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노인 건강상태집단별 건강수준의 결정요인 비교

1. 전국노인실태조사자료(2011)의 분석결과

본 절에서는 건강상태별 노인집단의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건강수준(건 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2011년 노인실태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1년 노인실태조사」의 65세 이상 노인 총 10,674명 중 주관적 건강상태에 결측치가 없고, 인지기능 에 문제가 없는(MMSE-KC) 노인(7,358명)이다. 이들은 주관적 건강상 태에 따라 3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건강집단노인은 6,634명, 허약집단노 인 526명, 그리고 장애집단노인 19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 러한 표본을 가지고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술한 바 있듯이 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체 65세 이상의 노인 중,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과 일상생활수행능력(ADL)에 제한 이 없는 노인을 ‘건강집단노인’,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에만 제 한이 있는 ‘허약집단노인’, 일상생활수행능력(ADL)에 제한이 있는 ‘장애 집단노인’으로 명명하였다. 그 후, 각 집단별로 이들의 주관적 건강에 영 향을 주는 결정요인에 대해 회귀모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본 분석의 회귀분석에서 사용되는 종속변수는 주관적 건강수준(건강상 태)이다. 이는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질문에 “매 우 건강하다”, “건강한 편이다”, “보통이다”,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매 우 건강하지 않다”의 5가지 항목으로 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분석에서는 “매우 건강하다”와 “건강한 편이다”를 합하여 ‘건강한 상태’, 나머지 응답을 건강하지 않은 상태(나쁜 건강상태)로 재분류하여 이를 더 미(dummy)변수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노인의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

는 변수로서 개인특성 수준에서의 성별, 연령, 결혼 상태(기혼 여부), 가 구 형태, 교육수준, 소득 수준을 포함하는 인구사회경제적 변수와 사회관 계망, 그리고 만성질환 수, 복용하고 있는 약의 수, 신체 활동의 장애 여 부, 비만도, 우울을 포함한 건강 수준에 관련된 변수들과 흡연, 수면, 음 주, 운동을 포함하는 건강 행태에 관련된 변수들을 포함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관계망은 매일 접촉하는 따로 사는 형제자매를 포 함한 친인척, 친구 이웃 등의 존재를 의미한다. 비만은 신장과 체중을 사 용하여 산출된 체질량 지수(BMI)가 25이상의 경도비만을 의미하며, 우울 은 우울증 척도에서 0~15점 중, 8점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수면 은 일일 적정수면시간인 6~8시간의 수면인 경우를 정상수면으로 보고, 정상수면, 과다수면, 수면부족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음주는 한 번 음주시 남자는 7잔, 여자는 5잔 이상을 음주할 경우, 이를 과다음주 (binge drinking)로 정의하고, 과다음주 여부를 변수로 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변수들은 더미 변수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더미 변수가 아닌 변수는 신체활동 장애 수준인데 이는 “운동장 한바퀴 (400 m) 정도 뛰기”, “운동장 한 바퀴 정도 걷기”, “쉬지 않고 10계단 오 르기”, “몸을 구부리거나, 쭈그려 앉거나, 무릎을 꿇기”, “머리보다 높은 곳에 있는 것을 손을 뻗쳐서 닿기”, “쌀 1말(8kg) 정도의 물건을 들어 올 리거나 옮기기”의 6가지 신체 활동에서 “전혀 어렵지 않다”를 1점으로 하 고 “전혀 할 수 없다”를 4점으로 하여 합산한 점수로서 최저 6점부터 최 고 24점까지 산출된다. 즉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 활동의 장애 정도가 심 한 것으로 해석되는 변수이다. 다음의 표는 본 회귀분석에서 사용되는 더 미변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표 3-34> 더미변수 설명

<표 3-35>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정식

Model 1 log (P/(1-P)) = β0 + β1×건강수준

Model 2 log (P/(1-P)) = β0 + β1×건강수준 + β2×인구사회경제수준

Model 3 log (P/(1-P)) = β0 + β1×건강수준 + β2×인구사회경제수준 + β3×사회관계망

Model 4 log (P/(1-P)) = β0 + β1×건강수준 + β2×인구사회경제수준 + β3×사회관계망 + β4×건강행태

주: P = 건강하지 않은 상태 1-P = 건강한 상태

<표 3-36>은 건강수준(health status), 건강행태(health behavior), 그리고 사회관계망에 관련된 더미변수들을 건강노인 집단, 허약노인 집 단, 장애노인 집단으로 나누어 교차분석을 한 결과이며 통계적 유의도는 카이제곱 검증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비만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 게 나타났으며, 요인별 집단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허약노인과 장애노인의 만성질환수가 3개 이상인 비율이 각각 65.4%, 72.0%로 건강노인에 비해 상당히 높고, 복용약 수의 경우에는 건 강집단에서 복용약 없음이 약 17%에 달해, 허약과 장애집단에 비해 2~3 배 높았다. 비만의 경우, BMI 25 이상의 비율은 세 집단에서 유사하게 나 타났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다. 또한 우울증상이 없는 비율, 현재흡연 비율과 과다음주 비율은 모두 건강노인, 허약노인, 장애 노인 순으로 높았는데, 금연비율은 허약노인에서 가장 높았다. 과다수면 의 경우, 장애노인이 가장 높았다. 장애노인은 비운동 비율과 사회관계망 에서 매일 접촉하지 않는 비율이 세 집단 중 가장 높았다.

