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물결 페미니즘 운동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페미니즘 역사를 기술할 때 19세기 중반부터 1950년까지를 제1물결 페미니즘 이라고 부른다.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주로 교육받은 백인 중산층 여성들로 노예 폐지운동을 이끌었던 사상과 동일한 자유주의 원칙에서 비롯되었다. 서구 자유주 의 사상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개인의 자율적인 의사와 자아성취가 보장되는 사회이다. 하지만 제1물결이 시작되던 시기에 널리 효력이 발생하고 있던 보통법(Common Law)에서 여성들은 결혼을 하면 시민 또는 여성 의 인권에 해당하는 모든 권리는 주장할 수 없었다. 자신의 소득이나 재산을 법 33) 공미혜(2019), ‘페미니즘의 기원과 역사’, 『여성우리』, 제61호, pp. 6

률상으로 주장할 수 없었고 서류에 사인도 못했으며 법정에서 증인으로도 설 수 없었다. 유부녀 신분으로 있는 동안은 자신의 노동이나 행위로 벌어들인 것은 법 적으로 모두 남편의 것이었다.34) 이 시대의 여성들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외치 는 사회에 포함되지 못했기에 이들의 관심사는 여성들에 대한 동등한 대우를 보 장받는 것이었다. 즉 자유주의 사상을 기반으로 한 여성의 제도적 권리를 획득하 고자 했다.

이 시기에 여성들은 남성들과 대등한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포함해 자신들을 억압하는 사회의 제도와 관습을 바꾸고자 부단한 노력을 했었다. 그 일환으로 평등한 교육과 고용을 비롯한 정치적 측면 즉 참정권 혹은 투표권에서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19세기만 해도 영국은 관습법에 의해 기혼여성을 남성의 소유물처럼 여겼지만 1850년대 캐롤라인 노턴(Caroline Norton, 1808-1877)과 바바라 보디촌(Barbara Bodichon, April, 1827–1891)이 기 혼여성의 신분에 관한 법률을 바꾸기 위한 노력을 지속한 결과 1857년 영국에서 혼인 사건법(Matrimonial Causes Act)이 제정되었다.35)

이어서 여성들은 19세기 산업화 과정에서 노동시장으로 진출하지만 저임금과 성적 착취 등 불안정한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기 시작했다. 이에 카를 마르크스 (Karl Marx)와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는 불공정한 현실에 대한 글 을 쓰면서 당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36) 이들은 여성 의 가사노동과 생산노동을 계급 문제로 간주하고 사회주의의 이행만이 여성을 해방 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페미니즘의 단편적이고 현상적인 문 제 제기의 수준을 넘어서서 사회구조와 정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틀을 제시하 였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프롤레타리아계급 여성의 문제에 지나치

34) 캐럴 페이트만·메어리 린든 쉐인리, 이남석·이현애 옮김(2004), pp. 127-128

35) 이 법은 남편이 법정에서 아내가 간통을 했다는 정확한 물증 또는 진위를 입증해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으며 또 아내에게는 남편이 학대를 하거나 가정에서 남편의 의무를 소홀히 했음을 진술할 기회를 허용하는 법이다. 이러한 내용의 혼인사건법 통과는 영국에 최초의 이혼 법정이 설립된 결과를 가져왔고 기혼여성의 신분이라는 개념이 폐지되는 첫번째 단계 였다. 하나 맥캔 외, 최윤희·박유진·이시은 옮김(2019), 『페미니즘의 책』, (사)한국물가정 보, pp. 44-75

36)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1848년『공산당 선언』(The Communist Manifesto) 은 자본주의가 여성을 억압하며 가정에서든 사회에서든 여성을 부속물이자 2등 시민으로 취급한다고 주장했다. 하나 맥캔 외, 최윤희·박유진·이시은 옮김(2019), p. 52

