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작은 공간에서부터 도시, 그리고 유역계 수준까지

문서에서 49687692 2017년 6월호 (페이지 60-64)

모두 포함되기 때문에

성과 측정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Hyun woo Kim (hereafter ‘Kim’) Hello, Dr. Li. Thank you for agreeing to an interview with “Guk-to” magazine,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planning and policy magazines in South Korea. Could you briefly introduce yourself and most interested research themes?

Ming-Han Li (hereafter ‘Li’) My name is Ming-Han Li. Currently, I am a professor in th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My administrative title is Associate Department Head, and I am in charge of Bachelor of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as a coordinator. I also having a title called

“Senior Schob Scholar,” which is equivalent to a professorship that allows me to manage a Schob Nature Preserve, 7.4 Acres, very close to campus. That Preserve is for teaching, research and other activities that you cannot do in the classroom.

My interesting career path will be from my undergraduate, Agricultural Engineering degree, and then my first Master’s degree in Civil Engineering and after my engineering training, for two degrees, I moved on to learn about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My research area is to interface between engineering design and planning to connect and to bridge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with design and planning. Specifically, I am using my knowledge in hydrology and hydrologic for design and planning. So, with that said, it is more about stormwater management, soil

erosion, and water quality research in the built environments.

Kim LID practices and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connect the nature and cities. Your previous publications and research projects show that you have been long engaged in this field. Would you let us know why these landscape performances are playing crucial roles?

Li In recent decades, performance measures on many things are becoming important. I can name for few examples. If you plan a new city, a new town, or if you propose a landscape design, once it is built, do we know the outcome meets your intended purposes? If you built a small park, do you know how many people are actually using that? Do you know whether the green spaces inside the park actually help mitigate the urbanization problems, like stormwater, air, heat island effect? How much?

It is not easy to measure and quantify that. Not to mention that if we expand the scale from the site-level to the city-level, or to the watershed level. So, the performance measure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decision makers and legislators would like to know whether the public money is used carefully and also wisely for the entire city, and they should report to the citizens, the public, how well those moneys are spent appropriately.

의 저서인 「Design with Nature(1969)」의 기본 원칙들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이 중에 세 가지 주 요 원칙이 있는데, 첫째는 가능한 많은 삼림을 보존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개방 배수 시스템을 사용하 고 지하 배설관을 지양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은 투수성 높은 토양을 이용하여 불투수성 포장재와 도로, 그리고 공공용지 개발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1980년 초기 ‘더 우드랜드’ 안의 커뮤니티인 ‘그로건스 밀 (Grogan’s Mill)’이 이러한 원칙을 따라 개발되었습니다. 이 지역은 허리케인이 왔을 때 휴스턴의 다른 지역보다 피해가 훨씬 적었습니다. 그 후 개발 회사가 바뀌면서 상류지역이 이안 맥하그의 원칙을 따르 지 않은 채로 개발되었고, 그 결과 큰 홍수피해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안타까운 결과지만 ‘더 우드랜 드’는 아마 미국에서 처음으로 저영향개발 기법을 대규모로 적용한 모범적인 사례일 것입니다.

현재는 ‘LEED-N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Neighborhood Development)’와 ‘SITEs’(Sustainable Site Initiatives)라는 평가제도가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 이고 있습니다. 물론 ‘LEED-ND’가 먼저 시작하였지만, 관록만으로는 ‘SITEs’의 디자인수준을 엄격 히 평가하기는 힘듭니다. ‘SITEs’는 미국그린빌딩위원회(U.S. Green Building Council)와 Lady Bird Johnson 야생화연구센터가 협력하여 ‘LEED-ND’를 롤모델로 하여 만든 평가제도입니다. ‘SITEs’와

‘LEED-ND’를 도입한 시범사업으로 상을 받은 사례를 여러 차례 보았습니다. 이러한 사업들이 좋은 모 범사례가 될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어떠한 연구분야에 관심을 갖고 계십니까? 그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를 간략하게 말 씀해주십시오. 간략한 설명을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저의 관심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이며, 나머 지 하나는 인간에 관한 부분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제 프로필을 통해 건조환경에 관한 연구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우수연구, 수질, 저영향개발 기법, 그리고 식생체류지(bio-retention)에 관한 연구 를 하고 있지만 환경은 전체를 생각해야 합니다. 저의 전문성이 수자원과 관련되어 있지만, 대기, 열, 온 도 또한 중요합니다. 우리 학과의 로버트 브라운(Robert Brown) 교수는 접지기후 연구 및 디자인 전문 가로서 명성이 높습니다. 저는 최근 그의 연구 팀에 합류하여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고 있습니다. 가령, 강우지역에서 사는 거주자들은 자신의 소유지에 대한 우수관리를 어떻게 할지 이야기합니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법으로 자신의 소유지가 어디든 그곳이 개발된다면 개발 전보다 더 많은 강우-유출수를 발생 시키면 안됩니다. 지키지 못한다면 책임을 지고 우수영향부담금(stormwater impact fee)을 지불하여 야 합니다. 이 모델을 도심열섬현상이 일어나는 지역에 도입해 봅시다. 더 많은 사유차도(driveway)가 건설될수록 더 많은 열이 도시로 방출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당신이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지 않을까 요? 또한, 만약 당신이 대저택을 지으면서 지붕을 검게 칠한다면, 이러한 행동에 책임이 있지 않을까요?

