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장애인 적합직무 개발 및 운영사례

3 1 장애인 적합직무 개발 연구

장애인의 고용기회 확대를 위해 장애인 적합 직무 또는 적합 직종을 개발하려 는 연구 사업이 다수 진행된 바 있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1)은 장애유형별 고용대책 연구에서 전‘ ’ 문가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도출된 장애유형별 적합직종을 다음60 , 과 같이 제시하고 있음.

- 지체장애인은 이동 동선이 짧고 앉아서 수행하는 치과기공사 사이버강, 사 톨게이트 요금수납원과 장애인식개선과 관련된 문화재 및 공원관, 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보조교사 등이 적합함, .

- 척수장애인은 중도장애가 많아 당사자 동료의 지지가 매우 중요하므로 재활병원 동료상담가가 적합하고 방송 및 편의시설 모니터링 요원 컴, 퓨터 및 영상 관련 기술자 방과 후 교실 교사 등이 가능함, .

- 뇌병변장애인 역시 자립생활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동료상담 가 자립생활센터 활동가 등이 적합하고 재택근무나 탄력근무가 가능, , 한 컴퓨터 프로그래머나 감수성이 풍부하고 사색적인 경우 문화 예술· · 영상 관련 직종이 가능함.

- 시각장애인은 컴퓨터 활용이 보장되면 행정 사무직도 가능하며 예민한 · 감각을 활용할 수 있는 음향평가사 식음료 맛감별사 창업이 가능한 안, , 마사 등을 할 수 있음.

- 청각장애인은 시각기능에 의존하고 정밀한 작업이 필요한 제품검사원, 부품제작 기계조립 치기공사 목공예사 등이 적합하며 청각장애인 전, , , 문 상담원 통역사 교사 등이 가능함 언어장애인의 적합직종으로는 대, , . 화가 많이 필요하지 않거나 컴퓨터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기록물관리사, 애견미용사 컴퓨터프로그래머 웹디자이너 게이머 요양보호사 물리, , , , , 치료사 등과 창업이 가능한 피부관리사 네일아트 플로리스트 자동차 , , , 전문기술자 광택 연마 등이 제시됨( , ) .

- 지적장애인은 한 장소에 오래 있는 일보다 이동하며 하는 일에 흥미를 느끼므로 공공기관 문서수발 민원인 안내 등과 일상생활에서 수행하는 , 익숙한 업무인 청소 식기세척 영화관 , , 3D 안경 닦기 등이 가능하고 자, 폐성장애인은 암기력을 활용하는 도서관 보조 우편 분류 업무를 하거, 나 혼자서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세탁 및 다림질 문서파쇄 손으로 , , 하는 포장 업무 등을 제안함.

- 정신장애인은 규칙적인 생활을 할 수 있고 체력 부담이 적은 공공기관 사무보조원이나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적은 기계조작 조립원 등이 , 가능하고 내부장애인은 이동이 적고 자리에 앉아서 업무를 하거나 근, 무환경이 쾌적하며 시간제근무 재택근무 등이 가능한 직종이 적합한 , 것으로 판단함.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1994년부터 취업이 어려운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직 업영역 개발사업을 시행해오고 있음.

- 2011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적 자폐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서보, 조 사무보조 환경미화 식당보조 의료기기소독 및 포장 인형극배우 , , , , , 직종을 발굴하였고 뇌병변 언어 지체 전신마비 척수장애인을 대상으, , , ,

로 스포츠심판 원격 컴퓨터강사 금융기관 고객상담직과 무인현금기e , ,

한편 김언아, (2004)는 장애인공무원 직무특성과 고용실태 연구 에서 다양한 ‘ ’ 직렬의 장애인공무원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한 직무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 대로 장애특성별 공무원 직무수행 구성요인을 제안하였음.

- 보고서에 따르면 사무 행정 업무 중심인 일반직은 의사소통능력 장비 · , 및 도구 사용 여부 출장 및 이동이 장애인의 직무선정에 중요한 요인이, 며 기능직은 여기에 장비사용 손 시각 능력이 추가됨, ( / ) .

- 한편 장애인공무원 , 1,4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 공무원 적합 직무를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음.

