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다중상태 평형이론과 생활양식 선호이론(Lifestyle Preference Theory)

다중상태 평형이론은 확산 모형(diffusion model)에 기반하여 성평등 주의의 확산과 출산율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규범의 변화를 새로운 규범이 사회구성원들에게 확산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설명한다는 점에서 는 이 이론은 규범의 변화와 개인의 선호의 변화를 연결하여 설명하는 특 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다중상태 평형이론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작업 은 성역할과 관련된 개인의 선호를 규정하는 작업을 요청한다. 이를 고려 할 때, 생활양식 선호(lifestyle preference)를 여성의 성역할 태도, 직업 등을 설명하는 중심 변수로 사용하는 하킴의 선호이론(Hakim, 2000)은 다중상태 평형이론을 적용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 다. 하킴에 따르면 피임 혁명, 남녀 간 기회 균등 혁명, 화이트 칼라 및 파 트타임 직업의 확산,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확산 등이 진행됨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여성이 자신의 삶의 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으 며, 이에 따라 여성의 생활양식 선호가 가족 구성 및 출산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Hakim, 2000). 하킴은 현대사회의 여성들은 일 -중심적 여성, 가정-중심적 여성, 적응적 여성 등 세 가지 다른 형태의 생 활양식 선호가 존재하며, 이러한 선호에 따라 교육 지속, 성역할 태도, 출 산, 직업 선택 등이 다른 형태로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다중상태 평형이론과 선호이론은 상호 보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중 상태 평형이론의 경우 성평등주의의 확산에 따라 출산율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성평등주의의 확산은 선호 집단 (preference group)의 상대적 비중의 변화와 연결된다. 성평등주의적 태도가 확산된다는 것은 결국 일-중심적 여성의 비중이 증가하고 가정-중심적 여성의 비중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하킴의 선호 집단

구분을 활용하여 성평등주의의 확산 정도를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단, 두 개념적 틀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이는 선호의 변 화 가능성 여부이다. 다중상태 평형이론에 따르면 새로운 규범의 확산이 기존의 지배적인 규범을 대체할 수 있는데, 이는 생활양식 선호가 변화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반면, 하킴의 이론은 기본적으로 선호의 안정성을 가정한다. 즉, 하킴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일-중심적 여성과 가정-중심적 여성은 각각 20% 정도를 차지하고 적응적 여성은 60%를 차지한다고 가 정하는데, 이는 여성의 선호는 상당 부분 고정된 것이며 변화 가능성이 낮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여성의 선호의 형성에는 다양한 구조 적, 규범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McRae, 2003; Tomlinson, 2006), 이는 생애 과정을 통해서 선호가 변화할 수 있고, 시간과 공간에 따라 선호 집단의 분포가 다를 수 있음을 함의한다.

선호이론의 또 다른 약점은 선호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이다.

생활양식 선호가 개인의 고유한 기질의 한 측면이라면, 이러한 가정은 유 지될 수 있다. 그렇지만, 개인의 행동이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 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Crompton and Harris, 1998). 즉, 개인의 노 동시장 참가 경험, 가족 형성 경험, 출산 경험 등이 생활양식 선호의 형성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역인과성 (reverse causality)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면 생활양식 선호가 출산 및 경제활동 참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우회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생활양식 선호 자체가 아 니라 선호실현(preference realization)에 주목하고자 한다. 생활양식 선호에 대한 측정은 개인의 성향뿐만 아니라 생애 과정의 경험을 반영하 기 때문에 이를 표본조사 자료를 통해서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밖 에 없다. 그렇지만, 선호실현은 이보다 측정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표본

조사를 통해서 일-중심적 여성으로 구분된 여성은 몇 가지 척도에서 가정 보다 직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여성이다. 이 여성은 일-중심적인 성향을 갖고 있을 수도 있고, 본래 성향은 가정-중심적이지만 여러 가지 환경의 영향에 의해서 경제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에 성향이 바뀌거나 자신의 성향을 잘못 인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표본조사 자료를 통해서 이들을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이 여성의 선 호실현 정도는 현재 혹은 생애 과정을 통한 경제활동 경험을 통해서 비교 적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현재 직업을 갖고 있는 일-중심적인 여성은 자신의 선호를 실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전업주부인 일 -중심적인 여성은 자신의 선호실현에 실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생 활양식 선호와 경제활동 참가 형태를 교차시킴으로써 선호실현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표 3-1>은 이와 같은 유형화를 보여준다(김영 미, 계봉오, 2015). 주대각선에 위치하는 유형은 생활양식 선호와 경제활 동 참가가 일치하는 경우이며, 반대의 경우는 둘 간에 괴리가 있는 경우 이다. 이러한 유형 구분을 활용하여 생활양식 선호실현과 출산율 간의 관 계를 검토함으로써 선호이론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표 3-1〉 생활양식 선호실현 유형

생활양식 선호 경제활동 참가 여부

경제활동 참가 경제활동 비참가

일-중심적 선호실현 선호비실현

가정-중심적 선호비실현 선호실현

또한, 선호실현을 활용하는 것은 다중상태 평형이론을 검증에도 매우 유용하다. 우선, 선호실현의 상대적 비중은 성평등주의의 확산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경험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김영미, 계봉오(2015)

는 <표 3-1>의 유형과 2012 ISSP 자료를 활용하여 국가 간 여성의 선호 실현 정도 차이를 비교했는데, 스웨덴, 미국 등 북유럽 및 북미 국가들은 선호실현 정도가 높고 한국, 스페인, 체코 등 동아시아, 남유럽, 동유럽 국가들의 선호실현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양식 선호의 실현 정도가 성평등주의의 확산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김영미, 계봉오(2015)는 국가 수준에서 측정한 선호실현도와 합계 출산율 상관관계 경제활동 참가율 등 다른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긍정 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다중상태 평형이론에서 제시 하는 성평등주의의 확산과 출산율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예 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에서는 보다 엄밀한 미시-거시 연계를 위한 다 수준 분석을 활용하여 이와 같은 접근을 확장하여 다중상태 평형이론과 선호이론을 결합한 모형이 한국의 출산율 변화와 국가 간 출산율의 차이 를 설명하는 데 어느 정도 유용한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