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오페라의 탄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59)

종합 예술인 오페라는 음악, 문학, 미술, 연극, 무용 등의 다양한 장르가 결합 된 예술의 총아이다. 지금까지 음악 장르 중 가장 사랑을 받는 분야로 역사 속에 서 시대와 교감하면서 성장해 왔고 21세기의 시대정신인 융복합을 대표하는 문 화예술 분야이다. 또한 오페라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결실이며 1600년경 피렌체 에서 발생한 바로크의 대표 음악이다. 1600년경 바로크시대의 음악은 각 성부에 독자성을 고려한 콘체르토 양식(Concerto Style)82)이 발달하여 본격적으로 기악 음악과 오페라로 발전하였다.

바로크 시대에는 다양한 감정을 일정한 음형과 결합시켜서 음악으로 표출했는 데 이것이 바로크 음악의 대표적 특징 중 하나인 감정이론이다. 청중들은 가사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재능 있는 가수의 노랫소리만으로도 그 음악이 전 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극의 줄거리를 생생하게 전달받을 수 있었다. 정통 연극이 아닌 막간극(Intermezzo)으로 출발한 오페라는 귀족계급과 서민층의 열광적인 지 지를 받아 비가극, 희가극, 오페레타에 이어 뮤지컬과 같은 종합예술로 발전되는 과정을 밟아왔다.83)

오페라는 이탈리아어로 노동, 공사, 성과, 작품, 연극, 단체 등의 여러 가지 의 미를 갖는데, 영어로 말하면 ‘Work’에 해당된다. 이탈리아어의 ‘오페라’나 영어의

‘워크’에 음악적인 의미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뜻 가운데 가 장 가까운 것은 ‘작품’ 이라 할 수 있는데 한국어로 옮길 때에는 가극(歌劇)이라 고 한다. 말 자체는 라틴어의 작품을 뜻하는 오푸스(Opus)에서 왔다 즉 독창이

81) 윤필상(2018), 『오페라, 음악과 극의 만남』, 푸른사상사, pp. 7.21.22

82) Concerto는 ‘경합하다’의 뜻을 지닌 라틴어의 동사 ‘Concertare’에서 나온 말이다. 현대에 이르기까지 즐겨 작곡되는 기악의 대표적인 갈래의 하나인 콘체르토는 협주곡이라고 번역 되고 있는데, 당초에는 성악만의 또는 기악만의 앙상블을 의미하였으나 적어도 1565년경 또는 보다 훨씬 이전부터 기악이 공연 (共演)하는 앙상블을 지칭하게 되었다. 박세원(1996), p. 159

83) Leslie Orrey, 류연희 옮김(1997), 『오페라의 역사』, 도서출판 동문선, p. 6

나 합창 그리고 무용을 비롯한 연기를 한 무대 위에서 표현한다는 의미를 가지 고 있다. 악보나 음악회 프로그램에서 ‘Op.’라고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의 약자이고 오페라 인 무지카(Opera in Musica)는 ‘음악작품’ 이란 뜻이다. 오페라를 단순하 게 표현하자면 음악으로 만들어진 연극이라고 할 수 있다.84) 오페라를 연극과 비 교할 때 가장 큰 차이는 말 대신 대사를 대부분 노래로 처리한다는 점과 오케스 트라가 시종일관 이것을 반주한다는 점이다. 즉 독창과 중창, 합창, 관현악 등 모 든 자원을 문학적 요소를 바탕으로 무대장치로 결합시킨 것이다.85)

오페라는 1597년에 이탈리아 예술가와 귀족들의 스터디 그룹에서 탄생했다. 피 렌체의 음악가, 학자, 예술 애호가들의 모임 즉 작은 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타(Camerata)는 음악보다 말을 중시했으며 말과 멜로디의 일치, 자연스런 억양의 노래를 추구했다. 두 음 이상이 겹쳐 발생하는 다성음악은 화성에 대한 감각을 고양시켰고 다성음악의 복잡한 복층구조는 각 선율의 독립성을 유지시켰 다. 하지만 가사 전달에는 장애가 되었다. 따라서 카메라타는 하나의 선율을 강 조하고 나머지 부분은 류트 등과 같은 악기로 즉흥 연주를 하는 고대 그리스의 모노디(Monody)86) 양식을 차용하기 시작했다.

르네상스 시대 후기 피렌체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오페라로 알려진 페리(Jacopo Peri, 1561-1633)의 <다프네-Dafne, 1597>는 그리스극을 되살리기 위한 운동에서 시작했으며 고전 그리스극을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연주되었다. 하지만 악보나 대 본은 남아 있지 않고 공연을 했다는 기록만 있다.87) 오늘날 정식으로 상연되고 있는 초기 오페라는 1607년에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 1567-1643)가 만토 바 궁정에서 작곡한 <오르페오-L’Orfeo>88)이다.