게 집중하면서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는 여러 각도의 여성 문제들을 쉽게 간과 하였고 여성 억압을 오로지 계급만으로 바라보았다. 또한 사회주의 혁명 후에 나 타나는 여성 문제들을 이데올로기적 잔재 정도로 폄하하면서 남녀의 대립을 부 르주아 대 프롤레타리아라는 이분법적 구조로만 해석하였다는 한계를 보였다.37)

여성들의 권리를 요구하는 운동이 점차 확산되면서 교육개혁, 결혼한 여성의 재산권 인정, 여성의 이혼할 권리, 노동 현장에서의 고용 확대 등을 위해 주창하 는 조직들이 생겨났다. 그리고 1860년대 이후에 여성들의 참정권을 주장하는 많 은 단체들이 결성되면서 본격적인 참정권 운동이 전개되었다.

제1물결 페미니즘 운동이 중반쯤 진행됐을 무렵 영국과 미국에서 활동하던 페미 니스트들이 참정권, 혹은 투표권을 얻기 위해 손을 잡았다. 참정권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각기 처한 환경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고 1869년 미국에서 여성참정권 을 요구하는 ‘전국여성 참정권 협회’(NWSA)와 ‘미국여성 참정권 협회’(AWSA)가 결성되었고 이후 이 두 단체는 1890년에 ‘전미여성참정권협회’(NAWSA)로 통합하 여 여성참정권 운동을 벌였다. 이후 미국 수정헌법조항 19조를 제정하게 되고 이러 한 결과는 민주주의의 쾌거이며 보다 완전한 민주주의를 향한 일보전진이라고 할 수 있다.38)

영국에서도 1903년 여성으로만 이루어진 ‘여성사회정치동맹’을 조직해 참정권 운동을 전개했다. 페미니즘 운동이 여러 이슈로 갈라지기는 했으나 참정권을 얻 기 위한 노력은 제1차 세계대전(1914-1918년)과 전쟁의 여파가 직접적으로 미치 던 기간까지 페미니즘 운동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제1물결 페미니즘 운 동을 기점으로 여성들의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서 참정권을 인정받기 시작했다.

국가별 여성들의 참정권을 인정한 시기를 다음과 같이 나열하고 그림으로 나타 냈다.39)

뉴질랜드(1893), 오스트리아(1902), 핀란드(1906), 노르웨이(1913), 미국(1920),

37) 임지윤(2011), “트와이랕 타프(Twyla Tharp)의 작품에 나타난 에코 페미니즘 특성에 관한 연구 -「캐서린 휠(The Catherine Wheel)」(1983)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p. 11

38) 미국 수정헌법 제19조의 전문: 투표를 하기 위한 미국 시민의 권리는 미합중국이나 어느 주에 의해서도 性으로 인하여 거부되거나 또는 줄여져서는 안 된다. 이 조항이 적절한 입 법에 의해 시행되게 하는 권한은 의회가 가지고 있다.

39) 나라별 여성 참정권 도입 연도. JTBC, 차이나는 클라스, https://tv.jtbc.joins.com

영국(1928), 프랑스(1944), 대한민국(1948), 스위스(1971), 포르투칼(1974), 쿠웨이 트(2006), 사우디아라비아(2015) 순으로 참정권이 인정되었고 이를 포함해 1914년 부터 1939년 까지 세계 28개국에서 여성들에게 남성들과 동등한 투표권을 인정 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말이 되면서부터 100여개가 넘는 나라에서 여성들의 투 표권을 인정하기 시작했고, 서구에서는 스위스가 가장 늦은 1971년이 되어서야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

그림 1. 나라별 여성 참정권 도입 연도

위와 같이 참정권이 각 나라별로 여성들에게 주어졌지만 이로 인해 모든 문제 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여성은 여전히 가정과 사회에서 차별받고 여성에 대한 낡은 사회적 관습이 삶을 억누르고 있었다. 다음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발생시 기인 2, 3의 물결 페미니즘 운동을 통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