동의한다면, 당신의 몫을 얼마나 부담하시겠습니까? 연구자들은 관련 비용을 계산한 후, 결정권자들과 국회의원들에게 알려야 합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은 환경문제에 있어 자유롭지 않은 상태를 좋아하지

Kim Could you provide some example cities in US that have high performance in LID design?

Li Famous examples we know near us is The Woodlands, Texas. One of my doctorate students, who is now a professor at Utah State, in his early study particularly for his dissertation research, he used The Woodlands for his testbed as the unit of analysis, looking into whether planning would affect the stormwater runoff generated from the new town built in The Woodlands. Ian McHarg’s

“Design with Nature” principles were applied early on when the original developer acquired this watershed property. There are three major principles. One is preserve forest as much as possible. The other one is to use the open drainage. Try not to use close pipe underground drainage. Third one is to use soil permeability to cite appropriate features whether or not that is impermeable pavements and highways or whether or not that is open space for recreation.

In early 1980s, one well known subdivision community, called “Grogan’s Mill,” pretty much followed Ian McHarg’s principles. From what I learned about the research is that they have much less flooding when hurricane hits the general Houston area. Later on, when new development company took over, there were some issues occurred and then unfortunately the upper watershed was not developed following Ian McHarg’s principles. So, a lot more flood events occurred. But, overall, The Woodlands is

probably the first one and the only one in that scale that I would call exemplary for LID.

There are now LEED-N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 Neighborhood Development) and SITEs (Sustainable Site Initiatives). These two rating tools are popular and most common in the United States. Of course, LEED-ND started earlier, but that was not strictly designed for site-level. Later,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Research Center collaborated with the USGBC (U.S. Green Building Council) to develop the SITEs tool, following the model of LEED-ND.

I have seen some good pilot projects that have been awarded with the LEED-ND certificates or SITEs in terms of their exemplary models.

Kim What research areas are you specifically interested in these days? Could you describe them with a brief explanation why you would see those agendas attracted you?

Li My interests of research can be described into two parts: One is research for built environment. The other one is for people.

Research for built environment is what most of people see in my CV. I do stormwater research, water quality,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and bio-retention. However, I think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as whole.

Although my specific niche and expertise is in water resources, air, heat, temperature are also important. Dr. Robert Brown in our department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봤을 때, 우리 인류는 지구의 한 종이며, 다른 어떤 종도 세상을 바꿀 강력한 특권이 없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인류는 더 많은 책임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교수님께서는 Texas A&M Transportation Institute(TTI)의 전임연구원으로도 재직 중이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고 계신 업무가 교통계획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제가 박사과정을 밟던 시절 Texas A&M Transportation Institute의 환경관리 프로그램 매니저였 던 Harold 박사와 함께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Harold 박사는 제 지도교수였습니다. 연구를 수 행하며 교통환경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특히 고속도로 교통축 설계 및 도로배수와 관련하여 흥미 를 느꼈습니다. 우리가 좋은 교통환경과 교통축을 연결하고 관리하려면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안전은, 교통축을 잇는 경사면이 무너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이는 사방공학(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또는 토사(지반) 침식 관리를 의미합니

다. 그리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환경을 위해 비가 오는 동안 노 면의 배수 용량 및 능력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어 떤 식물종과 토사관리 방안들이 고속도로 노면에서부터 유출되는 우 수의 수질을 개선시켜주는지, 그 유출수가 강 또는 시내로의 유입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그린인프라 계획이 미래의 홍수 피해를 어떻게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자연을 도시로 다시 가져오는 것입니다. 자연의 리듬을 따라갈 수 있다면, 우리는 자연과 같은 창조적인 건조환경을 만들려고 할 것입니다. 재해가 발생했을 때, 자연은 언제나 회복해냅니다. 사람들은 이를 ‘회복력 있는 도시(resilient city)’라고 부릅니다. 그레이인프라 (Grey Infrastructure)1)에만 의존해서는 우수의 일정 부분만 조절·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마도 첨두유량(peak flow) 정도 가능할 것입니다. 그레이인프라는 강우의 속도를 늦추지 못하고, 우 수 흐름을 하부지역으로 유도하거나 우수의 질을 조절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토양 을 이용하는 것이 최대의 우수관리라 말합니다. 최근 저는 미국과 중국의 여러 전문가 및 교육자들과 함께 일하면서 ‘스펀지 도시(Sponge City)’2)라는 용어가 대두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중국

우리 인류는

문서에서 49687692 2017년 6월호 (페이지 6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