장애유형 적합직무

상지지체장애 다양한 사무 행정 민원 언어적 서비스 업무· , ,

하지지체장애 다양한 사무 행정 민원 전산 및 컴퓨터 활용 세무 관련 업무· , , , 시각장애 속기사 전화교환 민원 업무, ,

청각 언어장애· 민원 전산 및 컴퓨터 활용 시설 및 청사관리 업무, , 정신장애 환경미화 민원 사무보조 등, ,

지적장애 환경미화 시설관리 사무보조 등, , 자료 김언아: (2004), 장애인공무원 직무특성과 고용실태 연구 표 3-8 장애인공무원 적합직무

3 3 공공부문 장애인 일자리 창출 사례

2000년부터 정부부문 공무원에 대하여 의무고용률이 적용되기 시작하였고, 중증장애인공무원 특별채용제도 도입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정부부문 장애인공무원 비율은 민간기업에 비해 여전히 낮은 실정임.

- 이러한 상황을 범정부적으로 개선하고자 정부는 2010년 11월 국무회 의에서 중증장애인 중 정신적 장애인의 고용을 확대하기로 하고 고용, 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등 개 부처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 3 을 시행하기로 하였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1)의 정부부문 정신적 장애인 고용창출 ‘ 프로젝트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사업보고서- · · ’ 에 따르면 시범사업 대상인 개 부처의 산하기관 중 정신적 장애인의 고용 가, 3

능성이 높은 기관의 직무환경을 분석하고 이들이 수행 가능한 직무를 발굴하 여 배치하였음.

- 고용노동부는 대민 서비스 기관인 고용센터가 수행하는 업무에 단순 사 무업무가 다수 포함되므로 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 정신장애인이 , , , 가능한 직무로 고용센터의 우편물관리 청사안내 단순데이터입력 구, , ( 직표 재취업활동 일용직근태입력 업무와 고용노동부의 자료실 사서, , ) 업무 보조를 발굴하였음.

-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중앙도서관과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극장, , 국립예술종합대학 국립민속박물관의 도서관 사서보조 환경 정리 및 , , 물품관리 방문객 안내 및 질서유지 식당 식자재 세척 및 관리 업무를 , , 발굴 배치하였음· .

- 보건복지부는 국립재활원의 사무보조 의료기구 소독 및 포장 방문객 , , 안내 업무와 국립서울병원의 병원 식당 보조 업무에 지적장애인 자폐, 성장애인 정신장애인을 배치하였음, .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서울특별시 교육청과 장애인고용증진협약을 체결하 고 장애학생의 진로 직업교육과 고용연계 프로그램인 커리어점프 희망일자· ‘ 리 프로그램 을 추진한 바 있음’ .

- 공단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실질적인 후속조치를 위해 지적 자폐성장· 애 학생을 대상으로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시‘ ’ 범사업을 추진하였음.

- 그 중 하나로 지적 자폐성장애 학생의 학교 내 고용가능 직무로 우편물 · 분류 및 배송 사무 행정보조 등 , · 19종을 발굴하였음 시범사업 결과 이 . 중 교무보조 기사보조 사서보조 식당보조 등 개 직무에서 직무적응, , , 4 가능성이 확인되었음.

고용개발원의 2010년 사례집을 통해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에 채용된 중증 장애인의 사례를 장애유형별로 확인할 수 있음.

- 지체장애는 장애인 특별채용으로 인천관광공사에 최종합격해 기획예 산팀 정보관리사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지체 급 장애인 언론과 장애1 , 인단체의 도움으로 경상대학교병원 입사 시험 기회를 잡아 당당히 합격 한 지체 급 장애인 사례가 있음1 .

- 제주대학교병원 원무과 전화상담원으로 근무하는 지체 급 장애인과 백2 화점 방송실 및 콜센터 상담원으로 일했던 경험을 살려 대구교통방송에 입사해 국내 최초 중증장애인 교통리포터 가 된 지체 급 장애인 사례‘ ’ 2 도 있음.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3)‘2013 중증장애인 취업지원서비스 우수사례 집 에서도 장애인의 공공부문 취업사례가 확인됨’ .

- 경남 창원시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공단과 장애인고용증진 협약 을 체결한 후 126명의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해 우수사례공모전에서 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음 창원시의 장애인 일자리 창출사례로는 장애. 인전용 주차단속 도우미 주민센터 산불감시원 주민센터 행정도우미, , , 장애인복지시설 취업지원 등이 있음.

- 이 외에도 장애인고용공단의 서울지사는 지자체와 연계하여 다양한 공 공근로 사업 중 도심 소공원관리 직무에 지적 자폐성 정신장애인이 일· · 할 수 있도록 추진한 사례도 있음.

그러나 이상에서 소개한 적합직무 및 운영사례는 취업이 어려운 정신장애 대 상 업무가 많고 단순노동이나 보조업무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어 서울시 공무, 원의 업무에 참고하기에는 한계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