〈표 3-36〉 노인 집단별 건강관련 요인 빈도분석

가. 건강집단

건강노인집단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 하고자 사용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의 <표 3-37>에서 승산비(odds ratio)로 제시하였다. 모형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모형 계수 전체테스트(omnibus test of model coefficients)결과, 네 가지 의 모형(Model 1~ Model 4) 모두 상수항만 포함한 모형(null model)에 비해 p< .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수준에 관련된 변수들은 모든 모형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 의미함을 보여준다. 이는 인구사회경제학적인 변수, 사회관계망, 건강행 태 변수들의 통제를 받는 경우에도 이들 변수가 각각 독립적으로 유의미 하게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만성질 환이 있는 경우는 없는 경우보다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만성질환의 수가 많은 노인일수록 만성질환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에 대해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커짐을 알 수 있다. 구체 적으로 살펴보면, 만성질환수가 1개인 경우는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나쁜 건강상태가 될 승산(odds)이 약 2.4배 증가하고 만성질환수가 2개 인 경우는 약 4.2~4.5배 증가하며 만성질환수가 3개 이상인 경우는 약 10.8~11.6배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유사한 논리로 복용약이 없는 경우에 비해 복용약이 있는 경우 주관적 으로 인지하는 부정적인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복용 약 의 수가 1개인 집단보다는 2개, 3개 이상인 집단일수록 영향력의 수준이 큼을 알 수 있다. 신체활동의 장애가 클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부정적이 며 우울감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건

강상태가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단, 비만일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 다 오히려 주관적으로 건강하게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타 주관적으로 인지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수 요인들은 연령(80세 이상)과 부부의 가구형태, 자녀동거의 가구형태, 소득수준 3분 위 이상, 사회관계망, 과다수면 및 수면부족, 과다음주, 그리고 운동이다.

이중 주관적으로 나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독거의 가구 형태에 비해 부부동거나 자녀동거의 가구형태, 과다수면 및 수면부족인 경우이다. 반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긍정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들은 65~69세의 연령에 비해 80세 이상의 연령, 소득수준 1분위 에 비해 소득수준 3분위 이상의 소득, 매일 접촉하는 사회적 관계망이 있 는 것, 과다음주, 운동으로 나타났다.

〈표 3-37〉 건강집단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변수간 관계 로지스틱 회귀분석 특성 model1 Exp(B) model2 Exp(B) model3 Exp(B) model4 Exp(B) 만성질환 수

1개 2.403*** 2.401*** 2.397*** 2.361***

2개 4.482*** 4.243*** 4.288*** 4.278***

3개이상 11.577*** 10.755*** 10.879*** 10.765***

복용약 수    

1개 1.327 1.439* 1.444* 1.478**

2개 1.653** 1.843*** 1.830*** 1.859***

3개이상 2.567*** 2.935*** 2.922*** 2.973***

신체활동 장애 수준* 1.371*** 1.409*** 1.408*** 1.391***

비만(BMI25이상) .784*** .751*** .752*** .764***

우울 1.939*** 1.888*** 1.884*** 1.821***

남성 1.062 1.056 1.159

연령    

70~74세 .969 .963 .970

75~79세 .883 .892 .875

80~84세 .570*** .576*** .567***

85세이상 .380*** .375*** .358***

주: 유의수준 *p<.05, **p<.01, ***p<.001

나. 허약(IADL 제한)집단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에서만 제한이 있는 허약노인집단에 서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사용한 이 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의 <표 3-38>에서 승산비(odds

ra-특성 model1 Exp(B) model2 Exp(B) model3 Exp(B) model4 Exp(B)

기혼 1.271 1.283 1.247

가구형태    

tio)로 제시하였다. 모형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모형계수 전체테스트 (omnibus test of model coefficients)결과 모든 모형(Model 1~

Model 4)이 상수항만 포함한 모형(null model)에 비해 p< .001 수준에 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노인집단과 비교하여 허약집단은 건강수준에 관련된 변수들 중에 서도 만성질환 3개 이상인 경우, 복용약이 3개 이상인 경우, 신체활동의 장애 수준이 높은 경우, 우울은 모든 모형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에 있어서 비슷한 크기의 영향력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구사회경제학적인 변수, 사회관계망, 건강 행태 변수들의 통제를 받는 경우에도 이들 변수가 각각 독립적으로 유의 미하게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건강수준에 해당하는 변수 중에는 만성질환의 수가 3개 이 상인 경우는 모든 모형(Model 1~ Model 4) 에서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보다 나쁜 건강상태가 될 승산(odds)이 약 6~9배 증가하며 복용약이 없 는 경우에 비해 복용약이 3개 이상이 있는 경우 나쁜 건강상태가 될 승산

구체적으로 건강수준에 해당하는 변수 중에는 만성질환의 수가 3개 이 상인 경우는 모든 모형(Model 1~ Model 4) 에서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보다 나쁜 건강상태가 될 승산(odds)이 약 6~9배 증가하며 복용약이 없 는 경우에 비해 복용약이 3개 이상이 있는 경우 나쁜 건강상태가 될 승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