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장애인공무원 인사관리의 향후 과제

장애인공무원들은 공무원 시험을 통해 채용되었기 때문에 직무능력에서 비장 애인과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움 또한 보조기기와 같이 적절한 지원만 이루. 어진다면 장애인이 서울시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데 문제가 없음.

따라서 장애인공무원이 업무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경 력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

3 1 작업여건 개선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확대

- 서울시는 올해부터 장애인공무원 보조기기 지원을 적극적으로 진행하 고 있으나 장애인공무원 설문조사에서 39.5%가 보조기기가 충분히 지 원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함.

- 불만족하는 이유는 심층인터뷰에서 확인이 가능한데 필요에 따라 적절, 한 보조기기가 지원되지 못한다는 지적임.

- 개인별로 필요한 보조기구에 차이가 있는데 현재는 인터넷으로 서울시, 에서 제공 가능한 보조기구 종류를 제시하고 장애인공무원들은 그 범위 내에서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지 않는 보조기구가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고 함.

근로지원인 지원제도 확대

- 공무원은 법률상 근로자 가 아니라는 이유에서 고용노동부에 실시하“ ” 는 중증장애인 근로지원인 지원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음.

- 심층인터뷰에서도 장애인공무원 처우개선에 관한 특별조례를 만들어 서라도 공무원도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요구가 있었음.

작업환경 개선

- 서울시 직무특성조사 결과 본청과 사업소 모두 휴식공간이 제대로 제, 공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또한 장애인 설문조사에서 .

가 필요할 때 휴식시간을 사용하거나 근로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32.4%

불가능하다고 응답함.

- 장애인은 대부분 체력이 약하기 때문에 초과근무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근무 중에도 휴식시간이 필요함 장애인공무원을 위한 휴식공간. 을 제공하고 탄력시간 근무제나 재택근무 제도의 도입을 적극 검토함, .

3 2 경력관리 지원

교육 훈련 기회 제공 ·

- 장애인공무원 설문조사에서 개인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연수기회 새· , 로운 직무적응에 필요한 지도 훈련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한다는 응답· 이 있었음.

- 특히 42.9%가 새로운 직무를 맡았을 때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했다 고 응답하고 있음 장애인은 업무뿐 아니라 새로운 대인관계나 환경에 .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므로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근무평정 및 승진 시 우대조치

- 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직무배치를 시행하더라도 장애인공무원은 근무 평정과 승진에 유리한 주요 보직에 배치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기 때 문에 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

- 공무원 채용 시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적용하는 것과 같은 취지에서 근 무평정이나 승진 심사 시 일정 비율 장애인을 우대하는 제도가 필요함.

서울시는 이러한 제도를 일부 시행하고 있으나 장애인공무원의 만족도 는 여전히 낮음.

- 설문조사에서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심층인터뷰에서도 , 장애인공무원은 주요 보직에 배치되지 못한다는 불만이 많았음.

장애인공무원의 전문성 강화

- 공무원은 순환보직제로 운영되고 있음 그러나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 장애인공무원은 신규업무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따라서 장애인공무원에게 적합한 전문직종을 지정하여 그 분야의 전문 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

- 장애인공무원이 특정 분야 전문관으로 경력을 쌓아가면 근무평정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문제도 해결될 수 있음.

3 3 장애인 인식개선

각 부서에서 장애인공무원의 전입을 꺼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장애인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시작된 측면이 있음.

서울시 공무원 특히 상급자 대상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함, .

- 심층인터뷰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해당부서 상급자의 태도 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의견이 많았음.

- 따라서 일반직뿐 아니라 팀장 과장급 대상으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장애인공무원의 의식개선 교육도 필요함.

- 일부 장애인공무원의 소극적인 업무태도가 전체 장애인공무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초래하는 측면이 있음.

- 장애인공무원 대상으로 직무관련 교육 훈련을 실시하는 것에 더하여 · 업무태도나 대인관계 기술 등 실무적인 의식개선 교육도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