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노인 건강상태별 집단분류

1. 건강상태집단의 분류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바 있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상 태를 집단별로 구분하여 보았고, 이후 건강상태집단별로 건강상태의 현 황, 보건의료이용의 실태 및 영향요인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체적으로 노인의 건강상태별 집단은 ‘매우 건강한 집단’에서부터 ‘말 기집단’까지 다양하다고 하겠다. 여기에서 Rockwood 등(2005)이 제시 한 임상적 허약수준(clinical frailty scale)에 따라서 노인의 건강상태별 집단에 대해 정의내린 것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총 9개 의 단계가 있는데, 이는 ‘매우 건강(very fit)’, ‘건강(well)’, ‘건강한 편 (managing well)’, ‘취약(vulnerable)’, ‘경도수준의 허약(mildly frail)’,

‘중간정도의 허약(moderately frail)’, ‘심각한 허약(severely frail)’,

‘매우 심각한 허약(very severely frail)’, ‘말기 상태(terminally ill)’이다.

먼저, ‘매우 건강한’노인은 강건하고 활동적이며 생활상의 의욕을 지닌 계층이어서 일상적이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다. ‘건강’한 노인은 활동성 질병 증상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매우 건강한’노인에 비해서 강건하지는 않은 상태에 있다. ‘건강한 편’인 노인은 의학적인 문제를 지 니고 있지만, 질병이 잘 통제되어 있는 상태인데, 일상적인 걷기 이외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는 않고 있다. ‘취약’한 노인은 일상적인 도움을 타인에 의존하지 않고 생활할 수 있지만, 질병적 증상으로 때때로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고, 활동성이 느리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경도수 준의 허약’한 노인은 보다 고차원적인 IADL(예를 들면, 금전관리, 교통수 단이용하기, 격심한 가사활동, 약복용 등) 수행에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 하며, 점진적으로 물건사기나 혼자서의 외출, 식사준비, 가사활동 등에 어려움을 느끼기 시작한다. ‘중간정도의 허약’한 노인은 모든 외부활동에 도움이 필요하고 계단오르기에 문제가 있으며, 목욕하기에는 도움, 옷입 기에는 최소한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심각한 허약’노인은 신체적 수발행위에 전적으로 의존적이나, 안정된 상태에 있어 6개월이내의 사망 할 위험성이 없는 상태이다. ‘매우 심각한 허약’노인은 말기상태로 다가 가는 정도의 의존적인 상태로 사소한 질병으로부터도 회복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말기 상태’의 노인은 6개월이내의 수명이 남아 있 는 상태이다.

이상과 같은 개념에서의 건강상태별 집단분류에서는 장애노인도 허약 노인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편(managing well)’인 노인은 전허약단계, 그리고 ‘취약(vulnerable)’한 노인과 ‘경도 수준의 허약(mildly frail)’노인을 허약단계에 있는 노인으로 분류하여 볼 수 있겠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그림 2-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림 2-5〕 고령자의 건강상태별 집단유형

자료: K. Rockwood, et al, “A global clinical measure of fitness and frailty in elderly people”, CMAJ, 2005; 173: pp. 489~495.

앞서 〔그림 2-5〕에서 세부적으로 살펴본 고령자의 건강상태 집단을 보 다 축약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림 2-6〕 고령자의 건강상태별 집단유형(축약형)

2. 건강상태집단의 분류기준 검증

이상과 같이 이론적 내지는 논리적으로 노인의 건강상태를 구분해 보 았는데, 실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통용성이 있는지를 가름해 보았다. 즉, 건강노인, 허약노인, 장애노인 및 말기노인의 4단계만으로 구분해 보았 는데, 그 이유는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기초분석자료가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구분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제2장의 연구방법부문에서 본 연구를 위해 구분한 노인집단을 정의내 리는 데 이용한 도구는 가용자료의 제약 때문에 ADL과 IADL지표로 하 였다. 즉, ADL과 IADL기능에 모두 제한을 느끼지 않는 집단을 ‘건강노 인’, ADL 기능은 정상적이지만 IADL기능에만 제한을 느끼는 집단을 ‘허 약노인’, 그리고 ADL기능에도 제한을 느끼는 집단을 ‘장애노인’으로 정 의한 바 있는데, 이러한 집단구분이 어느 정도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여기에서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 표준도구(gold standard)는 대 한노인병학회에서 개발한 노쇠지표3)와 네덜란드정부가 사용하고 있는 허약노인선정도구(Tilberg frailty indicator4))이다. 즉, IADL지표만으 로도 허약상태의 노인으로 볼 수 있는가를 노쇠지표와 TFI지표를 이용해 서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는데, 총점기준으로 볼 때, IADL점수와 노쇠 지표점수간에는 45%, TFI점수간에는 49%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5). 따라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IADL지표만으로도 허약노인을 개념 적으로 정의 내려도 무방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제3장 이후에 진행된 통 계분석에서 활용하였다.

〈표 2-1〉 IADL, 노쇠지표 및 TFI간 상관관계

구분 IADL개수 노쇠지표총점 TFI총점

IADL개수 - 0.46*** 0.5***

노쇠지표 0.46*** - 0.77***

TFI 0.5*** 0.77***

-구분 IADL총점 노쇠지표총점 TFI총점

IADL총점1) - 0.45*** 0.49***

노쇠지표 0.45*** - 0.77***

TFI 0.49*** 0.77***

-주: 10개의 IADL을 근거로 완전자립은 0점, 부분자립은 1점, 완전의존은 2점으로 산정하였고, 노 쇠지표와 TFI는 각 문항당 1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서 최하 0점에서부터 최고 8점(노쇠지표), 또는 15점(TFI)으로 산정하였음.

3) 노쇠지표에서는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당 1점기준으로 3~4점이면 전허약단계, 5점이상이면 허약단계로 보고 있음.

4) TFI에서는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역시 각 문항당 1점으로 하고, 5점이상이 면 허약단계로 보고 있는데, 이 개념 속에는 점수가 상당히 높은 노인은 실제적으로 장애 상태에 놓여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임.

5) 후술하겠지만, 본 분석을 위해서 활용된 분석자료는 서울시 K구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로, K구 보건소의 협조를 얻어서 조사가 실시되었음.

건강상태별 노인집단의 건강수준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