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8-166)

첫째, 병원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측정도구는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7개 영역의 잡 크래프팅을 측정할 수 있게 도출되었으나, 간호직무 가치추구 부분의 영역의 문항이 다소 많이 구성되었다. 이는 간호사의 직무 정체성 재인식을 위해서는 인지적인 요소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으나, 요인 별로 문항수가 고 르지 않으므로 추후 도구의 정련화 과정에서 이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둘째, J도(S시), G광역시 소재 4개의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의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으므로, 다양한 지역 및 형태의 병원간호사들을 대상로부터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를 시도 해 볼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도구의 신뢰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도구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검 사-재검사 신뢰도 등의 반복 연구를 실시해 볼 것을 권장한다.

넷째, 본 도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이므로, 책임 간호사 이상의 간호 관리자의 잡 크래프팅을 측정하고 판단하는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다섯째, 추후 도구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잡 크래프팅 정도가 높다고 인정 되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 간에 비교해보고, 구체적으로 잡 크래프팅을 어떤 방 법으로 적용시키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질적연구가 필요하다. .

참고문헌

강정미(2018).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아동간호사의 직무열의 구조모형

. 고신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부산

강재완, 이형룡(2016). 호텔 고객 접점 직원의 직무 크래프팅과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에 관한 구조적 영향 관계–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0

(4)

,

149-163.

강현철(2013).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대한간호학회지, 43

(5), 587-594 강혜선, 서배배, 구자숙(2015). 잡 크래프팅의 선행요인과 일 관련 결과에 대하여.

노동

정책연구, 15

(3), 29-61.

강혜원(2010).

직무창조와 역할지각, 직무특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 적요인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희정(2018).

교원들의 잡 크래프팅 수준 및 전략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수원.

고유경(2009). 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역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연구, 17

(3)

,

227-236.

근소우, 권인수(2017). 잡 크래프팅. -선행요인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 적자원개발연구, 20

(1)

.

95-123.

김그네(2013).

직무특성과 자율적 직무재조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미란(2007).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행정학회 지, 13

(3)

,

335-344.

김문실, 권경자, 김정아, 김지현, 김효정, 노현경, 윤희상, 이지아 등(2011).

알기쉬운 연 구방법론

. 서울:정담미디어

김문정, 김소희(2016). 일 지역 대학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과 직업가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1),

67-77.

김원표 (2006).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 서울; 사회와 통계

김인숙, 서유빈, 김복남, 민아린(2015).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1

(1), 394-401.

김인경(2018). 간호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직무 재창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김유경, 이혜진, 박형인(2018). 직장인의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의 관계: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와 잡 크래프팅과 결혼 연구 및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1

(1)

,

249-279.

김성용, 안성익(2017). 자기주도 실무설계(Job Crafting)행위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 규 명; 직무설계 개별화 및 자가결정이론관점을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31

(4)

.

271-307.

김정화, 이정섭(2013). 임상간호사이 인간관계 갈등.

질적연구, 14

(1)

,

70-80.

김한별(2015).

IT서비스 환경에서의 잡 크래프팅의 선행변수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 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현철, 김해룡(2016).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16

(8)

.

1331-1357.

김혜원, 유재은, 우정희(2017). 직업군인이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직무스트레스, 스트레 스 대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5

(1)

,

30-36.

김창호, 심원술(2012). 리더의 진실성이 부하의 장인적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

(1), 131-162.

권나영, 김민수, 오인수(2016). 직무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개선과 일 열의의 개인내-개인간 다수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9(4),

573-590.

권혜경, 김신향, 박시현(2017).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3

(1), 100-109.

동아일보(2017년 12월 28일) 보도자료: 교육부 전국 초중고생 진로교육 설문조사: 다양 해진 ‘희망 직업’ 높아진 ‘창업관심’. (2018년5월10일 검색). Retrieved from http://news.donga. com/3/all/20171228/87930233/1

문유희(2017).

잡 크래프팅을 통한 일의 의미 찾기.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 전북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민순, 김혜숙, 하윤주, 김은아, 김희영, 김혜정, 김영자(2011). 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 스와 직무만족,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 지, 24

(1), 1-21.

