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류는 더 많은 책임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문서에서 49687692 2017년 6월호 (페이지 64-70)

1) 그레이인프라는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하여 사람들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기반시설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배관, 배수로, 저류 지 등이 있음.

2) 스펀지 도시는 2013년 중국의 도시화와 관련한 중앙 정부 학회(Central Government Conference on Urbanization)에서 시진핑 주석이 처 음 공식적으로 언급한 용어로서, 홍수 유발 방지를 위해 도시가 강수를 스펀지처럼 흡수하는 역할을 마련해야 된다면서 그후 중국에서 집중 적으로 쓰이게 된 용어임. 도시 내 불투수층 노면의 확대, 빗물정원의 증축 그리고 우수를 재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저영향 기법의 적용이 스 펀지 도시 콘셉트를 위한 방안들로 알려져 있음.

is well-known with micro-climatic research and design. I have joining in his research group in discussing what we can do together. For example, in stormwater area, now we talk about managing stormwater for your own properties.

For any property owners, you have to manage your properties not to exceed pre-development condition and then you could discharge at a rate that is equal to or less than that of pre-development condition. If not, you may have to pay stormwater impact fees because you are responsible for that. If we apply this model to urban heat islands areas, and if you put on a driveway, it will generate additional heat.

Shouldn’t you also be responsible for that? And if you put on a black dark shingles on your roof, and you built a gigantic mansions, shouldn’t you be responsible for that behavior? If so, how do you pay for your share? We researchers should quantify that and then we can begin to inform the influence to decision makers and legislators about this area. Of course, people will not be happy to know that this is no longer a free country. As a whole, we need to think about that we human beings are one species on Earth, and there are a lot more other species that do not have such powerful privilege to change the world. So, we need to be more responsible for these issues.

Kim You are also working at Texas A&M Transportation Institute (TTI) as a research

engineer. Could you briefly introduce how your works link with transportation planning?

Li Well, I want to attribute to my current connection with transportation to my dissertation chair, Dr. Harold. When I came here as a student, he was a manager of Environment Management Program at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That program is about transportation environment. It covers of course the highway corridor, the drainage along highways.

For managing such a well-connected built transportation environment, we need to know how we can make it safe and efficient. What I mean by safe is that we don’t want the embankment that supports the transportation corridor to fail. So, we are talking about the soil erosion control engineering or soil erosion control. For example, one research examined how well the roadsides can drain taking care of drainage during the rainfall. Mostly, research area we did was identifying what type of management, plant species, and erosion control we can do to improve water quality from highway pavements and to treat stormwater runoff not to flow into natural creek or river.

Kim How can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attenuates the future flooding damage?

Li Well, bring back the nature into the city. If we could follow the nature’s rhythm, we want to have a creative built environment just like a nature. When disaster occurs the nature, it

은 미국으로부터 저영향개발 기법들을 배우고 적극적으로 개념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전문가들 은 중국 정부가 저영향개발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길 바라고 있습니다. 만약 기존보다 물 흡수가 더 쉬운 지반 환경이 도시에 구축된다면, 스펀지와 같이 서서히 물을 방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다른 건물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고층 건물의 외벽이 첨단 소재로 만들어진다면, 유리, 창문, 기둥 등에서부터 빗물을 흡수하여 천천히 배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옥상 녹화, 옥상 정 원 그리고 벽면 녹화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양의 강우-유출수가 도로에서부터 줄어들 수 있을까요? 비용과 편익을 고려했을 때, 최 적관리 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이 효과적인 고속도로 우수관리 도구가 될 수 있습니까?

좋은 질문입니다만 대답하기 쉽지 않네요. 가상의 시나리오로 설명해보겠습니다. 휴스턴과 같은 거 대도시의 다차선 도로는 도시 내에 막대한 불투수층을 만들어낼 것이며, 이를 관리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이런 거대한 도로에서부터 배출되는 유출수는 몇 개의 작은 빗물정원(rain garden)으 로 관리할 정도의 양이 아닙니다. 미국의 도시들은 사람이나 야생동물보다는 자동차에 맞춰 계획되고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더 나아갈 수 있을까요? 저는 건조환경이 자연에 거대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우리는 그레이인프라와 그린인프라에 모두 의존해야 합니다. 저는 어느 순간 대자연이 견딜 수 있는 한계점이 나타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 정 숫자든 범위든 만약 우리가 그 한계점을 지나치게 되면 자연의 자가치유가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러 므로 거대한 고속도로의 우수는 다양한 최적관리 기법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도시 내의 버려진 땅이 나,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고속도로 밑, 그리고 도시의 어둠에 감춰진 지역을 대상으로 적절한 최적 관리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강우-유출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천천히 배출시켜야 할 것입니다.

앞서 말씀하셨듯이 불투수층은 강우-유출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도시 내 홍수를 방지하고자 한다면, 이 외에도 무엇에 초점을 두고 연구해야 할까요?