84) 박홍규(2002), 『비바 오페라』, 가산출판사, p. 31 85) 민은기·신혜승·전지호(2009), p. 105

86) 단선율의 독창 양식으로 독창에 간단한 화음 반주를 곁들인 노래 양식이다. 마드리갈과 모테트와 같은 대위법적 성악 양식에 대한 반발로 10~17세기에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나타 났다. 고대 그리스 음악을 모방하려는 시도로 대위법 대신 단순한 화음 반주에 의한 낭송 양식(레치타티보)을 썼으며 감정적인 가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감정을 넣어 부 르고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을 강조했다. 윤필상(2018), p. 40

87) 최철(2009), “Giacomo Puccini의 오페라 <삼부작-Il Triticco>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

88) ‘오르페오’는 그리스의 신화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주인공 오르페오는 음악 솜씨가 뛰어 나, 그가 노래를 하면 모든 생물은 물론 무생물까지도 감동했다. 그의 사랑하는 아내 유리 디체가 죽자, 비탄에 잠긴 오르페오는 음악을 멈추고 눈물로 세월을 보낸다. 그러자 사랑 의 신이 그를 도와 하계에 내려가서 아내를 데려 오라고 한다. 그러나 다시 지상으로 나

그림 6. 오르페오의 일막 서두 악보

그는 인물의 성격과 사건을 세밀하게 묘사하기 위해 40여 개의 많은 악기를 사용했는데 이러한 풍부한 관현악 반주는 더욱 생동감 있는 오페라를 만드는 계 기가 되었다.89) 그렇지만 바로크 오페라는 구조적 결함과 부족한 짜임새 그리고 비극적인 분위기와 장중한 음악으로 인해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고 후일 글룩 (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이 시도한 오페라 개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서장한 오페라의 종류와 형식을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했다.

올 때까지 아내의 얼굴을 봐서는 안된다는 조건이었다. 하계로 가서 지옥의 괴물들을 음 악으로 감동시킨 오르페오는 유리디체를 찾아 돌아온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 아내의 성화 에 못 이겨 돌아보자. 아내는 돌로 변한다. 이것이 원래 얘기인데, 몬테베르디는 원작을 바 꿔서 해피엔딩으로 만들었다. 아내가 돌로 변하자, 오르페오는 그 돌을 부등켜안고 세상 과 신에 대해 원망을 하자 신들은 아내를 다시 살려준다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박준용 (1999), 『오페라는 살아있다』, 음악출판공동체 폴리포니, p, 25. 오르페오의 일막 서두 악 보. Leslie Orrey, 류연희 옮김(1997), p. 29

89) 박철홍·강희선·김근영(2016), pp. 28-29

종류와 형식 내용(특징) 나라

Opera Seria 정가극(正歌劇)으로 17세기말부터 18세기에 전 유

럽에서 공연된 가장 일반적인 오페라 유형 이탈리아

Opera Buffa 18세기 초 나폴리에서 발전하였고 19세기 초에 적

용되는 이탈리아의 희극적 극음악을 통칭 이탈리아

Ballad Opera

풍자적인 성격을 띠고 극중에서 노래와 음악이 연 주되고 곡은 당시 유행한 가요나 오페라 아리아의 멜로디를 사용

영국

SingSpiel 희극적인 대화체의 연극 대본에 많은 노래가 삽입

된 희극 오페라 독일

Opéra Comique

희극성 보다는 음악 형식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반 드시 코믹한(희극적) 내용이 아니더라도 상호 대화 로 이루어지는 대사가 있는 오페라

프랑스

Grand Opera 19세기 초반에 파리를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발레와

합창 관현악 등이 삽입된 장대한 오페라 프랑스

Musikdrama

오페라에 대한 음악사상적인 비판과 반성으로 발생 하였고 음악과 연극 무용과 미술이 혼합된 종합예 술작품

독일

Verismo Opera

베리스모 오페라는 1890년대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음악운동으로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예술사조의 영 향 받음

이탈리아

Operetta 이탈리아어 오페라(opera)에 축소형 어미 ‘-etta’가

붙은 것으로 ‘가벼운 오페라’라는 의미이다. 이탈리아 표 6. 오페라의 종류와 형식을 나타내는 표(연구자 구성)

오페라는 음악과 극을 동반하기 때문에 각 나라와 민족의 고유한 정서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을 해왔고, 각 언어의 특징에 따라 선율이나 리듬도 달라졌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5-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