박래효(2017). 긍정심리자본의 결정요인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진정성 리더십과 자기

주도적 직무수행태도 및 조직동일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업교육과인재연 구, 19

(1)

,

95-123.

박민향(2002). 종합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실태와 관리방안, 한국빅정부학보, 6(2), 45-76.

박주영, 우정희(2018).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일의 의미, 소명의식이 직무배태성 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

(7)

,

105-115.

박한규, 이찬(2015). 대기업 근로자의 직무 재창조와 개인 및 팀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

한국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2015

(1), 4.

배병렬(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백수진(2016).

직무재창조(Job Crafting)행동, 직무열의, 변화지향행동 간의 구조적 관 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병원간호사회(2014). 병원간호사 관련 사업보고서.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서울.

병원간호사회(2016). 병원간호사 관련 사업보고서.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 서울.

서아림, 정예슬, 손영우(2018). 잡크래프팅과 과업정체성이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밎 조직, 31

(1), 149-173.

손유림, 김은하(2018). 간호간병통합병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역할갈등이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

(7)

,

463-473.

서문경애, 장성옥, 조경희, 김인아, 이수정(2006). 가호사의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2

(1), 151-158.

송지준(2014)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개정2판, 서울; 21세 기사.

서재현(2015). 일의 의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 재창조, 자부심, 조화열정을 중심으로,

HRD연구, 17(

4)

,

47-76.

손현미, 성경미(2017). 병원 간호사의 의료진 간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

(12)

,

300-309.

신인용(2015). 개인, 직무, 관계 측면에서의 결정요인이 직무 크래프팅에 미치는 주효 과 및 상호작용효과,

한국기업경영학회, 22

(5), 107-125.

장경원, 고수일(2018). 진로직상상담교사의 직무재창조 수준과 방법,

역량개발학습연구,

13

(1)

,

1-25.

장금성(2000).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서울.

정민(2017). 간호사의 내재적 동기부여,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

(11), 594-601.

정복례, 한지영(2014). 호스피스 간호사의 직무만족 관련 영향 요인: 감정노동과 소진 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0(3),

323-332.

정주호(2010년 9월 29일).

연합뉴스: 간호사 10명중 7명 직무에 불만족.

(2018년5월10일 검색). Retrived from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

mid=sec&sid1=102&oid=001&aid=0004675788

조남옥, 홍여신, 김현숙(2001). 간호사의 인간관계 갈등과 의사소통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7

(2), 369-378.

조주연, 김명소(2015). 직무의미창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생애학회지, 5

(3), 29-46.

지성애, 유형숙(2001). 간호전문직 자율성의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1(5),

781-792.

이건정, 황성우(2015) 재취업 간호사의 이직 실태 분석.

건강과 간호. 27

(1)

.

35-49.

이경희, 신수진(2013). 한국의 도구개발 간호연구에서의 타당도에 대한 고찰.

대한간호 학회지, 43

(6)

,

697-703.

이미영, 김계하(2012). 수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 스트 레스 및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간 호행정학회지, 18

(2)

,

166-175.

이명선, 김원옥, 김덕희, 고문희, 이경숙, 김증임(2003). 병원간호사들의 이직 결정과정.

성인간호학회지, 15

(4)

,

531-541.

이상영, 양해술(2017) 리더십스타일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잡 크래프팅 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2

(10), 167-177.

이성화, 고성훈, 문태원(2016). 조직구성원에게 인식된 조직의 미덕이 직무성과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 연구, 35

(5), 81-108.

이병숙, 어용숙, 이미애(2018).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지, 48

(1)

,

12-25.

이승희, 박주영, 이정민, 신은혜, 박정미, 노성배(2016). 간호사의 조직몰입도와 긍정심리 자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

(6)

,

335-345.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인숙, 김종임, 배정이, 이선미(2009).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서울: 수문사.

이정원(2017).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잡 크래프팅, 애착,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 향:-프랜차이즈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이지윤, 박소영(2016).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동료의 지지가 환자 돌봄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2(5), 461-470.

이현응(2017).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

(10)

,

611-623.

이현응, 정강욱(2018). 잡 크래프팅과 직장에서의 심리적 안녕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역량개발학습연구, 13

(2), 85-109.

임명기(2013). Job Crafting, 일이 즐거워지는 변화.

삼성경제연구소

,

SERI 경영노트, 179.

