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물결 페미니즘 운동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2)

영국(1928), 프랑스(1944), 대한민국(1948), 스위스(1971), 포르투칼(1974), 쿠웨이 트(2006), 사우디아라비아(2015) 순으로 참정권이 인정되었고 이를 포함해 1914년 부터 1939년 까지 세계 28개국에서 여성들에게 남성들과 동등한 투표권을 인정 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말이 되면서부터 100여개가 넘는 나라에서 여성들의 투 표권을 인정하기 시작했고, 서구에서는 스위스가 가장 늦은 1971년이 되어서야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

그림 1. 나라별 여성 참정권 도입 연도

위와 같이 참정권이 각 나라별로 여성들에게 주어졌지만 이로 인해 모든 문제 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여성은 여전히 가정과 사회에서 차별받고 여성에 대한 낡은 사회적 관습이 삶을 억누르고 있었다. 다음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발생시 기인 2, 3의 물결 페미니즘 운동을 통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질서가 재편되자 미국은 초강대국으로 입지를 굳히면서 경제적 부흥을 누리지만 전국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시작된 학생운동, 흑인인권, 베트남반전, 반문화, 신좌파운동 등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베이비붐 세대들은 기성세대의 가치관 을 거부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운동도 이러한 광범위한 사회적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출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여성들 나름의 정체성을 발전시키고 그들만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였다.40)

제2물결은 보부아르가 1949년 『제2의 성』을 집필하면서 당시 사회에 큰 반 향을 불러일으켰는데, 보부아르는 여성이 제2의 성으로 살 수밖에 없는 생물학적 결정론에 반기를 들면서 가부장적 사회의 모순에 저항한 것이다. 그의 책 첫머리 에서 “사람은 여자로 태어나지 않는다. 여자가 되는 것이다.”(On ne nait pas femme, on le devient)라고 주장한다.41) 이는 여성과 남성을 생물학적 조건에 근 거한 잘못된 통념과 종속된 개념을 반박하고 양성 간의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주장한 것이다. 『제2의 성』은 여성들의 의식을 각성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쳤 고, 급기야는 1960년대 페미니즘 운동인 제2물결의 기폭제가 되었다.

이들은 제1물결 시대의 투쟁을 통해서 획득한 법적 권리가 일상에서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지 못한 것을 깨닫고, 가정과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영역에서 불 평등을 완화하는 운동으로 초점을 옮겨갔다. 교육과 노동, 환경, 성생활, 종교, 전 쟁, 반문화운동 등 여러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두고 불평등으로부터 여성을 해방 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여성문제는 여성들 스스로가 독립적 주체로서 해결 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여성운동을 이론적으로 뒷받침을 할 수 있는 페미 니스트 강좌를 대학에서 열었고 여성학 분야의 과목을 정식으로 채택하여 페미 니스트 학자를 배출하기 시작했으며 학문적 위상을 제고해 나가기 시작했다.

1960년대 이후 여성 고등교육의 확대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고 경제 적 자립으로 이어졌다. 또 경구피임약의 보급과 임신 중절법안이 통과되면서 여 성들은 합법적으로 성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42) 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남성과 40) 이창신(2017), 『미국 여성의 역사 또 하나의 역사』, 당대, p. 372

41) Simone de Beauvoir(1973), The Second Sex, trans. E. M. Parshley, New York:

Vintage, p. 301

42) 19세기 미국 정부는 임신중절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에 있었다 1840년 20개 주에서 태동 (임신18주)전 낙태를 경범죄로 취급했고, 태동 후 임신중절을 2급 살인으로 규정하기도 했 지만 1973년 연방대법원은 임신중절과 관련한 기념비적인 판결을 내리게 되는데 ‘로 대 웨

여성의 생물학적 격차의 감소와 이분법적 성역할에 대한 구분을 와해시키는데 일조했다. 여성들의 성적 자기 결정권은 임신과 육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고 점진적으로 자신을 위한 시간투자가 가능해졌으며, 이는 여성들의 지적 능력과 사회적 지위 향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1960-1965년대에 이르 러 미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여성의 수는 57%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5% 증가하 였다. 1960년대에 독신 여성 비율은 50% 증가했다.43)

