ( 283) 500〜599만원 15.7 15.7 17.8 1.9 0.6 0.8 0.5 16.0 ( 210) 600〜699만원 5.6 4.4 3.7 1.8 0.5 0.8 0.5 4.7 ( 62) 700만원이상 6.8 7.3 4.2 1.8 0.5 0.9 0.4 6.6 ( 87)

3) 부모 특성

응답 가구의 부모 특성은 <표 Ⅳ-1-6>과 같다. 부와 모 모두 4년제 대졸이 각각 60.7%, 55.2%로 가장 많았다. 모 취업상태는 전업주부가 51.9%로 가장 많고, 취업 이 40.1%로 뒤를 이었다. 부의 경우에는 취업이 98.7%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응답 가구의 부모 특성은 <표 Ⅳ-1-6>과 같다. 부와 모 모두 4년제 대졸이 각각 60.7%, 55.2%로 가장 많았다. 모 취업상태는 전업주부가 51.9%로 가장 많고, 취업 이 40.1%로 뒤를 이었다. 부의 경우에는 취업이 98.7%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