1-10.

임명기, 하유진, 오동준, 손영우(2014).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의 타당화 연구.

기업 경영연구, 21

(4)

,

181-206.

오숙희, 문승태, 강희순(2011). 병원 간호조직의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

(1)

,

65-73.

오현아, 정재삼(2017). 진성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긍 정심리자본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8

(4)

,

21-60.

임수원, 최애경, 전지현(2017). 상사의 동기부여언어와 부하 직원의 잡 크래프팅간의 관계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9

(3), 157-184.

윤정원, 박영숙(2013).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 예측모형,

계명간호과학,

35-50.

윤선화, 김해룡(2016).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신뢰와 장인적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016

(8)

,

1358-1388.

윤수진(2018).

직무의미창조 척도의 타당도 비교연구: JCQ-K와 JCS-K를 중심으로

.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아산.

탁진국(2014).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최성재(2005).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파주: 나남출판.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4).

간호사 활동현황 실태조사

. Retrieved from https://www.khidi.or.kr 한경선(2015).

중소병원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및 직무스트레스

. 남부대학

교 보건경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광주.

한유진(2015).

직무의미창조(Job crafting)의 예측변인 탐색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모형

검증.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아산.

한상숙, 이상철(2010).

간호 보건 통계분석 SPSS PASW 활용

. 서울: 포널스출판사.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방법과 그 근거.

한국임상심리학회.

19

(1)

,

161-177.

홍지연(2007).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경력특성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허정, 이희천(2015). 의료관광사업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 향 -임상간호사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30

(3), 367-387.

현미숙(2017).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 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Ashford, S. J., Rothbard, N. P., Piderit, S. K., & Dutton, J. E. (1998). Out on a limb: The role of context and impression management in selling gender-equity issu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3

(1)

,

23-57.

Avolio, B. J. & Gardner, W. L. (2005).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root of positive forms of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6

(3), 315-338.

Bakker, A. B. (2018). Job crafting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role of work engagement. 26

(3), 321-331.

Bakker, A. B., & Demerouti, E., Taris, T. W., Schaufeli, W. B., Schreurs, P. (2003).

A multi-group analysis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in four home care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0,

16-38 Bakker, A. B., & Demerouti, E. (2017). Job demands-resources theory: Taking

stock and looking forward.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2

(3)

,

273-285.

Bakker, A. B, Demerouti, E. (2007).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2

(3), 309-32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2), 191-215.

Bateman, T. S., & Crant, J. M. (1993). The proactive compon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A measure and correlates.

Journal of Organization Behavior

14

(2), 103-118.

Berg, J. M., Grant, A. M., & Johnson, B. (2010). When callings are calling:

Crafting work and leisure in pursuit of unanswered occupational callings.

Organization Science, 21

(5)

,

973-994.

Berg, J. M., Dutton, J. E., & Wrzesiewski, A. (2008). What if job crafting and why does it matter.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1-8.

Berg, J. M., Dutton, J. E., & Wrzesiewski, A. (2013). Job crafting and meaningful work,

Purpose and meaning in the workplace,

81-104.

Brenninkmeijer, V., Hekkert-Koning, M. (2015). To craft or not to craft: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ulatory focus, job crafting and work outcomes.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20(2), 147-162.

Breevaart, K., Bakker, A., Hetland, J., Demerouti, E., Olsen, O. K., & Espevik, R.

(2014). Daily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aily employee engage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7

(1), 138-157.

Crant, M. (2000). Proact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ment, 26

(3), 435-462.

Crawford, E. R., LePine, J. A., Rich, B. L. (2010). Linking job demands and resources to employee engagement and burnout: a theoretical extension and meta-analysis te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

(5), 834-848.

Demerouti, E. (2014). Design your own job through job crafting. Euroean

Psycholosist, 19

(4), 237-247.

Demerouti, E., & Cropanzano. (2010). From thought to action: Employee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147-163.

DeVellis, R. F. (2016).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39-199

Duffy, R. D., Douglass, R. P., & Autin, K. L. (2015). The dark side of a calling.

Being called. Secular, sacred, and scientific perspectives 13-25. Retrieved from https://book.goole.co.kr/books

Esteves, T., & Lopes, M. P. (2016). Leading to Crafting: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Perception and Nurses Job Crafting.

