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탄소저감요소 검토

문서에서 도시기반연구본부 연구원 (페이지 66-71)

1. 이론적으로 살펴본 탄소저감요소

-탄소중립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실현단위인 개발단위별로 탄소저감요 소를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가 매우 중요함. 하지만, 현재는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요소 기술들을 파악하고 발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 해 왔음.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지 및 신도시단위보다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효과적인 탄소배출 제어대상인 건축물을 관리하기 위한 필지단위의 탄소배출 저감방안에 집중해 왔음. <표 5-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너지 효율적인 건물과 건물재료 등 건축물 관련항목이 독립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건물단위외 단지 및 신도시단위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요소인

토지이용/교통, 녹지 및 생태, 에너지, 물, 쓰레기처리 등이 주요 항목으로

언급하고 있음. 토지이용/교통항목은 대체로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토지이용과 교통을 분리하거나 교통항목만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었음.

-분류과정에서 2개 이하로 언급된 거리조명(LED)체계, 식량공급, 어메니

티(쾌적성)요소는 주요 항목 선정에서 제외하였음.

2.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로 살펴본 탄소저감요소

-현재, 탄소배출저감을 위한 방안을 제도적으로 마련하고 있는 영국의

BREEAM, 미국의 LEED, 일본의 CASBEE, 우리나라의 친환경인증제도

에서 적용하고 있는 탄소저감요소를 살펴보면, 대체로 건물단위를 중심으 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론적 검토에서 선정된 요소들을 아울러 중요시하 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음.

-특히, 일본의 CASBEE는 단지단위의 개발에 대한 평가기준을 별도로 마 련하고 있어 단지단위에서 고려해야 할 탄소저감요소를 파악할 수 있음. 단지단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별도로 존재하기보다는 주요 요소들 이 건물단위에서 단지단위로 스케일이 확장되면서 검토되어야 할 내용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음.

-다만, 단지단위에서 별도로 추가된 것은 외부지역과의 관계와 영향에 대 한 항목이 추가되어 대규모 개발에 따른 주변지역과의 연계 등을 감안한 것으로 파악됨.

-또한, 개발단위에 따라 탄소저감요소에 대한 중요도가 달라지는 것을 짐 작할 수 있음. 우선 건물단위에서는 에너지, 실내 공기질, 재료의 비중이 높고, 단지단위에서는 생태녹지, 에너지부문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신도시단위에서는 토지이용, 교통, 물의 비중이 높은 것을 짐 작할 수 있음.

BREEAM

참조:일본의 CASBEE(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for Building Environmental Efficiency)에서 Q는 건 물의 환경적 질(Environmental quality of the building), LR은 건물의 환경부하 저감(Environmental load reduction of the building)을 가리킴.

<표 5-2> 국내외 그린빌딩 인증제도의 주요 항목

3. 탄소저감요소의 종합 선정:8개 요소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친환경 인증제도의 항목을 감안하여 최종 선정

-우선적으로,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가려낸 토지이용, 교통, 녹지생태, 에너지효율적인 건물, 건물재료, 집단에너지, 물, 쓰레기요소를 중심으 로 선정함.

-다음으로, 국내외 그린빌딩 인증제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항목인 에너 지, 교통, 실내환경, 재료, 물. 토지이용, 생태, 유지관리, 외부환경영향 요소를 감안하여 최종적으로 선정함.

◦건축물 관련 요소를 하나로 통합하고, 기타 요소들은 독립요소로 구분

-국내외 그린빌딩 인증제도에서 선정하고 있는 에너지, 재료, 실내공기 질을 건축물 요소로 통합하여 구분함.

-모든 개발단위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로서 교통, 토지 이용, 집단에너지, 녹지생태, 물관리, 쓰레기를 건축물과 함께 각각 독 립적인 요소로 구분함.

◦이론검토에서 제외된 유지관리요소 추가

-유지관리는 실제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독립항목으로 추가하였음.

-또한, 일본의 도시단위의 친환경기준인 CASBEE에서 선정된 외부지역 의 환경영향은 녹지 및 생태항목과 연관관계가 높으므로, 이 항목에 포 함하는 것으로 최종 정리하였음.

건축물 (에너지, 실내공기질, 재료)

토지

이용 교통 녹지

생태 집단

에너지 물관리 쓰레기 유지

관리

<표 5-3> 탄소중립도시 조성 시 고려해야 할 기본요소

문서에서 도시기반연구본부 연구원 (페이지 6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