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항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1)

B.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1) 문항분석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의 각 문항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각 문항과 전체 문항과의 상관계수(corrected item and total correlation coefficient)를 검토하였다. 개발한 도구의 평균값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문항과 표

준편차가 매우 작은 문항은 변별력을 떨어뜨리므로(탁진국, 2014), 이에 해당하는 문 항을 확인하였다. 또한 왜도와 첨도의 표준화값(Z-score)의 절대값이 왜도의 경우 3.0보다 크거나 첨도의 경우 8.0보다 크면 심각한 편중의 문제가 있다고 봄으로 (Kline, 2010), 왜도와 첨도의 값을 확인하여 문항 별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각 문항과 전체 문항과의 상관계수가 .30이상이면서 .80미만인 문항만을 선정기준으로 하였다(Tabachnick & Fidell, 2007)

(2) 요인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은 도구의 근본적인 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행하며, 확인적 요인분석은 예측된 요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Tabachnick & Fidell, 2007). 탐색적 요인분석 전, 표준 형성적절성 (Kaiser-Myer-Olkin[KMO])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증(Bartlett’s test of sphericity) 으로 수집된 자료가 적합한지를 확인 후, Varimax 회전에 의한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으로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에서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 절대적합지수와 상대적 적합지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인 경우 기존 도구들의 문항들 을 수정하고, 우리나라 병원간호사들의 직무와 관련된 특수성이 반영될 수 있는 문 항들을 추가한것을 고려하였을 때, 상호보완적 방법으로서 동일 대상자로 탐색적 요 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Tabachnick & Fidell, 2007).

(3) 문항의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

집중타당도는 잠재변수를 측정하는 관측 변수들의 일치성 정도를 나타낸다. 측정 항목들이 구성개념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였다면 높은 상관성이 있고, 이럴 경우 집 중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표준분산추출(Averaged Variance Extracted [AVE])값과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값이 각각 .5 과 .7이상이면 집중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배병렬, 2014). 판별타당도는 서로 다른 잠재 변수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이며, 잠재변수 간의 낮은 상관을 보인다 면 판별타당도가 있는 것이며, 잠재 변수 간 높은 상관을 보인다면 두 구성 개념간 의 차별성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판별타당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배병렬,

2014). 판별타당도 검증은 표준분산추출(AVE)와 요인들 간의 상관계수 제곱과의 관 계에서 표주분산추출 값이 요인들 간의 상관계수 제곱 값 보다 큰 경우, 판별타당도 가 있다고 판단한다.

2) 개발된 도구의 준거타당도 검증

준거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는 새로 개발한 측정도구의 측정결과와 연구 자가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기존의 다른 측정도구의 측정결과 사이에 상관관계 가 높은 경우 개발한 측정도구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최성재, 2005). 그 중 동시 타당도는 기존의 타당도를 보장받고 있는 검사와의 유사 성 혹은 연관성에 의해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준거 도구 선정에 앞서 병원간 호사대상 잡 크래프팅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병원 간호사 대상의 잡 크 래프팅 관련 유사 측정도구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을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인용 정도(현미숙, 2017, 김인경)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의 항목이 기존 측정도구를 수정하고 새롭게 추가된 문항들로 보완 되어 이루어져 있는 점, 구성개념이 인지적, 업무적, 관계적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 공통점을 고려하여 한국형 잡 크래프팅 소명척도(JCQ-K) 준거도구로 선정하여, 예 비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3)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 검증

신뢰도(Reliability)는 특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값의 일관성을 의미한다.

어떤 도구를 통해 반복적으로 측정한 결과가 일정하다면 그 결과는 안정적인 결과로 예측이 가능하고 정확하다. 이런 때 측정 도구는 신뢰도가 높다고 한다(이은옥 등, 2009). 신뢰도 측정방법에는 재조사범, 반분법, 내적 일관성법 등이 있는데, 본 연구 에서는 문항 간 내적 일관성법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하였다. 내적 일관성법이란 문항 상호간의 일관성 정도를 가지고 신뢰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요인을 측 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문항을 측정한 후 신뢰도를 저해하는 문항을 찾아내어 측정 도구에서 제외시키는 방법으로 문항 간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각 요인의 문항과 전 체문항의 Cronbach’s α값으로 분석하였다. 신뢰도 계수의 범위는 0에서 1사이의 값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 AMO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백분율과 빈도, 평균과 표준 편차로 산출하였다.

2. 본 연구의 내용 타당도는 전문가 타당도를 이용하여 내용타당도지수(CVI)을 산 출하였다

3. 본 도구의 구성 타당도는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확 인하였다.

1) 본 연구도구의 예비문항에 대한 왜도, 첨도값을 산출하였고, 문항분석을 실시 하여 문항-총점 상관계수가 0.3이상인 문항을 선정하였다.

2)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적절한 자료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KMO와 Bartlett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