Western Journal or Nursing Research, 39

(6)

,

1-21.

Feride, E. B. Arzu, K. J. S, & Rujnan T. (2018).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Behavior of Nurses scale in Terkish.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11(1).

512-522.

Ghitulescu, B. (2006).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USA

Gordon, H. J., Demerouti, E., Pascale, M., Blanc, Le & Bipp, T. (2015). Job crafting and performance of Dutch and American health 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14

(4)

,

192-202. DOI:https://doi;10.1027/1866-5999/a000138.

Grant, A. M. & Ashford, S. J. (2008). The dynamics of proactivity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8,

3-34.

Hackman. J. R. & Oldham, G. R. (1980).

Work Redesign.

Addison-Wesley, Reading.

MA.

Hang-yue. M. Feley. S., & Loi, R. (2005). Work role stressors and turnover intentions: A study fo professional clergy in Hong Kong.

Human Resource Management, 16

(11)

,

2133-2146.

Ilies, R., Morgeson, F. P & Nahrgang, J. D. (2005). Authentic leadership and eudaemonic well-being: Understanding leader-follower outcomes,

The Leadership Quarterly, 16

(3)

,

373-39.

Kaiser, H. E.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

(1)

,

31-36.

Kante, P. (2014). The antecedents of job crafti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b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European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3

(5)

,

113-128.

Karasek Jr, R. A.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2), 285-308.

Kim, G., & Lee, Y. (2016). Towards High Performance Organization: The Impa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U-and

e-Service, Science and Technology, 9

(2), 85-100.

Kim, T., Hon, A. H. Y., & Crant, J. M (2009). Proactive personality, employee creativity, and newcomer outcomes :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4

(1)

,

93-103.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

rd Edition.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Lanthans, E., & Youssef, C. M. (2008).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33(3), 321-349.

Leana, C., Appelbaum, E., Shevehuk, I. (2009). Work process and quality ca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ole of job craft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

(6)

,

1169-1192.

Lepine, J. A., Podsakoff, N. P., & Lepine, M. A. (2005). A meta analytic test of the challenge stressor-hindrance stressor framework: An explanation for inconsistent relationships among stressors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

(5)

,

764-775.

Li, N., Harris, T. B., Boswell, W. R. & Xie, Z. (2011). The role of organizational insiders’ developmental feedback and proactive personality on newcomers’s performance: an inter actionist perspective.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6

(6)

,

1939-1854.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6). 382-385.

Lyons, P. (2008). The crafting of Jobs and Individual Difference, Journal of

Business Psychology, 23

(1-2). 5-26.

Margot van der D., & Maes, S. (1999).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20 years of empirical research,

Work

& Stress, 13

, 287-114.

Marlene, K., & Claudia, S. (2008). The Practice of clinical autonomy in hospitals:

20000 Nurses tell their story. Clinical Care Nurse, 28(6), 58-71.

Mey, D. R., Gilson, R. L., & Harter, L. M. (2004). The psychological conditions of meaningfulness, safety and availability and the engagement of the human spirit at work.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7

(1), 11-37.

Nielsen, K. & Abildgaard, J. S. (201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job crafting measure for use with blue-collar workers.

Work & Stress, 26

(4)

,

365-384.

Parker, S. K., Williams, H. M., & Turner, N. (2006). Modeling the antecedents of proactive behavior a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

(3), 636-652.

Petrou, P., Demerouti, E, Peeters, M. C., Schanfeli, W. B., & Hetland, J. (2012).

Crafting a job on a daily basis: Contextual correlates and the link to work engagement.

Journal of Organitional Behavior, 33

(8)

,

1120-114.

DOI: http://doi:10.1002/Job.1783.

Pierce, J. L., & Rodgers, L. (2004). The psychology of ownership and worker-owner productivity.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29

(5)

,

588-613.

Oldham, G. R., & Hackman J. R. (2010). Not what it was and not what it will be:

The Future of job design research,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1

(2-3), 463-479.

Rudolph, C. W., Katz, L. M., Lavigne, K. N., & Zacher, H. (2017). Job crafting: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 differences,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2

(2017), 112-138.

Shalley, C. E., Gilson, L. L., & Blum, T. C. (2000). Matching creativity requirements and the work environmen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lea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

(2), 21-223.

