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Ⅵ. 결론 및 제언

2. 제언

응급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 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응급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2)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응급실 환경에 맞는 임종간호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3) 응급실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가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강광순(2000). 간호대학생의 죽음 및 호스피스 대한 태도 연구.

간호학논집. 5

(1), 187-202.

김미애(2006).

성인의 영적건강, 삶의 질, 생활양식과 관련된 죽음인식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중호(2003).

의학윤리란 무엇인가.

서울 : 바오로딸.

김정남, 송미옥(2003).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 상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보건 간호학회지. 17

(2). 255-265.

김주희, 전정자, 김분한(1992). 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임종환자 이해와 죽음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

4

(1), 5-16.

강은실, 송희완, 서영애(1996). 병원직원들의 임종 및 호스피스에 대한 태도 조사연 구.

정신간호학회지

,

7

(1).60-80.

강성례(2000).

임상간호사의 임종환자 간호체험.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김연희(2001). 말기 암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부담감과 태도 연구.

종양간호학회지, 1

(1),65-74.

김분한, 김홍규, 탁영란(1997). 죽음에 대한 호스피스 교육의 효과 측정.

간호발전연 구소지, 9

(3), 60-65.

김성은(2010).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에 관 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수원.

김현(2005).

말기암환자 가족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원광대학교 대학 원 석사논문, 익산.

김현민(2002).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수원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수원.

노선숙(2010).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및 임종간호 수 행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류현주(2007).

간호사의 영적건강, 정신건강, 죽음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한 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연옥(2004).

암 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용주(2004).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 조사연구

. 대전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전.

이소라(2003).

말기암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과 우울.

아주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수원.

이현주(2003).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연구.

서울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어단연(2010).

간호사의 죽음 불안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윤연애(2010).

임상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 경북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구.

이현주(2002).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연구

.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 문, 부산.

이명선(2003). 임종환자를 돌보는 병원 간호사들의 경험 : 감정에 충실하면서 자신 추스르기,

대한간호학회지

,

33

(5), 553-561.

이경미(2003).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 만족도 관계

. 전남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광주.

유준희(2007).

응급실에 내원한 말기암환자의 죽음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한양대 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조혜진(2005). 간호사의 호스피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석사학위논문, 경상대 학교, 진주.

지경애(2003). 간호사의 영적건강, 정신건강, 죽음의식이 호스피스 태도에 미치는 영 향

, 정신간호학회지, 14

(3)

, 258-291.

전영기(2000).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전.

전미희(2008).

응급실 &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최애신(2003).

신규간호사의 임종간호 체험.

관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강릉.

차영례(2006).

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도 연구

.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익산.

최영이(2008).

노인의 죽음인식 및 죽음준비에 관한 연구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정현숙(2010).

일개지역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 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Frommelt K. H. M. (2003).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terminally ill: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m J Hosp Palliat Care. 20

, 13-22.

Frommelt,K.H.M.(1991).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on Nurse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8

(5), 37-43.

Lynn. J., Teno, J. M., & Philips, R. S. (1997). Perceptions by family members of the dying experience and seriously ill patients.

Ann Intern Med, 126

(2), 97-879.

Mallory, J. I. (2003).

The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al component on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Carolina.

Roota, L. A, Clements R., & Jordan, M. L. (1999). Nurses'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 Nurs Forum, 26

(10), 1683- 1687.

Stewart, A E., Lord J. H., & Meecer, D. L. (2000). A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and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Death study

,

24

(7), 611-613.

Newton, J, & Waters, V. (2001). Community palliative care clinical nurse specialists, descriptions of stress in their work.

Int J Palliat Nurs. 7

, 531-540.

Sasahara, T, Miyashita, M, Kawa, M, & Kazuma K. Difficulties encountered by nurses in the care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in Japan.

Palliat Med. 17

, 520-526.

Kozier, B., Eer, G., Berman, A. J. & Burke K. (2000). Fundamentals of Nursing (6th ed). Addisonwesley: Califonia.

[ 부록 : 설문지 ]

안녕하십니까?

저는 아주대학교 일반간호대학원에서 석사과정에 재학 중으로 현재 응급 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에 관한 주제로 연구를 하고 자 합니다.

선생님께서 주시는 답변은 응급실에서의 임종간호에 있어서 응급실간호 사의 역할과 대처능력 향상 방안을 담은 간호실무 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 료가 됩니다.

부디, 설문을 위한 내용을 끝까지 솔직하게 응답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본 설문응답을 통해 수집된 자료의 모든 사항은 컴퓨터를 통해 무기명으 로 통계 처리되므로 절대 비밀과 오직 논문 연구 자료로만 사용됨을 약속드 리며, 어떠한 조건 없이 귀하가 원할 때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귀중한 시간과 소중한 의견을 주신 점에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립니다.