또한 여성이 직면한 모든 문제는 성적 억압에서 시작되었다는 베티 프리던 (Betty Fridean, 1921-2006)의『여성성의 신화』(The Femine Mystique, 1963)는 당시 여성들에게서 많은 공감을 얻었고 출간후 곧바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940년에서 1950년까지 여성적 삶에 대한 연구결과를 집필한 내용으로 여성들이

‘자기 결정권, 자신의 소망, 자신의 삶’을 스스로 장악하고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알리고자 한것이다.44) 그녀는 여성들의 내면의 고통과 자아의 위기를 언어화하고 나아가 여성들이 가정성이라는 사적이고 제약적인 규범에서 벗어나 공적영역에 서 노동자 그리고 시민으로 살아가는 대안적 삶의 경로를 제시하였다. 여성의 사 회활동을 억압하는 것은 개인과 국가의 노동력 낭비를 초래하는 일이며 또한 지 나치게 어머니에게 의존하는 소년들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여성의 사적영역 고립에 대한 베티 프리단(Betty Friedan)의 지적은 여성해방 이데올로기가 곧 국가의 경제 성장 및 사회 안정화로 이어진다는 정당성을 확보 하는 근거가 되었다 이후 그녀는 1966년 미국 최대 규모의 여성운동단체인 ‘전미 여성기구’(National Organization of Women)를 창설하는데 앞장서고 초대회장으 로도 활동을 했었다.45) 다음은 1970년 8월에 벌어진 평등을 위한 여성파업 가두 행진에서 여성들이 뉴욕 5번가를 가득 메우고 있는 사진이다.46) 이 가두행진은 프리던이 공동으로 창설한 전미여성기구가 주관하였다.

이드 판결’(Roe v. Wade)이다. 이판결을 통해서 미국 내 최초로 여성의 임신중절을 헌법적 권리로 인정하였다. 양정화(2020),『KIPA규제동향점』이슈분석 미국: 미국 임신중절규제 현황 및 쟁점, 한국행정연구원, p. 70

43) 박현정(2018),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예술의 메시지를 반영한 패션 디자인 연구” 동덕여자 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2-23

44) 장경(2019), ‘페미니즘과 인간 존엄성’ 『신학전망』, No.207, p. 6 45) 박현정(2018), p. 24

46) 하나 맥캔 외, 최윤희·박유진·이시은 옮김(2019), P. 123

그림 2. 1970년 평등을 위한 여성 파업 가두 행진

케이트 밀레트(Kate Millet, 1934~2017)는 지금까지의 성의 권력을 역사적으로 살필때 어떠한 계급보다 더 엄격하고 획일적이며 영속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으 며 가장 널리 편재해 있는 이념으로 통용되고 있는데, 이유는 우리의 사회가 가 부장제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47)

그녀는『성의 정치학』(Sexual Politics, 1970)의 출간을 통해서 가부장제는 개 혁이 되었든 안되었든 아직 가부장제이며, 모든 가부장제는 가정에서 시작된다는 이론을 기반으로 낙태나 강간, 가정폭력, 동성애 등 사적영역으로 치부했던 문제 를 표면화시키기도 했다. 이를 통해서 성 정치학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켰고 여성 의 성적 자유와 해방을 페미니스트 실천의 가장 근본적이고 임박한 의제로 제시 하고 또 스스로의 삶에서 실천하였다. 1979년에는 이란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여 성의 날’ 행사에 참여했다가 추방되었다.48)

지금까지의 제2물결 페미니스트들을 이론적 측면에서 접근해 보면 생물학적 범주로서 성(sex)을 폐기하거나 혹은 이를 젠더라는 범주로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여성이라는 주체적 질문과 내용에 대한 과정은 제2물결 페미니즘 이 여성을 정치적 투쟁 속에서 구성되는 사회문화적 위치(Location)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제2물결 페미니즘의 이러한 젠더 정치학은 동시에 내부적으로 다양 한 인종적, 성적, 계층적 차이들에 대해 상호 교차점을 간과했거나 혹은 무관심 47) 케이트 밀레트, 정의숙·조정호 옮김(2003), p. 52

48) 하나 맥캔 외, 최윤희·박유진·이시은 옮김(2019), p. 145

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4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