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경기도권에 소재하는 종합병원이상의 응급실 4곳에 근무하고, 응급실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한 응급실 간호사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동의한 간호사 135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중 자료로써 불충분한 8부를 제외한 127부를 연 구에 사용하였다.

3. 연구 도구

1) 죽음에 대한 인식

김분한, 김홍규와 탁영란(1997)이 개발하여 김미애(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40문항을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은 17문항을 뺀 23문항을 사용하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 도구는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마다 ‘매우 그렇다’

에서 5점, ‘전혀 아니다’ 1점의 5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부정적 문항(1, 2, 3, 7, 8, 9, 10, 11, 12, 13, 16, 23)에 대해서는 역산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김미애(2006)의 연구에서 도구의 Cronbach's α=.72이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3이다.

2) 임종간호태도

임종간호태도는 Frommelt(1991)가 개발한 임종간호 태도에 대한 척도(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를 조혜진(2004)의 연구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 20문항을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은 4문항을 뺀 16문항을 사용하였다. 임종간호태도 도구는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마 다 ‘매우 그렇다’ 4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1점의 4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부 정 문항(2, 4, 5, 6, 7, 9, 11, 12, 13)에 대해서는 역산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조혜진(2004)의 연구에서 도구의 Cronbach's α= .94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9이다.

4. 자료 수집 방법

경기도 소재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4곳의 간호부에 연구자가 방문하여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연구 참여를 동의한 응급실 간호사만을 대상 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3월 1일부터 4월 7일까지였으며 135부를 배부하여 전수 회수되었으 며, 그중 불충분한 자료 8부를 제외하고 127부만을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17.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한 구체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를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2) 응급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3)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4)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로 분석하였다.

6.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대상자를 경기도권의 일부 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 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으며, 기존 도구의 신뢰도가 낮 았으며 문항이 주관적일 수 있는 항목이 많아 여러 항목을 수정・보완하게 되어 본 연 구의 결과의 신뢰성에 제한점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