Shusha, A. (2014).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vidence from Egyptian Medical Centers.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 7

(6), 140-149.

Slemp, G. R., Kern, M. L, & Vella-Bradrick, D. A. (2015). Workplace well-being:

The role of job crafting and autonomy support.

Psychology of Well-Being, 5

(1). 1-17.

Slemp, G. R., & Vella-Bradrick, D. A. (2013).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3(2), 126-146 DOI: http://doi.org/10.5502 /ijw.v3i2.1

Steger, T. (2012). Editorial.

Journal of East European Management Studies, 17

(2),

146-147.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Thompson, J. A. (2005).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5)

,

1011-1017.

Tims, M. & Bakker, A. B. (2010).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36

(2)

,

841-850.

Tims M. Bakker, A. B., & Derks, D.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1),

173-186. DOI:

https://doi:10.1016/j.jvb.2011.05.009.

Tims M. Bakker, A. B., Derks, D., & Rhenen, W. (2013). Job crafting at the team and individual level: Implications for work engagement and performance.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8

(4), 427-454.

Tims, M., Derks, D., & Bakker, A. B. (2016). Job crafting and its relationships with person-job fit and meaningfulness: A three-wave stud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2,

44-53.

van Wingerden, J., Bakker, A. B., & Derks, D. (2016). A test of job demands-resources intervention.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31

(3)

,

686-701.

Wang, H. J., Demerouti, E., & Le Blanc, P. (2017).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daptability, and job crafting: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0(June 2017),

185-195.

DOI: https://doi.org/10.1016/j.jvb.2017.03.009

Wide, G. H. (1999). Professional Nurse Autonomy: Concept Analysis and Application to Nursing Education.

J of Adv Nurs, 30

(2), 310-318.

Wrzesniewski, A. & Dutton, J. E. (2001).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

(2)

, 1

79-201.

Wrzesniewski, A., Dutton, J. E., & Debebe (2003). Interpersonal sensemaking and the meaning of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5

(1), 93-135.

<부록 1>. 기존도구 및 선행연구 분류

영역 하위영역 구성요인 기존도구/선행연구

인지적

영역 인식 전환

일의 성과 변경하기

⦁나는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조직의 성공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1

⦁나는 나의 흥미나 능력에 맞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1

⦁나는 마음먹기에 따라 내가 하는 일의 품질이 달라질 것이다.2

⦁나는 마음먹기에 따라 내가 하는 일의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2

⦁나는 마음먹기에 따라 내가 하는 일의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2

⦁내 일의 결과가 사회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보람과 자부심을 가지려고 한다.6

⦁내가 하는 일이 많은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좀 더 행복하게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려고 한다.6

⦁나의 직무성과가 다른 사람들의 삶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생각을 하려고 한다.6

⦁내가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그 혜택을 받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한다.7

⦁나의 업무가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생각한다.7

일의 의미 변경하기

⦁나는 현재 하고 있는 일이 나의 인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1

⦁나는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우리 사회의 발전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1

⦁나는 현재 하고 있는 일이 나의 행복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1

⦁내가 마음먹기에 따라 내가 하는 일의 보람과 가치는 달라질 수 있다2

⦁내 직업은 나의 성장과 자아실현을 돕고 내 삶의 가치를 높여주는 것으로 생각하려고 한다.6

⦁다른 사람의 평가와 상관없이 내 직무가 소중하고 가치 있다고 생각하려고 한다.6

⦁내 직업을 소명으로 생각하고 일을 ‘삶의 목적을 실현하는 것’으로 생각하려고 한다.6

⦁내 직무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이 있어도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즐겁게 일 하려고 노력한다.6

⦁내 직업의 부정적 측면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7

⦁자신의 과업이 자신 이외에 타인이나 사회에 기여를 하고 중요하다고 느끼는 작업 의미감을 경험하게 되면 구성원들은 자신의 과업 또는 관계의 영역에서 의미있는 방식을 시도하게 된다(한유진, 2015)

일의 목적 변경하기

⦁나는 현재 하고 있는 일이 나의 생애 목적 실현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1

⦁내 직무의 궁극적인 목표와 가치에 대해 명확히 알려고 노력한다.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8-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