매우 광범위한 질문입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불투수면의 증가에 따라 강우 유출수가 증가함을 확인 하고 증명하였습니다. 또한 더 많은 도심 내 열섬 현상까지 유발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은 다 연결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인구 증가입니다. 도시화로 기후패턴이 변하고 있으며 우리는 사 람들의 주거지를 균형있게 배치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날씨처럼 매일, 매주, 매월 변하 지는 않지만, 1년 또는 10년 단위로 보았을 때 기후의 변화는 일어나고 있습니다. 해결이 아주 시급합니 다. 그렇기 때문에 ‘회복력 있는 도시(resilient city)’가 주목받고 있는 것입니다. 2050년까지는 인구의 60~70%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견됩니다. 이런 변화에 회복력 있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 번 자연을 어떻게 도시로 가져올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can always recover. Now, people are calling as resilient cities. I think relying on grey structures to manage stormwater can take care of only a certain aspect of stormwater. Maybe just a peak flow. In terms of the storms attenuation to slowly release, its flow into the lower area, and stormwater quality, I don’t think grey structures can do that easily. So, I always like to say this, soil is the largest stormwater management on earth. I worked with some practitioners and educators in U.S. and China. They came up with a catch term, called “Sponge City.” Particularly, China learned something about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from the U.S.

They want the government to pay attention to LID. If a city has the absorbability of water by creating a environment with surfaces that are ready to capture and absorb, they can slowly release that just like a sponge. You can extrapolate the concepts for anything you propose to build. What about a skyscraper has surfaces with very advanced materials from the 21st century, any rain that splashes into glasses/

windows/columns/bins, they have a function of absorbing water and release slowly. Investing green roofs (roof gardens) and living walls are the areas that I am interested in these days.

Kim How much runoff can be reduced from the roads? Considering the cost and benefit, is BMP an effective highway stormwater management tool?

Li Good question, but not an easy question to answer. Let’s use some scenarios. If you are talking about multi-lane highways with ultra-environment like Houston, it takes massive impervious surfaces. And that is not an easy job to manage. It’s not like a small rain garden can handle. US cities are planned and designed toward auto-mobiles, not for people and wildlife. So, how do we move forward from here? I think the built environment has a lot of continuous tremendous effects to the believe that there is a threshold that mother-nature can take. Once it is beyond threshold whether that is a value or range, then you have taken steps to reverse that will become self-repairable. Thus, stormwater from those large highways must be controlled by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We could think about using some of abandoned lands. Maybe places underneath of certain highway where nobody is using and it is completely dark places in urban settings. Those places can be used to temporarily store stormwater and then slowly released.

Kim As you have mentioned, impervious surface significantly affects the stormwater

한국의 많은 학자들 또한 저영향개발과 도시경관 디자인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국이나 다른 아시 아 국가의 공공기관에 제시할 수 있는 발전방향에 대해 말씀해주시겠습니까?

모바일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건조환경과 관련하여 저는 한국이 뒤 쳐져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국의 정보 교환은 매우 빈번합니다. 어떤 사람이 무엇인가를 성공적 으로 만든다면 사람들은 바로바로 알 수 있습니다. 더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은 비밀이 아닙니다.

결정권자들이 유의해야 할 점은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많은 전략들이 실체는 없고 주장만 되풀 이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결정권자들은 시류에 편승하여 그들이 지속가능하고 녹색 지향적인 정책과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사람들이 보고자 하는 이미지이기 때문입 니다. 하지만 사실은 기존과 같은 정책일 뿐입니다. 저는 비영리단체들이 이러한 지속가능한 개발의 감 시인으로 활동하길 권장하며, 실제로 이루어졌는지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이 부분 은 정부가 원치 않은 대답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귀한 시간을 내어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믿습 니다.

인터뷰에 응할 수 있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밍한 리 교수의 주요 저서 및 논문

Li, M.-H. 2014. Evaluating erosion control performance of crimped straw mulch in comparison with RECPs on simulated highway roadsid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8, no.3: 307-314.

Li, M.-H., Dvorak, B., CY Sung. 2010. Bioretention, low impact development, and stormwater management. Urban Ecosystem Ecology:

Agronomy Monograph 55: 413-430.

Li, M.-H., Dvorak, B., Luo, Y., and Baumgarten, M. 2013. Landscape performance: quantified benefits and lessons learned from a treatment wetland system and naturalized landscapes. Landscape Architecture Frontiers 1, no.4: 56-68.

Li, M.-H., and Eddleman, K.E. 2002. Biotechnical engineering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engineering methods: a biotechnical streambank stabilization design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 no.4: 225-242.

Yang, B., and Li, M.-H. 2011. Assessing planning approaches by watershed streamflow modeling: case study of The Woodlands, Texa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9: 9-22.

runoff. Except controlling land use and land cover, what do you recommend us to focus on preventing the future urban flood?

Li This is very good question and very big question. Several researchers have confirmed and verified that the more impervious surfaces, the more urban stormwater runoff will occur.

Meanwhile, much more heat islands effect occurs. You can tell that all these are inter-connected. The issue is that population is booming and growing. We need to put people in different places and we also know the climate is changing because of urbanization. Although it is not occurring like daily, weekly, or monthly bases in terms of weather, but if we use a year as a unit or at decades, then I believe how we respond to climate change is a moving target.

Now, people are talking about resilient cities.

More than 60-70% of people will live in cities by 2050. So, we need to think harder how we can bring nature back to cities to adjust and adapt in different changes.

Kim Several researchers in South Korea are also investing a lot in LID and urban landscape design. Could you provide some recommendable future direction for South Korea or Asian countries’ public affairs?

Li I can relate to mobile device and apps. In terms of built environment, I don’t think South Korea is behind. Information exchange is very frequent. So, anything that somebody built

Li I can relate to mobile device and apps. In terms of built environment, I don’t think South Korea is behind. Information exchange is very frequent. So, anything that somebody built

문서에서 49687692 2017년 6월호 (페이지 64-70)