2011년 3월

지도교수 : 유 문 숙 올림 연 구 자 : 조 영 자 올림

■ 다음문항을 읽고 해당 사항에 V표 하십시오.

I.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__남 2)__여

2. 연령은 몇 세입니까?

___세

3. 종교는 무엇입니까?

1)__ 불교 2) __ 기독교 3) __천주교 4) __없음 5) __기타

4. 최종 학력은 무엇입니까?

1)__전문대졸 2)__학사 졸 3)__석사과정 및 석사 졸 4)__박사과정 및 박사 졸

5. 총 임상 근무 경력은 얼마입니까?

___년 ___개월

6.응급실에서의 근무 경력은 얼마입니까?

___년 ___개월

7. 결혼 상태는 무엇입니까?

1)__미혼 2)__기혼 3)__ 기타

8. 친부모님 생존 여부?

1)__부모님 살아계심 2)__어머님만 살아계심 3)__아버님만 살아계심

9. 귀하는 삶의 만족하십니까?

1)__대단히 만족한다 2)__만족한다 3)__보통이다 4)__불만족이다 5)__대단히 불만족이다

10. 귀하는 직무에 만족하십니까?

1)__대단히 만족한다 2)__만족한다 3)__보통이다 4)__불만족이다 5)__대단히 불만족이다

11. 귀하의 현재까지의 임종환자 간호 경험이 몇 회나 있습니까?

1)__5회 미만 2)__5~10회 미만 3)__10~15회 미만 4)__15회 이상

12. 귀하의 임종관련 간호교육을 얼마나 받았습니까?

1)__없음 2)__있다

13. 귀하의 죽음인식에 가장 영향을 끼친 요인은 무엇입니까? (1가지만) 1)__환자의 죽음 2)__특별한 책이나 영화, TV 등

3)__나의 건강 혹은 신체적 질환 4)__종교적 교육

5)__장례식 등을 통해 6)__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 7)__기타

■ 다음문항을 읽고 해당 사항에 V표 하십시오.

Ⅱ. 응급실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번호 문 항 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 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살아갈 경제력이 없어지면 죽는 편이 낫다.*

2 죽음은 모든 것의 끝이며, 내세 같은 것은 없다고 생각 한다.*

3 나는 인생의 황금기에 갑자기 죽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4 자신의 죽음은 생각하고 싶지 않은 일 중의 하나이다.

5 장례의식이나 추모제 등은 죽은 사람에 대한 예우로 엄숙히 진행되어야 한다.

6

내가 만일 식물인간이 된다면 그 상태로

중환자실에서의 치료는 하지 않도록 평소에 이를 당부해 놓고 싶다.

7 하나밖에 없는 생명을 어떤 신념이나 정의를 위해 바친다는 것은 무모한 일로 생각된다.*

8 사후세계가 있다는 말은 영원히 살고 싶은 인간의 희망에서 나온 환상일 것이다.*

9 자살을 하는 사람은 용기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0 암이나 불치병에 걸린 경우, 가족이나 의사는 그 사실을 본인에게 알리지 않는 것이 좋다.*

11 죽음이니 내세니 하는 것은 여유가 있는 사람들의 잡다한 생각에 불과하다.*

번호 문항 매우

Ⅲ. 임종간호태도

ABSTRACT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Cho Young-cha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Ajou University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guidelines for terminal care in the emergency room. For these purposes, we surveyed 127 emergency nurses working at the emergency rooms of general hospitals with 200 or more beds in Gyeonggi‐do and having 3 months' or longer experience,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1 to April 7, 2011.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with 23 questions developed by Kim Bun-han, Kim Hong-gyu and Tak Yeong-ran (1997)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d another questionnaire with 16 questions based on the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 developed by Frommelt (1991), used by Cho Hye-jin (2004),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7.0.

1. The mean score of the nurses' perception of death was 3.61±0.35 out of 5, and the mean score of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was 2.90±0.31 out of 4.

2. The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wer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r=.471, p<.001).

3. As t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eath according to the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of death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5 years' or longer clinical experience (F=3.53, p=.032).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dea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mergency room experience. That is, the perception of death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5 years' or longer emergency room experience (F=5.37, p=.006).

4. As to difference in terminal care attitude according to the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terminal care attitude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less than 2 years' clinical experience (F=3.62, p=.030). In addition, terminal care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mergency room experience. That is, terminal care attitude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less than 2 years' emergency room experience (F=4.05, p=.020). Moreover, terminal care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That is, terminal care attitude was most positive in nurses satisfied with their job (F=5.73, p=.004).

In conclusion, emergency nurses surveyed in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and their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wa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mo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experience and emergency room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death, and clinical experience, emergency room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Keywords: Emergency nurse,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attitud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